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선교/전도
· ISBN : 9788934123118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21-07-07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20
용어 정의(Definition)
제1장 찾아가는 선교(To Reach Out Mission field: Incarnation)
제2장 교회가 교회 되게(A Church to Become The Church)
제3장 인디저너스 처치(Indigenous Church)
제4장 보냄을 받은 자(The One Who Was Sent)
제5장 동반 협력을 통한 인디저너스 처치(Indigenous Church Through Cooperation)
제6장 동질 집단의 원리(Homogeneous Unit Principle)
제7장 교회 가치 업그레이드하기(Upgrading Church’s Value)
제8장 인디저너스 처치 현장 연구(Field Research for Indigenous Church)
제9장 파일럿 프로젝트(Pilot Project, Simulation)
제10장 체인지 다이나믹스(Change Dynamics: Leadership Program)
에필로그
부록
인용 문헌(References cited)
저자소개
책속에서
2019년 몽골 YWAM은 700여 개 교회 중 80여 개 교회를 설립했고, 내가 소속한 ‘YWAM 다르항(Darkhan) 베이스’는 12개의 교회를 설립해 몽골 땅을 섬기고 있다. ‘YWAM’에서 ‘동질 집단’인 유목민들에게 복음을 전하고 토착 교회를 설립하고 있다. 교회 구조는 여러 종류의 사람, 여러 신앙의 색깔, 여러 계층의 사람을 다 수용해야 하며 섬기고 도와야 한다. 그러면 교회가 ‘동질 집단’의 모임만을 고수해야 하는가? 동질 집단만을 고집한다면 많은 부작용이 따라올 수 있다. 동질 집단만의 모임을 한다면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그 속에 들어가지 못해 소외를 당하거나 상처를 받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유목민들 사이에 토착 교회를 세우고 자발적으로 딸 교회나 손녀 교회를 세우도록 하는 것은 낙타가 바늘귀 구멍으로 들어가기처럼 어렵다. 왜냐하면, 그들은 정착해 있는 것보다 움직이는 것을 좋아한다. 그러나 토착 교회가 세워지는 과정은 어렵지만, 그 과정이 지나고 나면 자연적으로 교회는 성장한다.
셀그룹으로 시작한 것이 배가되며 팽창하기 시작했다. 성도들은 늘어나기 시작해 협소한 집 교회에서 큰 공간으로 옯겨 예배를 드렸다. 몇 개월 만에 성도의 수는 배로 늘어났다. 마침내 세르긍만달교회 지도자들은 내게 제안했다. “우리 교회를 건축합시다.” 이때 나는 ‘그들의 마음이 변질되어가는구나’라고 판단하는 마음을 갖게 되었다. “재정도 없고 땅도 없는데 어떻게 건물을 지을 겁니까? ” “우리 몽골 사람들이 세 명의 명의로 1,000평 이상의 땅을 정부로부터 무료로 받을 수 있습니다.” “매주일 주정헌금 이외 건축헌금을 하겠습니다.” 몽골 현지인들은 예수를 믿고 신앙이 성숙해짐에 따라 하나님의 교회를 사랑하고 자전, 자립, 자치를 하려는 마음이 생기기 시작했다. 필자는 하나님께 감사와 회개의 기도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