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88930319249
· 쪽수 : 238쪽
· 출판일 : 2022-02-10
책 소개
목차
제1부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해
제1장 유아 다문화교육
1. 다문화 사회의 이해
2. 유아 다문화교육의 필요성
3. 유아교육에서 다문화교육
4. 다문화교육 정책학교(유치원)
5. 다문화교육의 동향
제2장 다문화교육의 이론
1. 단일문화주의
2. 다문화주의
3. 간문화주의
4. 비판적 다문화주의
제3장 유초연계 다문화교육
1. 유초연계 다문화교육의 이해
2. 유초연계 다문화교육의 목적
3. 유초연계 다문화교육의 방법
1) 다문화주의적 접근
2) 간문화주의적 접근
3) 비판적 다문화주의적 접근
제4장 다문화교육의 초등학교로의 전이
1. 전이에 대한 이해
1) 전이의 개념
2) 연계와 전이
2. 생태학적 전이에서 바라본 다문화 가정과 유아
3. 수직적 전이와 수평적 전이
4. 다문화 가정 유아의 초등학교 전이과정
1) 도취-도전
2) 충격
3) 적응과 안정화
제2부 유초연계 다문화교육 정책지원 방안
제5장 전이 모델
1. 기술 위주의 모델(skills only model)
2. 환경적 투입 모델(environmental input model)
3. 연계적 환경 모델(linking environments model)
4. 발달적 모델(developmental model)
제6장 전이 모델과 준비도
1. 성숙주의
2. 환경주의
3. 사회적 구성주의
4. 상호작용주의
제7장 생태체계이론에서 살펴본 전이
1. 미시체계(microsystem)
1) 가정의 역할
2) 교육기관의 역할
2. 중간체계(mesosystem)
3. 외체계(exosystem)
4. 거시체계(macrosystem)
제3부 유초연계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제8장 유초연계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대상
1. 다문화 가정 유아
2. 다문화 가정 부모
3. 지역공동체
제9장 유초연계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구성과 진행 원리
1. 프로그램의 구성 원리
1)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
2) 가족중심 접근법
3) 기능적인 교육과정 접근법
4) 초학문적 모델
5) 사회적 네트워크 강화
2. 프로그램의 진행 원리
1) 수평적 연속성
2) 수직적 연속성
3) 대상의 확대
4) 가족 구성원의 장점에 초점
5) 개별적 유아들의 요구
6) 관계 간의 연계성(협력적 관계)
7) 프로그램 발전을 고려
3. 프로그램 진행 절차
제10장 인적자원 장비
1. 협력팀(collaborative team) 구성원의 선정
1) 지역전이교육팀
2) 학교전이위원회
2. 협력팀 구성원의 역할 및 책임
1) 팀 구성원의 역할과 책임
2) 각 팀별 역할과 책임
3. 전이교육조정자(Transition Coordinator)의 지정
1) 전이조정자의 역할
2) 조정자의 능력
제11장 다문화 유아와 가족의 필요 파악
1. 가계도 및 생태도
1) 가계도(Genogram) 작성
2) 생태도(Eco-Map) 작성
3) 사회적 지지망
2. 검사
3. 요구도
제12장 활동 계획 및 실행
1. 요구도 평가
1) 다문화 가정 유아의 개인력/가족력
2) 다문화 가족의 사회적 관계
2. 개별화 전이 프로그램-아이디어(활동)의 생성
3. 장애 요소 예측
4. 개별화 전이 프로그램-아이디어(활동) 및 일정 수정
5. 전이 프로그램 일정 수립
6. 실행계획
1) 가족-학교 관계
2) 다문화 가정 유아와 학교 관계
3) 또래 관계
4) 공동체와 연계
제13장 평가 및 수정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