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91168731349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24-12-09
책 소개
목차
1장. 음악, 친밀하면서도 사회적이며 사적이면서도 공적인
2장. 느낌과 번영
2.1. 음악, 정동, 감정
2.2. 감정, 서사적 놀이, 그리고 음악
2.3. 인간의 번영, 미적 경험, 그리고 음악
2.4. 고급문화, 자기수양, 관조 너머의 음악적 가치
2.5. 음악 미학과 신체 경험: 춤추기
2.6. 일상에서의 음악과 감정에 대한 접근: 기여와 한계
2.7. 근대적 삶에서 자아실현의 문제점과 음악과의 관계
2.8. 음악을 통한 경쟁적 개인주의와 지위 경쟁
2.9. 리뷰: 음악은 삶을 풍요롭게 하는가?
3장. 사랑과 성
3.1. 성과 사랑, 그리고 로큰롤
3.2. 음악, 성, 섹슈얼리티에 대한 두 가지 접근 방식
3.3. 팝-록 이분법과 록의 성정치
3.4. 전후 팝의 감정적 자원
3.5. 댄스 플로어에서의 성과 사랑
3.6. 반문화적 성적 자유에 대한 비판
3.7. 펑크, 얼터너티브 록, 메탈의 성과 사랑
3.8. 21세기 팝의 섹슈얼리티
3.9. 흑인 음악과 인종화된 섹슈얼리티
4장. 사교성과 장소
4.1. 함께하는 방식: 공공성의 형식들
4.2. 음악적 참여에 대한 찬미와 그 한계
4.3. 일체감
4.4. 일상적 사교성 I: 함께 노래하기
4.5. 일상적 사교성 II: 함께 춤추기
4.6. 함께 연주하기: 아마추어 음악가
4.7. 긍정적인 음악 사회성을 이론화하기
4.8. 자본주의 근대성의 유령 재검토: 계급과 불평등
4.9. 불균등한 음악 발전
4.10. 번성하는 음악적 장소의 요소
4.11. 전문 음악가의 직업적 삶의 질
5장. 공통성과 세계시민주의
5.1. 근대사회의 매개된 공통성
5.2. 미적 경험, 그리고 공통성에 대한 열망
5.3. 미적 경험을 되찾기?
5.4. 음악에 대한 이야기, 음악이 우리에게 알려주는 것과 알려주지 않는 것
5.5. 음악, 정치, 그리고 공공성
5.6. 취향 공유 공동체? 하위문화, 신, 그리고 팬
5.7. 국가, 민족, 세계시민주의
5.8. 세계시민주의로서의 록?
5.9. 음악과 국가의 복잡성
5.10. 이상한 여정: 노동계급과 종족의 음악이 국민음악이 되다
5.11. 감상적 시민의식
5.12. 음악, 국가, 그리고 대중적인 것
5.13. 아프리카 디아스포라의 음악: 쇠락 속의 삶을 긍정하는 집단성?
5.14. 음악에 대한 비판적 변호
감사의 말
옮긴이의 말
미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속에서
음악은 중요하다. 사람들의 삶과 사회를 풍요롭게 할 만한 잠재적 힘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음악은 어떻게, 왜, 어떤 상황에서 그런 힘을 발휘할까? 똑같이 중요한 물음 한 가지를 덧붙여보자. 어떤 경우에 음악의 그러한 힘이 약해지는가?
록 문화의 지지자들이 록 이외의 장르에 대해서 진정성이 결여되었다는 이유로 거부한 것에 반대하여, 나는 많은 (전부는 아닐지라도) 전후 대중음악이 성, 로맨스, 친밀성의 문제들에 대한 풍부한 해석을 제공했다는 점, 그리고 이러한 ‘해석’에는 [노랫말을 통해서만이 아니라] 음악적 사운드를 통한 감정과 느낌의 표현이 포함된다는 점을 밝혀볼 것이다.
팝 음악은 여성혐오, 자기도취, 과도한 감상주의 등 근대 문화의 문제적 측면을 반영하고 동시에 형성해왔다. 만약 음악이 더 다양한 감정적 맥락을 표현하고 더 많은 심리적 동역학을 다룰 수 있다면 우리는 음악을 통해 더 행복해질 것이라고 나는 주장한다. 따라서 인간적 번영에 기여하는 음악적 힘의 양가성이 다시 강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