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한의학 > 기초한의학
· ISBN : 9788930313803
· 쪽수 : 536쪽
· 출판일 : 2008-08-27
목차
개정판 서문
서문
제Ⅰ부 생리학 총론
제1장 생리학의 정의
제1절 생리학의 정의와 역할
1. ‘한의학’의 정의
2. 현대 한의학과 전통시대 한의학
3. 韓醫學, 中醫學, 漢方醫學
4. 생리학의 정의와 역할
제2절 한의학 생명현상 인식의 특징
1. 생명현상을 인식하는 관점들
2. 한의학에서의 생명현상 인식
제3절 한의학적 對象觀
제4절 생리학의 전체체계
제2장 음양론 및 음양론적 생리체계
제1절 음양론
1. 음양의 기본개념
2. 음양의 정의
3. 음양의 속성
4. 음양의 제법칙
5. 음양론의 형성 및 발전과정
제2절 음양론적 생리체계
1. 음양론적 대상관
2. 대상의 규정과 음양
3. 대사의 양 세력으로서의 음양 및 생명현상 관찰 지표로서의 음양
4. 생명의 근원에 대한 음양적 인식
5. 생명현상의 음양적 인식
6. 진단과 치료의 기초개념으로서의 음양
제3장 오행론 및 오행론적 생리체계
제1절 오행론
1. 오행의 기본 개념
2. 오행의 기본 법칙
3. 오행론의 형성 및 발전과정
4. 五行歸類
5. 음양과 오행의 관계
제2절 오행론과 인체생리
1. 생명현상의 분석개념으로서의 오행
2. 인체에 대한 오행적 인식체계
제4장 육기론 및 육기론적 생리체계
제1절 육기론
1. 육기의 기본 개념
2. 君火와 相火
3. 삼음삼양의 기본개념
4. 삼음삼양과 육기의 관계
5. 육기의 성질과 작용
6. 육기와 음양 오행의 관계
제2절 육기론적 생리체계
1. 생명현상의 분석개념으로서의 육기: 외부육기와 내부육기
2. 육기론과 인체생리: 경맥과 육경
제5장 한의생리학의 현대적 연구
제1절 윤길영의 음양, 운기론적 생리론과 구조역학적 생리학
1. 음양대사 생리학
2. 운기론적 생리론
3. 구조역학적 생리학
제2절 김완희의 유기능이론 및 유기능체계
1. 인체에 대한 4-5-6 체계
2. 발생학적 현상과 유기능이론
3. 유기능체계
제Ⅱ부 생리학 각론
제1장 정신기혈론
제1절 개요
제2절 精
1. 정의 개념
2. 정의 생성
3. 정의 분류
4. 정의 생리기능
5. 정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는 외부적 지표
6. 정의 병태생리
7. 양생과 정
제3절 神
1. 신의 개념
2. 신의 생성
3. 신의 생리기능
4. 신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는 외부적 지표
5. 신의 병태생리
제4절 氣
1. 기의 개념
2. 기의 작용
3. 기의 분류
4. 기의 운동형식
5. 調氣와 건강
6. 氣의 병태
제5절 血
1. 혈의 개념
2. 혈의 생성
3. 혈의 생리기능
4. 혈의 순행
5. 혈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는 외부 지표
6. 혈의 병태생리
제6절 津液
1. 진액의 개념
2. 진과 액의 성질, 분포, 작용상의 특징
3. 진액의 인체 내 대사과정
4. 진액의 생리기능
5. 진액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는 외부 지표
6. 진액의 병태생리
제7절 정신기혈진액의 상호 관계
1. 정과 기의 상호관계
2. 정과 신의 상호관계
3. 정과 혈의 상호관계
4. 기와 혈의 상호관계
5. 기와 신의 상호관계
6. 혈과 신의 상호관계
7. 정신기혈과 진액의 상호관계
제2장 장부생리
제1절 장부생리 총론
1. 장부생리의 특징
2. 장상이론과 장부의 개념
3. 장상이론의 연구방법론
4. 고전의 장부이론
5. 장부개념에 대한 최근연구
제2절 肝 기능계
제3절 心 기능계
1. 심 기능계의 구성
2. 심 기능계의 생리적 특성
3. 심 기능계 소속 장기와 생리기능
4. 심 기능계 소속 장기 사이의 상관관계
제4절 脾 기능계
1. 비 기능계의 구성
2. 비 기능계의 생리적 특성
3. 비 기능계 소속 장기와 생리기능
4. 비 기능계 소속 장기 사이의 상관성
제5절 肺 기능계
1. 폐 기능계의 구성
2. 폐 기능계의 생리적 특성
3. 폐 기능계의 생리적 기능
4. 폐 기능계 소속 장기 사이의 상관관계
제6절 腎 기능계
1. 신 기능계의 구성
2. 신 기능계의 생리적 특성
3. 신 기능계 소속 장기와 생리기능
4. 신 기능계 소속 장기 사이의 상관관계
5. 기타
제7절 命門, 心包, 三焦
1. 명문
2. 심포
3. 삼초
4. 심포, 삼초, 명문의 생리학적 의의
제8절 奇恒之腑
1. 기항지부의 개념
2. 기항지부의 생리
제9절 장부 사이의 관계
1. 장과 장 사이의 관계
2. 장과 부 사이의 관계
3. 부와 부 사이의 관계
제3장 경락생리
제1절 經絡의 개념과 구성
1. 경락학설의 주요 개념
2. 경락학설의 형성과 발전
제2절 경락의 운용과 작용
1. 생리적 운용
2. 병리적 운용
3. 진단적 운용
4. 치료적 운용
제3절 경락계통의 구성
1. 十二經脈
2. 十二經別
3. 奇經八脈
4. 十五絡脈
5. 十二經筋
6. 十二皮部
제4절 經絡의 生理體系
1. 육경
2. 육경의 기화형식
제4장 정신생리
제1절 정신생리의 기초이론
1. 한의학 정신생리의 특징
2. 한의학 정신생리의 기초이론
제2절 五神과 七情
1. 오신
2. 칠정
제3절 認知
1. 감각과 지각
2. 기억
3. 사고
제4절 수면과 꿈
제5장 부인, 소아생리
제1절 부인생리
1. 부인의 생리적 특성
2. 천계와 월경
3. 胞
4. 유방과 유즙의 분비
5. 帶
6. 胎
7. 産
제2절 소아생리
1. 소아의 생리적 특성
2. 經絡養胎
3. 變蒸
4. 五遲, 五軟症의 병태생리
제6장 양생, 노인생리
제1절 양생
1. 양생의 개념
2. 정신과 양생
3. 사시와 양생
4. 의식주와 양생
5. 수면, 房事, 운동과 양생
6. 한의학 양생이론의 현대적 의의
제2절 노인생리
1. 노화의 개념
2. 노인의 생리적 특징
3. 수명에 영향을 주는 요인
제7장 체질 생리
제1절 체질의 개념
제2절『黃帝內經』의 체질 이론
1.「靈樞?通天」의 五態人論
2.「靈樞?陰陽二十五人」의 五形人論
제3절『東醫壽世保元』의 四象體質 이론
1. 사상체질과 臟局 大小
2. 사상인의 생리, 심리적 특성
3. 사상인의 병태생리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