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88930314411
· 쪽수 : 396쪽
· 출판일 : 2009-08-31
목차
제1장 교육이란 무엇인가
1. 교육이란 무엇인가
1) 교육의 개념
2) 교육의 어원
3) 교육 개념의 변천
2. 교육의 효과와 기능
1) 교육의 효과와 한계
2) 교육의 본질적 기능
3. 교육과 관련 있는 개념들
1) 교화의 의미와 특징
2) 훈련과 훈육의 의미
4. 교육학의 이해
1)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2) 교육학의 연구영역
제2장 어떤 인간으로 가르치는가
1. 관념론 인간 형성의 교육원리
2. 실재론 인간 형성의 교육원리
1) 합리적 실재론
2) 자연적(과학적) 실재론
3. 자연주의 인간 형성의 교육원리
4. 프래그머티즘 인간 형성의 교육원리
5. 항존주의 인간 형성의 교육원리
6. 본질주의 인간 형성의 교육원리
7. 재건주의 인간 형성의 교육원리
8. 실존주의 인간 형성의 교육원리
9. 비판이론 인간 형성의 교육원리
제3장 누가 가르치는가
1. 교직의 특성
1) 교직에 대한 여러 가지 관점
2) 교직의 전문성
2. 교사의 개념
1) 교사관의 변화
2) 전문 교사의 조건
3. 교사의 자질
1) 좋은 교사, 효과적인 교사
2) 교사의 바람직한 성격
3) 철학이 있는 교사
4. 교사의 역할
1) 역할의 개념
2) 기본적 역할
3) 교사의 인간관계 역할
4) 업무의 다양성
5. 교원의 권리
1) 교권의 개념
2) 적극적 권리
6. 교원의 의무
1) 적극적 의무
2) 소극적 의무
7. 교직의 전망
제4장 누구를 가르치는가
1. 인간이해의 심리학적 접근
1) 행동주의 심리학과 인간
2) 인지주의 심리학과 인간
3) 정신분석학과 인간
4) 인간주의 심리학과 인간
2. 인간의 특성과 교육
1) 인간의 인지적 특성
2) 인간의 정의적 특성
3. 인간발달과 교육
1) 인간발달의 개념과 원리
2) 인간발달이론
4. 학습이론과 교육
1) 행동주의 학습이론
2) 인지주의 학습이론
제5장 어디에서 가르치는가
1. 사회?문화?교육
1) 사회와 문화
2) 사회?문화?교육
2. 사회화와 교육
1) 사회화의 개념
2) 사회화 기관
3) 사회화 방법
3. 교육사회학 이론
1) 기능이론
2) 갈등이론
3) 신교육사회학
제6장 무엇을 가르치는가
1. 교육과정의 개념
1) 계획된 교육과정
2) 전개된 교육과정
3) 실현된 교육과정
4) 잠재적 교육과정
5) 영 교육과정
2. 교육과정의 유형
1) 교과중심 교육과정
2) 경험중심 교육과정
3) 학문중심 교육과정
4) 인간중심 교육과정
3. 교육과정의 구성
1) 교육목표의 수립
2) 교육내용의 선정
3) 교육내용의 조직
4) 교육과정의 평가
4. 한국 교육과정의 변천
1) 교수요목기
2) 제1차 교육과정
3) 제2차 교육과정
4) 제3차 교육과정
5) 제4차 교육과정
6) 제5차 교육과정
7) 제6차 교육과정
8) 제7차 교육과정
9) 교육과정 정책의 변화
제7장 어떻게 평가하는가
1. 교육평가의 개념
2. 교육평가의 기능
3. 교육평가의 유형
1) 평가기능에 따른 유형
2) 평가기준에 따른 유형
3) 평가대상에 따른 유형
4. 교육평가의 문항 유형
1) 선택형
2) 서답형
5. 평가도구의 양호도
1) 타당도
2) 신뢰도
3) 객관도
4) 실용도
6. 수행평가
1) 수행평가의 개념
2) 수행평가 방법
제8장 어떻게 가르치는가 Ⅰ
1. 교수-학습의 개념
1) 교수와 학습
2) 교수와 학습의 차이
3) 교수-학습의 원리
4) 교수-학습의 성립요소
2. 교수-학습방법의 유형
1) 고전적 교수-학습방법
2) 지력개발 교수-학습방법
3) 상호작용 촉진 교수-학습방법
4) 개별화 교수-학습방법
5) 공학적 교수-학습방법
6) 치유적 교수-학습방법
3. 수업설계의 의미와 모형
1) 수업설계의 의미
2) 수업 설계 모형
제9장 어떻게 가르치는가 Ⅱ
1. 교육공학의 이해
1) 교육공학의 개념
2) 교육공학의 연구 영역
3) 교육공학의 발달 과정
2. 교수공학적 교수매체
1) 교수매체의 개념
2) 교수매체의 역할
3) 교수매체의 선정과 활용
3. 컴퓨터의 교육적 활용
1) 컴퓨터 활용의 필요성
2) 컴퓨터의 교육적 활용방법
4. 원격교육
1) 원격교육의 역사와 정의
2) 원격교육의 특성
3) 원격교육에 활용는 매체와 테크놀로지
제10장 어떻게 가르치는가 Ⅲ
1. 생활지도
1) 생활지도의 의미
2) 생활지도의 필요성
3) 생활지도의 목표
4) 생활지도의 영역
5) 생활지도의 활동
2. 상담
1) 상담의 의미
2) 상담의 기본원리
3) 상담의 기법
4) 상담의 이론
제11장 어떻게 지원하는가
1. 교육행정의 의미
2. 교육행정의 원리
1) 법치행정의 원리
2) 민주성의 원리
3) 효율성의 원리
4) 자주성의 원리
5) 적응성의 원리
6) 안정성의 원리
3. 교육행정 이론의 발달
1) 고전적 조직이론
2) 인간관계론
3) 행동과학론
4) 다원론
4. 교육행정 조직
1) 교육행정 조직의 형태
2) 우리나라 교육행정 조직
5. 장학
1) 장학의 개념
2) 장학의 유형
3) 장학의 원리
4) 장학의 방법
6. 학급경영
1) 학급경영의 의미
2) 학급경영의 영역
3) 학급경영의 원리
4) 학급경영의 실제
제12장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가
1. 평생교육 시대의 도래
1) 지식기반사회의 교육패러다임
2) 학교교육의 위기와 평생교육
3) 직업세계의 변화와 계속교육
4) 고령화 사회와 평생학습
5) 현대인의 정신적 위기 극복과 여가교육
2. 평생교육론의 형성
1) UNESCO의 평생교육
2) OECD의 평생교육
3) 평생교육의 개념 정립
3. 21세기 평생학습사회
1) 평생교육과 평생학습
2) 평생학습사회의 의미
3) 21세기의 평생학습사회 실현을 위한 교육의 네 기둥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