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Why Music Matters

Why Music Matters (Paperback)

(『음악은 왜 중요할까?』원서)

데이비드 헤즈먼드핼시 (지은이)
John Wiley & Sons Inc
69,25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8,470원 -30% 0원
490원
47,9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Why Music Matters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Why Music Matters (Paperback) (『음악은 왜 중요할까?』원서)
· 분류 : 외국도서 > 예술/대중문화 > 음악 > 일반
· ISBN : 9781405192415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13-08-30

목차

1 Music as Intimate and Social, Private and Public 1

2 Feeling and Flourishing 11

2.1 Music, Affect, Emotion 11

2.2 Emotions, Narrative Play, and Music 14

2.3 Human Flourishing, Aesthetic Experience, and Music 17

2.4 Musical Flourishing Beyond Contemplative Cultivation 20

2.5 Musical Aesthetics and Bodily Experience: Dancing 30

2.6 Approaches to Music and Emotion in Everyday Life: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35

2.7 Problems of Self-realization in Modern Life and Their Relation to Music 42

2.8 Competitive Individualism and Status Competition Through Music 48

2.9 Review: Music’s Constrained Enrichment of Lives 53

3 Love and Sex 57

3.1 Sex and Love and Rock and Roll 57

3.2 Two Approaches to Music, Sex, and Sexuality 58

3.3 The Pop-Rock Divide and Rock’s Sexual Politics 61

3.4 Post-War Pop’s Emotional Resources 65

3.5 Sex and Love on the Dance Floor 68

3.6 Critiques of Countercultural Sexual Freedom 71

3.7 Sex and Love in Punk, Alternative Rock, and Metal 74

3.8 Sexuality in Twenty-First-Century Pop 77

3.9 Black Music and Racialized Sexuality 81

4 Sociability and Place 84

4.1 Ways of Being Together: Forms of Publicness 84

4.2 Celebrations of Musical Participation and Their Limitations 87

4.3 That Syncing Feeling 97

4.4 Ordinary Sociability I: Singing Together 102

4.5 Ordinary Sociability II: Dancing Together 109

4.6 Playing Together: Amateur Musicians 112

4.7 Theorizing Positive Musical Sociality 115

4.8 Spectres of Capitalist Modernity Revisited: Class and Inequality 120

4.9 Uneven Musical Development 123

4.10 Elements of Thriving Musical Places 125

4.11 Quality of Working Life of Professional Musicians 127

5 Commonality and Cosmopolitanism 130

5.1 Mediated Commonality in Modern Societies 130

5.2 Aesthetic Experience and Aspirations to Commonality 131

5.3 Redeeming Aesthetic Experience? 133

5.4 Talk About Music, What It Tells Us, and What It Doesn’t 136

5.5 Music, Politics, and Publicness 142

5.6 Communities of Shared Taste? Subcultures, Scenes, and Fans 147

5.7 Nations, Ethnicity, Cosmopolitanism 151

5.8 Rock as Cosmopolitanism? 152

5.9 Complexities of Music and Nation 155

5.10 Strange Journeys: Working-Class and Ethnic Musics Become National Musics 157

5.11 Sentimental Citizenship 162

5.12 Music, the Nation, and the Popular 164

5.13 Music of the African Diaspora: Life-Affirming Collectivity in Decline? 165

5.14 A Critical Defense of Music 170

Acknowledgments 172

References 174

Index 187

저자소개

데이비드 헤즈먼드핼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자본주의사회에서의 문화 생산의 복잡하고 모순된 관계를 집요하게 탐구하고 있는 음악‧미디어 연구, 음악사회학 분야의 최고 권위자 중 한 명. 리즈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미디어, 음악, 문화’ 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 책 《음악은 왜 중요할까?》는 저자의 음악에 대한 학제적 사유의 총체적 결과물로, 여기서 저자가 제시하는 ‘음악에 대한 비판적 변호’는 비판이론의 비관적 시각과 심리학적 치유 담론의 낙관적 시각 사이에서 긍정적인 ‘제3의 길’을 모색하면서도 여전히 날카로운 비판의 힘을 일깨워준다. 이 책은 스페인어, 러시아어 등으로 번역되면서 음악의 사회적 가치, 공공성 등을 토론하기 위한 필독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는 또한 디지털 미디어 이론 분야의 권위자로, 2011년에 사라 베이커와의 공저로 《창의 노동과 미디어 산업: 미디어 노동 연구의 이론과 실제》(커뮤니케이션북스, 2016)를 발표했다. 이듬해인 2012년에 펴낸 단독 저서 《문화산업》은 저자 특유의 ‘비판적 변호’라는 방식으로 프랑크푸르트학파의 문화산업 비판을 계승하면서도 문화산업의 잠재성과 역동성을 읽어내고 있는 이론적 저서다. 이 책은 1980년대 이후 텔레비전, 영화, 음악, 출판을 비롯한 문화산업의 변화와 연속성을, 그리고 관련 산업에서 디지털 플랫폼의 역할이 중요해지는 현실을 이론적으로 분석하여 4판까지 개정판이 출판될 만큼 학계의 호평을 받으며 중국어, 러시아어, 이탈리아어 등으로 번역되었다. 최근에는 ‘스트리밍 시대의 음악 문화(Music Culture in the Age of Streaming)’를 주제로 공동 연구를 수행 중이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