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도시/환경공학 > 환경학
· ISBN : 9788930319669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24-06-20
책 소개
목차
제1장 실내공기질 개론
1.1 실내공기질 개념
1.1.1 실내공기질의 이해
1.1.2 실내공기질의 중요성
1.1.3 실내공기질의 사적 및 공적 개념
1.1.4 실내공기, 대기환경 및 산업(환경)보건
1.2 실내공기질 역사
1.3 한국의 실내공기
1.4 실내공기질 미래
제2장 공기의 특성과 성질
2.1 공기의 특성
2.1.1 공기의 조성
2.1.2 기체와 기체압력
2.1.3 기체의 법칙
2.1.4 이상기체법칙
2.1.5 기체의 분자속도
2.1.6 가스와 증기
2.1.7 평균자유행로
2.2 측정단위
2.2.1 단위농도
2.2.2 무단위농도
2.2.3 농도변환
2.3 공기의 성질
2.3.1 유체
2.3.2 입자상 물질
제3장 실내공기질 주요 개념
3.1 실내공기질과 노출평가
3.1.1 노출 개념
3.1.2 노출평가
3.1.3 실내공기질의 노출
3.2 실내공기와 수용체
3.2.1 개요
3.2.2 수용체 모델
제4장 실내공기질 및 건강영향
4.1 공기와 건강영향
4.2 실내공기와 건강영향
4.2.1 인체의 산소 소비 및 이산화탄소 발생
4.2.2 가스상 공기오염물질
4.2.3 입자상 공기오염물질
4.2.4 환경성 담배연기
4.2.5 빌딩증후군
4.2.6 새집증후군
제5장 실내공기질 영향 요인 및 모델링
5.1 실내공기환경
5.2 실내공기질 모델
5.2.1 모델링
5.2.2 실내환경의 물질수지
제6장 실외공기질
6.1. 대기오염
6.1.1 대기의 구성
6.1.2 대기오염
6.1.3 대기오염의 영향
6.1.4 대기오염의 방지대책
6.2 대기오염의 실내공기질 영향
제7장 실내외 환기
7.1 실내환경의 환기 개념
7.1.1 환기
7.1.2 환기와 실내공기질
7.1.3 환기 개념의 변화
7.2 환기방법
7.2.1 침투
7.2.2 자연환기
7.2.3 기계적 환기
7.3 환기량 측정
7.3.1 시간당 공기교환 횟수
7.3.2 추적가스법을 이용한 침투 및 자연환기의 측정
7.3.3 기계적 환기에서 환기량 측정
7.3.4 환기효율
7.4 필요 환기량
제8장 실내 발생
8.1 실내 및 실외 발생원
8.2 실내공기 오염물질 발생
8.2.1 연소(취사 및 난방)에 의한 발생
8.2.2 건축자재에 의한 발생
8.2.3 생활용품에 의한 발생
8.2.4 작업실내환경에 의한 발생
8.3 대책
제9장 실내 반응 및 감소
9.1 실내 반응 및 감소 개념
9.2 실내환경 화학
9.2.1 실내환경 내부 표면반응
9.2.2 다른 공기오염물질과 실내환경의 공기오염물질 반응
9.3 감소상수 및 침착속도
9.3.1 반응기를 이용한 반응 감소상수
9.3.2 현장 실내환경에서의 감소상수 실험
제10장 실내공기질 평가 및 제어
10.1 실내공기질 평가
10.1.1 실내공기질 측정을 통한 평가
10.1.2 발생량 및 감소량을 이용한 실내공기질 평가
10.1.3 모델링을 이용한 실내공기질 평가
10.2 실내공기오염 제어
10.2.1 행정적 대책
10.2.2 공학적 대책
10.2.3 공기정화기술
제11장 실내공기질 측정 및 분석
11.1 실내공기 시료 특성
11.2 정도관리 및 정도보증
11.2.1 오차
11.2.2 정확도 및 정밀도
11.3 실내환경 통계
11.3.1 자료의 분포
11.3.2 기하평균과 기하표준편차의 계산
11.3.3 검출한계
11.4 실내공기질 측정 개요
11.4.1 능동식 시료채취 및 분석
11.4.2 수동식 시료채취 및 분석
11.4.3 자동식 시료채취 및 분석
11.5 실내공기질 공정 시험방법
11.5.1 적용범위
11.5.2 공동주택 실내공기질 시험방법
11.5.3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 시험방법
11.5.4 오염물질 방출 건축자재 시험방법
11.5.5 정도관리(QA/QC)
제12장 실내공기질 및 위해성 평가
12.1 위해성 평가의 필요성
12.2 위해성 평가의 이해
12.2.1 위해성 평가
12.2.2 수용체(receptor) 위주의 환경관리
12.2.3 위해성 평가의 활용
12.3 실내공기질 위해성 평가
12.3.1 위해성 평가의 4단계
12.3.2 실내공기질 위해성 평가 및 관리
12.3.3 목표 정화 수준
제13장 실내공기 관리 및 법규
13.1 실내공기오염 관련 법규
13.1.1 기준 설정단계
13.1.2 실내공기질 관련 법률 소송
13.2 한국의 실내공기질 관리 및 법규
13.2.1 한국의 실내공기질 법규 연혁
13.2.2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법 주요 내용
13.2.3 신축 공동주택 실내공기질 관리 주요 내용
13.2.4 사무실 공기관리
13.3 외국의 실내환경관리
13.3.1 미국
13.3.2 유럽
13.3.3 캐나다
13.3.4 싱가포르
13.3.5 호주
13.3.6 일본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