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북한어문학론
· ISBN : 9788927901693
· 쪽수 : 590쪽
· 출판일 : 2012-06-27
책 소개
목차
제1장 북한의 문예창작강령과 문예이론
김종회 <주체문학론> 이후 북한문학의 방향성
김용직 북한의 문예정책과 창작지도이론에 관한 고찰
박수연 북한의 문예이론
제2장 북한문학사
김종회 북한문학에 반영된 한국 현대사 고찰
김재용 분단극복과 한국근대문학연구의 지평 확대
― 북한의 근대문학사 인식 비판(3)
유문선 최근 북한 근대문학사 인식의 변화
― <현대조선문학선집>(1987~)의 ‘1920~30년대 시선’을 중심으로
제3장 북한 시
오성호 전후 복구건설기의 북한시 연구
남기혁 북한 전후시의 전통과 모더니티 연구
홍용희 통일시대를 향한 북한시의 미적 가능성
제4장 북한 소설
유임하 전후 북한 소설의 양상
박태상 북한 소설 <자유> 연구
정순진 북한 여성 정체성의 소설적 형상화
― 2000년대 북한 소설을 중심으로
제5장 북한 비평
오창은 ‘고난의 행군’ 시기 북한문학평론 연구
― 수령형상 창조ㆍ붉은기 사상ㆍ강성대국건설을 중심으로
신두원 해방 직후 북한의 문학비평
― 민족문학론과 리얼리즘론을 중심으로
김성수 사실주의 문예비평의 전개와 ≪문학신문≫
― 1950~1960년대 북한문학의 동향
제6장 북한 공연예술
서연호 북한 연극의 실태와 원리에 관한 고찰
이영미 북한 민족가극 <춘향전>의 공연사적 위치와 특징
이춘길 북한 공연예술문화의 전개에 대한 사적 고찰
제7장 북한 문화
이혜주 남북문화교류를 통한 문화공동체 형성 방안
최영표 남북 교류ㆍ협력의 실상과 의미
김동훈 북한의 대중문화와 민속문예학연구의 조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