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23743
· 쪽수 : 382쪽
· 출판일 : 2021-12-10
책 소개
목차
-
추천사 1
강웅산 박사│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조직신학 교수
노진준 목사│순회 설교자
박성일 박사│필라델피아 기쁨의교회 담임,
Westminster eological Seminary 겸임교수
전정구 박사│Faith eological Seminary 성경신학 조직신학 교수
조진모 박사│전 합동신학대학원 역사신학 교수
박응규 박사│아신대학교 역사신학 교수
프롤로그 21
저자 서문 25
칭의와 하나님 나라 시리즈 약어표(Abbreviations) 33
칭의의 나라 38
제1장 복음, 칭의 그리고 예수님 40
1. 칭의(의롭다 하심)의 나라 40
2. 복음과 예수 그리스도 48
3. 복음과 칭의 62
1) 칭의의 부정 63
(1) 칭의(의롭다 하심)의 근거 부정 64
(2) 은혜와 내재적 의 67
2) 하나님의 은혜 부정 70
(1) 토마스 아퀴나스(omas Aquinas: 1225–1274)의 은혜 증가 73
(2) 중교개혁자들의 반격 76
4. 칭의 79
1) 칭의란 무엇인가? 80
2) 칭의(의롭다 하심)의 조건들 84
제2장 칭의의 조건, 예수 그리스도의 완전한 순종 89
1. 칭의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순종 89
1) 십자가 순종은 칭의(의롭다 하심)의 완전한 근거인가? 90
(1) 아담 언약의 대표자 아담의 불순종과십자가 순종 91
(2) 새 언약의 대표자 예수님과 십자가 순종 93
2) 예수 그리스도의 완전한 순종의 필요성 96
2. 칭의와 예수 그리스도의 완전한 순종 100
1) 좁은 의미의 완전한 순종(모세 율법 중심) 103
(1) 율법 안에 형벌의 말씀을 이루신 순종: 십자가 순종 106
(2) 율법 안에 사랑의 말씀을 이루신 순종: 하나님 사랑·이웃 사랑 113
(3) 결론 128
2) 넓은 의미의 완전한 순종 132
(1) 넓은 의미의 완전한 순종의 삶 134
(2) 넓은 의미의 완전한 순종과 은혜와 언약들 146
3. 결론 196
제3장 모든 언약의 성취, 예수 그리스도의 완전한 의의 전달 199
1. 예수 그리스도와의 연합(union with Christ) 200
1) 언약적·법적 연합(covenantal·legal union) 201
2) 실제적 연합(actual union) 207
3) 예수님 안에 하나 된 연합 211
4) 결론 216
2. 예수님의 완전한 의의 전가(옮겨짐, 여기심) 218
1) 언약적·법적 전가 222
(1) 아담 언약 223
(2) 아브라함 언약 224
(3) 모세 언약 227
(4) 이사야서의 이중 전가 230
(5) 새 언약 233
2) 실제적 전가 237
(1) 실제적 구속 역사 237
(2) 실제적 전가 240
3) 예수님 안의 전가 (옮겨짐, 여겨짐) 242
4) 결론 247
3. 칭의(의롭다 하심)의 믿음(이신칭의) 251
1) 오직 은혜로만(sola gratia), 오직 믿음으로만(sola fide)의 칭의 252
(1) 칭의의 믿음 254
(2) 칭의의 믿음의 기준 256
2) 언약적·법적 칭의의 믿음 259
(1) 로마서 4장 262
(2) 히브리서 11장 267
3) 결론 273
4. 칭의, 하나님 형상의 회복 276
1) 칭의와 하나님의 형상 277
2) 칭의와 하나님 형상의 회복 279
(1) 예수님 안의 하나님 형상 회복 279
(2) 예수님 안의 하나님 형상 회복의 특징 290
3) 칭의와 죄(죄책)에서 자유 299
(1) 죄책 (guilt) 300
(2) 죄(죄책)에서 자유 302
(3) 죄 오염과 자유 307
4) 결론 309
제4장 결론 : 예수님의 완전한 순종, 완전한 의로 복음을 주셨다 311
부록 A 하나님 나라는 이미 시작되었다 316
1. 하나님 나라 316
1) 영원한 하나님 나라는 언제 시작되었나? 318
2) 영원한 하나님 나라의 도래와 그 현재성 320
3) 이 세상과 오는 세상 324
4) 하나님 나라의 왕 예수 그리스도 328
2. 하나님 나라와 교회 333
1) 영원한 하나님 나라와 교회는 관계가 있는가? 335
2) 지상에서 하나님 나라의 삶이 가능한가? 339
주제 색인 348
성경 색인 368
저자소개
책속에서
신약은 우리에게 다른 정의들을 통해 하나님의 위대하신 은혜를 더 깊이 이해하게 도움을 준다. 예수님도 “의인들은 영생에 들어가리라”(마 25:46)고 하시면 칭의와 영생을 연결하셔서 말씀하셨다. 성경은 이와 같이 성경의 독자들이 관심 있어 하는 구원과 다소 생소한 영생과 칭의를 연결 하면서 우리의 이해를 돕고 있는 것이다. 우리가 지금까지 좁은 의미와 넓 은 의미로 살펴본 것도 이를 증명한다.
사복음서의 복음의 정의는 주로 ‘예수님를 믿으면 구원받고 영생을 얻게 된다’는 좁은 의미의 정의이다. 이에 비해 바울은 복음을 넒은 의미로 ‘예수 그리스도를 믿으면 예수님 안에서 의롭다 하심을 받는다’로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가 지금까지 본 바대로 바울이 다른 정의들과 그 기 본적 조건에 차별을 두는 것은 아니다. 다만 칭의를 통해 복음의 정의가 의미하는 바를 자세히 설명해 주고 있는 것이다.
분명한 것은 십자가 순종이 죄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하시는 의의 기준을 만족시킨 것이다. 따라서 예수님께서 하나님의 죄에 대한 진노하심을 담당하지 않으셨다면 죄인들의 칭의는 완전히 이뤄질 수 없었다(롬 5:9). 이런 이유에서 십자가 순종을 통한 죄 사함은 칭의를 위해서도 필요하다(마 26:28; 롬 3:23-26, 5:9; 고후 5:21). 로마서 5:9에서 성경은 칭의를 위한 십자가 순종을 말한다.
예수님께서 우리를 위해 완전한 순종을 통해 취득하신 완전한 의는 우리 신앙생활에 결코 흔들리지 않는 견고한 반석이다. 그래서 우리는 이 믿음의 반석 위에 굳게 서서 예수님의 사랑으로 무장하면 세상에게 우리에게 다가오는 모든 일(환난, 곤고, 박해, 기근, 적신, 위험, 죽음)에 넉넉히 이길 수 있다(롬 8:37). 성령님은 이 칭의에 대한 믿음으로 사는 자들을 세상에서 넉넉히 이기게 도와주시는 것이다(롬 8:37; 요일 5: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