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시론
· ISBN : 9791192776705
· 쪽수 : 144쪽
· 출판일 : 2023-07-05
책 소개
목차
김종철 시인의 작품 세계 발간에 즈음하여_장경렬 … 5
머리말: 풍운의 삶과 운명의 시 … 8
내가 만난 김종철 시인
아직 남은 세 가지 약속 … 13
제1시집 『서울의 유서』
젊은 날의 거칠고 황량한 내면 풍경 … 19
제2시집 『오이도』
불혹 고개에 이르는 삶과 시의 면모 … 34
제3시집 『오늘이 그날이다』
시 세계의 변화와 승급으로의 도정 … 47
제4시집 『못에 관한 명상』
필생의 ‘성명절기’ 못을 매개한 성찰 … 59
제5시집 『등신불 시편』
깨달음의 세계와 일상적 삶의 만남 … 75
형제시인 시집 『어머니, 우리 어머니』
어머니를 향한 모든 아들의 사모곡 … 85
제6시집 『못의 귀향』
세월의 흐름과 시의 뜻에 대한 성찰 … 94
제7시집 『못의 사회학』
‘못’을 통해 얻는 깨달음의 여러 유형 … 108
제8시집 『절두산 부활의 집』
유고 시집에 남은 시인의 마지막 말 … 124
김종철 시인 연보 … 138
저자소개
책속에서
책의 제목을 ‘삶과 못과 시의 변주곡’으로 한 것은, 김종철이 보낸 시인으로서의 생애 가운데 가장 중요한 어휘 하나를 고르라면 주저 없이 ‘못’이라고 할 수 있는 까닭에서다. 어린 시절부터 노년의 원숙한 날에 이르기까지 그의 시가 변화하고 발전해 온 경로가 있으나, 이 ‘못’의 담론에 이르러서 그는 세상살이와 글쓰기의 문리(文理)가 트인 것으로 보인다.
_ <머리말: 풍운의 삶과 운명의 시>에서
그런데 마냥 그렇게 실의와 탄식에 잠겨 하늘과 바다와 섬과 뭍을 우울하게 바라본다면, 그는 시인이 아니다. 시인이 가진 예민한 촉수와 삶의 배면을 통찰하는 눈은 어디에서나 새로운 소망의 언어를 이끌어 낸다.
_ <불혹 고개에 이르는 삶과 시의 면모>에서
못에 관한 시편들이 그 장章을 열면서 확연히 달라진 사실 하나는, 김종철의 시에 종교적 묵상과 고백 그리고 그 시적 발현이 연속적으로 출현한다는 것이다. 그는 가톨릭 신자이며 그러한 종교적 성향이 자신의 내면에 체화(體化)되어 있는 듯하다. 젊은 날의 시에서는 볼 수 없던 이 측면이 마흔 중반에 이르러 마침내 시의 표면으로 배어 나온 결과다.
_ <필생의 ‘성명절기’ 못을 매개한 성찰>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