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사/교육철학
· ISBN : 9788930653084
· 쪽수 : 364쪽
· 출판일 : 2025-11-10
책 소개
도덕교육이 단순히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지적 훈련을 넘어, 타인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느끼며 더 나은 미래를 상상하는 능력을 키우는 과정이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서광사에서 출간한 『도덕적 상상력이 세상을 밝힌다』는 교육의 도덕적 차원을 재조명하고, 미래 세대를 위한 새로운 도덕교육의 방향을 제시한다.
이 책은 워싱턴 대학교 보셀 캠퍼스 명예교수인 파멜라 B. 조셉이 40여 년의 연구와 교사교육 경험을 집대성해 2024년에 출간한 저작으로, 『인권·환경·평화를 위한 도덕교육』 등을 저술한 광주교육대학교 노희정 교수가 우리말로 옮겼다. 저자는 도덕성을 이성과 감정, 문화의 복합적 상호작용으로 바라보며, 교육자들이 도덕적 발달의 복잡성을 이해하고 실천적 통찰력을 갖추도록 돕고자 이 책을 집필하였다. 이 책은 도덕성과 윤리, 도덕 발달, 도덕교육의 다면적 본질을 탐구하여 교육자들에게 이론과 쟁점, 실천, 커리큘럼 개발에 대한 명료하면서도 심오한 통찰을 제공한다.
1장에서는 도덕성, 윤리, 그리고 도덕적 상상력의 개념을 정립하며, 도덕적 상상력의 핵심 구성 요소로 도덕적 감정, 도덕적 지각, 윤리적 추론, 비판적 성찰, 미래 비전 구상하기를 제시한다. 2장과 3장에서는 인간 본성과 도덕성의 관계, 도덕적 감정과 추론의 발달 과정을 심리학적 관점에서 탐구한다. 4장과 5장은 문화와 도덕적 사회화의 상호작용, 학교 문화와 교실이 도덕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다.
6장에서는 배려공동체, 민주공동체, 봉사 학습, 정의공동체, 회복적 정의 등 구체적인 도덕적 학교·교실 관행을 소개한다. 7장은 전통적 가치와 덕목에서 변혁적 도덕교육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도덕교육 커리큘럼을 체계적으로 검토하며, 인권교육, 생태정의 교육, 평화교육, 세계화 교육 등 현대 사회가 요구하는 변혁적 접근법을 제안한다. 8장에서는 교사의 윤리적 전문성과 도덕적 상상력을 강조하며, 교사가 갖추어야 할 도덕적 소명, 윤리적 인식, 비판적 성찰 능력을 상세히 논한다.
이 책은 학부 및 교육대학원의 교사 양성 과정, 경력 교사를 위한 전문성 증진 과정, 교사교육 지도자를 위한 학위 과정, 일반 인문학 강좌 등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으며, 도덕교육의 새 지평을 열고자 하는 연구자와 교육자들에게 필독서가 될 것이다.
목차
서언 … 5
감사의 글 … 11
서문 … 17
1장 도덕성, 윤리 그리고 도덕적 상상력 … 25
1. 도덕성 … 27
1.1 이상적 가치와 실제적 가치 … 28
1.2 관습적 도덕과 반성적 도덕 … 29
1.3 도덕적 능력 … 31
2. 윤리 … 38
2.1 윤리의 정의 … 38
2.2 윤리와 도덕성 … 40
3. 도덕적 상상력 … 42
3.1 도덕적 상상력의 구성 요소 … 42
3.2 도덕적 상상력의 중요성 … 47
참고문헌 … 49
2장 인간의 본성과 도덕성 … 59
1. 인간의 본성과 도덕성에 대한 가정 … 61
2. 도덕적 성향 … 62
3. 의존성과 애착 … 68
4. 인간의 지속적 욕구와 도덕적 능력 … 74
5. 초월적 인간 욕구: 도덕적 행위와 정체성 … 77
6. 생존 욕구와 도덕적 기능 장애 … 80
참고문헌 … 86
3장 도덕성 함양: 감정과 추론 … 95
1. 도덕적 감정 … 96
2. 배려 윤리 … 102
3. 도덕적 추론 … 105
4. 합리적 도덕성과 정의의 윤리 … 113
5. 머리와 마음의 통합 … 117
참고문헌 … 119
4장 도덕성 함양: 문화와 사회화 … 131
1. 문화와 도덕 … 132
1.1 문화가 가치에 미치는 영향 … 133
1.2 자녀 양육: 문화적 도덕 학습 … 136
2. 도덕적 사회화 … 139
2.1 주요 사회화 이론 … 140
2.2 자녀 양육: 도덕적 사회화 … 142
2.3 도덕적 사회화: 또래와 미디어 … 149
참고문헌 … 153
5장 도덕적 사회화와 학교 문화 … 165
1. 도덕적 사회화와 학교교육 … 166
2. 도덕적 사회화와 훈육 … 172
3. 문화와 학교교육 … 183
참고문헌 … 190
6장 도덕적인 학교와 교실 … 205
1. 윤리적 학교 문화 … 207
1.1 분위기 … 208
1.2 에토스 … 211
2. 도덕적 교실 및 학교 관행 … 213
2.1 배려공동체 … 213
2.2 민주적 공동체 … 218
2.3 봉사 학습 … 220
2.4 정의공동체 … 225
2.5 회복적 정의 … 228
참고문헌 … 232
7장 도덕교육 커리큘럼: 전통에서 변혁으로 … 245
1. 전통적 가치와 덕목 … 248
1.1 문화 유산 … 248
1.2 인격교육 … 255
2. 윤리적 추론 … 263
2.1 도덕적 대화 … 264
2.2 어린이와 함께하는 철학 … 266
2.3 커리큘럼 전반에 걸친 윤리적 탐구 … 269
3. 변혁적 도덕교육 … 274
3.1 변혁을 위한 도덕교육 … 275
3.2 변혁적 커리큘럼과 교육학 … 276
참고문헌 … 283
8장 윤리적 교사와 도덕적 상상력 … 305
1. 교직과 도덕적 전문성 … 306
1.1 유덕한 교사 … 307
1.2 전문직 윤리강령 … 308
1.3 도덕적 성향 … 310
2. 교사와 도덕적 상상력 … 312
2.1 도덕적 감정: 배려와 도덕적 소명 … 314
2.2 도덕적 지각: 현존감과 정체성 … 318
2.3 윤리적 추론: 윤리적 인식과 의무 … 322
2.4 비판적 성찰: 윤리적 딜레마와 자기 성찰 … 324
2.5 미래 비전 구상하기: 도덕적 행위, 변혁적 교육학, 그리고 활동가 정체성 … 329
참고문헌 … 337
옮긴이의 말 … 353
색인 … 359
인명색인 … 36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