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34115076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15-12-25
책 소개
목차
추천사(최갑종/ 백석대학교 총장, 신약학 교수) / 5
추천사(임석순/ 대신총회신학교 총장, 한국중앙교회 담임목사) / 7
머리말 / 9
제1장 로마서의 새로운 해석
1. 로마서는 왜 이해하기 어려운가? / 24
2. 바우르(F. C. Baur) 이후 로마서의 새로운 해석 / 29
3. 본서의 목적: 로마서의 교회론적 해석 / 39
제2장 로마서의 상황
1. 바울의 상황 / 46
2. 로마교회의 특수한 분열상황 / 49
3. 로마서의 복합적인 상황 / 55
제3장 상황적 편지로서의 로마서 해석에 대한 고찰
1. 베이커(J. Christiaan Beker)의 상황성과 일관성의 통합적 해석:
하나님의 승리와 유대인과의 대화 / 59
2. 슈툴마허(P. Stuhlmacher)의 본문과 이해일치의 해석:
하나님의 의와 로마 그리스도인들과의 대화 / 66
3. 던(James D. G. Dunn)의 수평적인 사회학적 해석:
하나님의 은혜와 언약 백성으로서의 자아 이해 / 71
4. 쥬엣(R. Jewett)의 선교를 위해 일치하는 교회론적 해석:
하나님의 공평과 상호존경에 의한 일치 / 78
5. 결론 -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일치하는 교회론적 해석:
하나님의 영광과 자기희생의 봉사적 자세에 의한 일치 / 82
제4장 로마서의 일관성과 목적
1. 로마서의 설득을 위한 수사학적 구조 / 88
2. 로마서의 상황적 주제와 일관성 / 92
3. 로마서의 목적: 교회의 일치에 의한 하나님의 영광의 회복 / 99
제5장 로마서 14:1-15:13의 구조와 내용 분석
1. 로마교회의 특수 상황(14:1-12) / 105
2. 강한 자와 약한 자의 새로운 변화(14:13-23) / 122
3. 교회의 일치를 위한 상호 수용(15:1-13) / 134
제6장 로마서에 나타난 하나님의 영광
1. 구약에 나타난 하나님의 영광 / 150
2. 신약에 나타난 하나님의 영광 / 156
3. 로마서에 나타난 하나님의 영광 / 167
제7장 교회의 목표인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일치
1. 서언(1:1-17) / 173
2. 교회의 목표인 하나님의 영광(1:18-11:36) / 182
3.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교회의 일치(12:1-15:13) / 201
4. 결어(15:14-16:27) / 220
제8장 결론 / 224
참고문헌 / 233
저자소개
책속에서
특히, 로마서의 목적에 있어서 신약학계에서는 신학적, 선교적, 목회적 목적이 있음을 인정하고 있다. 본서는 이 중에서 목회적 목적이 주된 목적임을 입증하려고 하며, 창세 이후 오랜 역사를 가진 구속사의 완성을 바라보면서, 죄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영광이 상실되었지만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영광을 소망할 수 있게 만든 복음을 기초하고,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일치’라는 교회론적 관점에 의한 주제를 가지고 로마서를 해석하고자 한다.
로마서 본론의 전반부에서 중심 주제를 찾은 루터가 개인의 구원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원론적인 관점을 가지고 로마서를 해석한 것과는 달리, 바울은 공동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회론적인 관점을 가지고 로마서를 쓴 것으로 분석된다. 왜냐하면 로마교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편지를 쓴 바울은 본론의 후반부(롬 12:1-15:13)에서도, 특히 로마서 15:5-6에 분열된 로마교회의 일치를 위해 하나님께 간절히 기도하는 내용이 있고, 여기에서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일치’가 강조되기 때문이다. 바울이 이러한 소원을 가지게 된 것은 로마교회의 분열로 말미암아 그리스도 안에서 서로 수용할 수 있는 덜 중요한 문제로 교회붕괴의 더 중대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사실, 그동안 구원론적 관점에 의한 해석을 통해 강조된 ‘하나님의 의’ 때문에, 교회론적 관점에 의한 해석에서 강조되는 교회의 일치의 주제가 주목을 받지 못했다. 아마 그 이유는 로마서에 “에클레시아”(ecclesia)가 16장에만 5번 나올 뿐, 로마서 1-15장에는 한 번도 나타나지 않는다고 하여 교회론적 해석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가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그런데 로마서가 상황적 편지로 인정되면서 로마교회의 분열상황은 교회론적 관점을 가지고 해석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다만, 이것의 어려운 점은 본론의 후반부의 주제가 교회의 일치에 대한 내용이라면, 로마서 1-11장의 긴 서론이 왜 필요한가 하는 질문에 설득력 있게 답변해야 하는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