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과정/교육평가
· ISBN : 9788930315241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11-09-20
책 소개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정보격차의 개념 및 현황
1. 정보격차의 개념
1) 정보격차의 정의
2) 정보격차 관련 연구
2. 정보격차 현황
1) 정보격차지수
2) 취약계층 인터넷 이용 및 PC 보유 현황
3) 취약계층 내 정보격차 현황
4) 취약계층의 인터넷 이용 행태 및 특성
5) 인터넷 이용에 따른 일상생활 변화 정도
6) 정보격차 현황 분석 결과에 대한 종합 논의
제3장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적 접근
1. 국내 추진 사례
1) 소외계층 PC 및 인터넷 통신비 지원
2) 소외계층 정보이용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지원
2. 해외 추진 사례
1) 소외계층 아동의 정보 접근성 지원
2) 정보이용 능력 향상 지원
3)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해외 기업 사례
4)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각국의 노력
제4장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정보교육
1. 21세기 학습자가 갖추어야 할 역량
1) 핵심 과목과 21세기 주제들
2) 학습과 혁신 기술
3) 정보, 미디어와 테크놀로지 기술
4) 삶과 진로 기술
2.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개념 및 관련 연구
1) 문제해결력과 창의성의 관계
2) 창의적 문제해결력
3.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교육 사례
1) 국내 사례 1 [창의적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온라인 창의성 과학교실 운영]
2) 국내 사례 2 [창의 체험 마당 프로그램 구안 및 적용을 통한 창의성 증진 사례]
3) 해외 사례 [미국의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 사례-학업창의력 심화 프로그램]
4. 정보기술 유창성의 개념 및 관련 연구
1) 정보기술 유창성의 개념
2) 정보기술 유창성 향상을 위한 교육 사례
제5장 창의적 정보교육 프로그램
1. 교육목표 및 내용
1) 연구 방법
2) 델파이 연구 결과
3) 목표 및 내용 체계의 구성
2. 교수 학습 및 평가 전략의 설계
1) 과제 중심 교수 전략
2) 창의적 문제해결 전략
3) 교수 학습 단계
3. 프로그램 설계 원리
1) 브레인스토밍
2) RAT
3) 형태분석법
4) 여섯 가지 색깔 모자 사고
5) 시네틱스
6) 스캠퍼
7) PMI
8) 교수 학습 도구의 선정
4. 프로그램 내용 체계
제6장 현장 적용 사례
1. 연구 방법
1) 연구 가설
2) 연구 대상
3) 연구 설계
2. 현장 적용 프로그램
제7장 요약 및 결론
1. 연구의 배경, 목적과 방법론적 특성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연구 방법론적 특성
2.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정보교육 프로그램의 특성
1) 교육 내용적 측면
2) 교육 방법적 측면
3) 교수 설계적 측면
3. 현장 적용 사례 연구 결과에 따른 시사점
4.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향후 과제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