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교육과정의 이해

교육과정의 이해

(제2판)

소경희 (지은이)
교육과학사
2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1,000원 -0% 0원
0원
21,000원 >
21,000원 -0% 0원
0원
21,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교육과정의 이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교육과정의 이해 (제2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과정/교육평가
· ISBN : 9788925418711
· 쪽수 : 424쪽
· 출판일 : 2024-02-28

책 소개

하나의 학문 분야로서의 교육과정이 살아온 역사는 타 학문에 비해 길지 않지만, 그 삶은 어느 학문보다도 역동적이고 풍성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자주 언급되는 이론적 실천적 주제와 쟁점을 다루고 있다. 따라서 이 책의 내용은 교육과정 분야의 이론과 실제를 이해하고 관련된 지식을 심화하는 데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2판 서문 / 3
1판 서문 / 7

제1장 교육과정의 성격 및 관련 용어 … 21
1. 교육과정의 성격 _ 24
가. 교육과정은 학교교육의 핵심이다 _ 24
나. 교육과정은 모학문이 없다 _ 25
다. 교육과정은 종합적이고 실천적 성격의 학문이다 _ 27
2. 교육과정과 관련된 용어에 대한 이해 _ 29
가. 교과 _ 30
나. 학문, 그리고 학문과 교과의 관계 _ 31
다. 지식 _ 33
라. 기능, 그리고 기능과 지식의 관계 _ 35

제2장 교육과정의 의미 … 37
1. 교육과정의 개념적 의미 _ 41
가. 교육과정의 어원적 의미 _ 41
나. ‘결과’(outcome)에 초점을 둔 교육과정의 의미 _ 42
다. ‘과정’(process)에 초점을 둔 교육과정의 의미 _ 46
2. 여러 층위의 교육과정: 교육과정의 수준(level) _ 49
가. 계획된 교육과정 _ 50
나. 실행된 교육과정 _ 52
다. 경험된 교육과정 _ 53
3. 보이는 교육과정과 보이지 않는 교육과정 _ 54
가. 공식적 교육과정 _ 55
나. 잠재적 교육과정 _ 55
다. 영 교육과정 _ 58
4. 국가 교육과정과 학교 교육과정 간의 관계 _ 60

제3장 교육과정의 역사적 기초 … 65
1. 인문주의자 _ 69
가. 전통적 교육과정의 이론적 토대: 정신도야론 _ 70
나. 10인 위원회와 엘리어트(C. Eliot)의 주장 _ 72
다. 15인 위원회와 해리스(W. Harris)의 주장 _ 74
2. 발달주의자 _ 76
가. 헤르바르트 학파 _ 76
나. 홀(S. Hall)의 아동 연구 운동 _ 78
다. 킬패트릭(W. Kilpatrick)의 프로젝트법 _ 80
3. 사회효율성주의자 _ 82
가. 로스(E. Ross)의 사회 통제론 _ 83
나. 효율성 운동: 테일러(F. Taylor)의 과학적 경영, 그리고 하나의 연구 분야로서의 교육과정의 탄생 _ 84
다. 지능 측정, 지능에 따라 차별화된 교육과정 _ 86
라. 사회효율성주의자의 실질적 성과 _ 88
4. 사회개량주의자 _ 89
가. 카운츠(G. Counts)의 사회재건주의 _ 90
나. 러그(H. Rugg)의 사회과 교과서 _ 92

제4장 교육과정에 대한 관점(Ⅰ): 지식 중심 교육과정 … 95
1. 지식 중심 교육과정 개관 _ 98
2. 지식 중심 교육과정을 뒷받침하는 이론들 _ 103
가. 정신도야론 _ 104
나. 지식의 구조론 _ 107
다. 지식의 형식론 _ 113

제5장 교육과정에 대한 관점(Ⅱ): 경험 중심 교육과정 … 121
1. 진보주의 교육의 등장과 진보주의교육협회 _ 125
2. 중등교육에 대한 진보주의 교육의 실험: ‘8년 연구’ _ 129
3. 진보주의 교육의 확대: 생활적응교육 _ 134
4. 듀이의 경험 중심 교육과정 이론 _ 138
가. 20세기 전반기의 지배적인 교육과정 주장들에 대한 듀이의 견해 _ 139
나. 듀이학교 _ 144
다. 듀이의 교육과정 이론: 경험 중심 교육과정 _ 148

제6장 교육과정에 대한 관점(Ⅲ): 역량 중심 교육과정 … 153
1. 역량 중심 교육의 등장 배경 _ 157
가. 21세기 사회의 특징과 요청되는 교육 _ 157
나. 전통적인 지식 교육의 한계와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필요 _ 162
2.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역사적 기원 _ 165
가. 행동주의적 접근 _ 166
나. 인문주의적 접근 _ 168
다. 자유교육의 적극적 실천으로서의 역량 중심 교육 _ 170
3. 학교교육에서 역량의 의미 _ 173
가. OECD의 역량 프로젝트에 제시된 역량의 의미와 특징 _ 174
나. 역량의 총체적 성격과 의미 _ 178
다. 여러 나라 교육과정에서의 역량의 의미 _ 182
4. 교육과정에 대한 역량 중심적 접근 _ 184
가.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의미 _ 184
나. 역량 중심 교육과정 설계 _ 185

제7장 한국의 교육과정 역사와 발달 과정 … 191
1. 해방 전후의 교육과정 _ 195
가. 해방 전 교육과정 _ 196
나. 해방 직후 과도기 및 교수요목기 _ 198
2. 제1차 교육과정∼제5차 교육과정 _ 200
가. 제1차 교육과정 _ 201
나. 제2차 교육과정 _ 202
다. 제3차 교육과정 _ 204
라. 제4차 교육과정 _ 206
마. 제5차 교육과정 _ 208
3. 제6차 교육과정 _ 210
가. 초등학교 교육과정 _ 211
나. 중학교 교육과정 _ 214
다. 고등학교 교육과정 _ 215

제8장 21세기 한국의 교육과정 … 219
1. 제7차 교육과정 _ 222
가.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 _ 222
나. 수준별 교육과정 _ 224
다. 재량활동 _ 226
라. 고교 2-3학년의 선택 중심 교육과정 _ 226
2. 2007 개정 교육과정 _ 230
가.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의 개선 _ 231
나. 선택 중심 교육과정의 개선 _ 233
3. 2009 개정 교육과정 _ 236
가. 주요 특징 _ 237
나. 학교급별 개정 내용 _ 239
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부분 개정 사항 _ 246
4. 2015 개정 교육과정 _ 248
가. 초등학교 교육과정 _ 250
나. 중학교 교육과정 _ 251
다. 고등학교 교육과정 _ 253
5. 2022 개정 교육과정 _ 258
가. 초등학교 교육과정 _ 260
나. 중학교 교육과정 _ 261
다. 고등학교 교육과정 _ 262

제9장 교육과정 개발 및 설계 모형 … 269
1. 교육과정 개발 모형 _ 273
가. 기술적·과학적 접근 _ 274
나. 자연주의적·예술적 접근 _ 281
2. 교육과정 설계 모형 _ 288
가. 내용 모형(content model) _ 288
나. 목표 모형(product model) _ 292
다. 과정 모형(process model) _ 294
라. 세 모형의 비교 _ 298

제10장 교육과정 설계 원리와 교육과정 통합 … 301
1. 교육과정 설계의 일반 원리 _ 304
가. 교육 목표의 설정 _ 304
나. 교육 내용(혹은 학습 경험)의 조직 _ 308
2. 교육과정 통합에 대한 이해 _ 314
가. 교육과정 통합의 개념 _ 315
나. 교육과정 설계에서 통합의 역사 _ 319
다. 교육과정 통합의 유형 _ 328

제11장 교육과정 개발의 실제 … 335
1. 교육과정 개발 체제 _ 338
가. 중앙 집중적 교육과정 개발 _ 338
나. 학교 중심 교육과정 개발 _ 340
2.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발의 수준 _ 342
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개발 _ 343
나. 지역 수준의 교육과정 개발 _ 345
다. 학교 수준의 교육과정 개발 _ 345
3. 우리나라 국가 교육과정 개발의 실제 _ 348
가. 국가 교육과정 개정 및 개발 과정 _ 348
나. 국가 교육과정 개발 과정의 쟁점 _ 354

제12장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이해 … 359
1. 교육과정 실행의 의미 _ 362
가. 교육과정 실행에 주목하게 된 배경 _ 362
나.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개념화 _ 363
2.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관점 _ 365
가. 충실도 관점 _ 366
나. 상호적응 관점 _ 369
다. 교육과정 생성 관점 _ 371
라. 세 관점의 비교 _ 374
3. 교육과정 실행과 교육과정 계획 간의 관계 _ 376

제13장 교육과정 연구의 흐름: 교육과정 이론화 … 381
1. 교육과정 이론과 이론화 _ 385
2. 교육과정 이론화의 여러 갈래 _ 387
가. 처방적 이론: ‘개발’을 위한 이론 _ 389
나. 서술적 이론: 개발이 ‘숙의’를 만나다 _ 394
다. 비판적-탐색적 이론: ‘이해’와 ‘변화’를 위한 이론화 _ 400
3. 교육과정 이론화의 미래 _ 408

찾아보기 / 415

저자소개

소경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학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 석사, 박사(교육과정 전공) 현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 관심영역: 교육과정 연구와 개발, 교사교육 이메일: sohee@snu.ac.kr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