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신앙생활 > 예배/기도/묵상(QT)
· ISBN : 9788934120308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19-09-2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김 상 구 박사_백석대학교 신학대학원 실천신학 교수
최 승 근 박사_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예배학 교수 외 14인
머리말 스콧 M. 깁슨 박사
저자 서문
역자 서문
서론
제1부 이론편
제1장 성경적 예배의 정의
제2장 강해적 예배-본문 선택과 연구하기
제3장 강해적 예배-예전적 아이디어 형성하기
제4장 강해적 예배 구성하기
제5장 강해적 예배 인도하기
제6장 결론
제2부 실천편
제1장 예전적 아이디어 연습 문제지
제2장 예배 평가 양식
제3장 사례 연구
추천 자료
책속에서
이 책에서 내가 바라는 것은 서로가 공유하는 이론과 방법을 통해 설교자들과 예배 인도자들이 더욱 친밀하고 조화를 이루며 함께 사역하도록 돕는 것이다. 궁극적인 목표는 두 그룹 모두가 예배자들을 섬기는 것이고, 따라서 “한 마음과 한 입으로 하나님 곧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께 영광을 돌리게”(롬 15:6) 하는 것이다.
구두로 전해지는 설교 말씀과 긴밀하게 연결된 것은 성례, 세례와 성찬 등의 구체화된 말씀이다. 설교와 성례는 예배를 위한 규범들이다. 설교가 세례와 성찬을 하는 것에 대해 설명함으로써, 그것은 “마술”이 아니라 말씀에 충실히 반응해야 하는 복음의 구체적 표현으로 보이게 된다. 이러한 행위들은 말씀의 초월성과 성육신이라는 두 실제를 가리키면서 복음 설교를 구체화시킨다. 심지어 예배에 설교와 성례가 포함되지 않을 때에도, 이 요소들의 부재가 규범과는 다른 예배라는 사실을 가리킨다.
성경적 예배(biblical worship)는 예배를 이끌어 가는 데 참여한 모든 사람이 예배를 위한 중심 본문의 해석을 요구하는데, 그것은 바로 리더십이 성경 본문의 의미를 잘 파악하도록 하려는 것이다. 적어도 이것은 본문을 반복적으로, 되도록 여러 개의 번역으로 읽는 것을 뜻하는데, 스스로에게 관찰하게 하고(누가, 무엇을, 어디서, 언제), 해석하게 하고(어떻게 그리고 왜), 적용하게 하는 간단한 귀납적인 방법을 따르며 읽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