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복지학
· ISBN : 9788939707887
· 쪽수 : 354쪽
· 출판일 : 2010-09-10
목차
제 1 부 가족복지의 기초
제1장 가족 및 가족복지의 이해
1. 가족의 개념 3
2. 가족복지의 개념 5
3. 가족복지의 기능과 목표 7
4. 가족복지의 대상 9
5. 가족복지의 주체 11
제2장 가족에 관한 이론
1. 이론적 관점에서의 가족 13
2. 가족상담(치료) 이론 22
제3장 사회변화와 가족의 다양성
1. 가족에 대한 관점의 다양화 36
2. 변화하는 가족 44
3. 가족생활주기 52
제 2 부 가족복지 실천
제4장 가족복지 정책
1. 가족정책과 가족복지정책의 개념 65
2. 가족복지정책의 유형 67
3. 외국의 가족복지정책의 동향 75
4. 한국의 가족정책 역사 78
5. 한국의 가족복지 관련 법 81
6. 한국 가족복지정책의 현황과 문제 88
제5장 가족복지 실천의 예방적 접근
1. 가족복지실천 94
2. 가족생활교육 95
3. 가족생활 교육 프로그램 내용 및 현황 99
4. 가족생활교육의 운영원칙 105
5. 한국 가정생활교육의 개선점 106
제6장 가족복지 실천과제
1. 가족사회복지사의 전문성 107
2. 가족복지 실천의 이슈 111
제7장 다문화 및 새터민 가족의 특성
1. 다문화 가족 127
2. 새터민 가족 139
제8장 한부모 및 이혼 가족의 특성
1. 한부모 가족 149
2. 이혼가족 155
제9장 폭력 및 알콜중독 가족의 특성
1. 가정폭력 및 학대 가족 166
2. 알콜 중독자 가족 182
제 3 부 가족복지 상담과정
제10장 초기단계
1. 초기단계의 과업 198
2. 초기단계에서 과업을 달성하기 위한 고려사항 206
3. 효과적인 상담을 위한 지침들 207
4. 자기인식 208
5. 가족사회복지사가 갖추어야 할 중요한 소양 211
제11장 상담중기
1. 가족사정의 개념 214
2. 가족 사정의 대상 216
3. 가족사정의 도구 221
4. 개입계획 세우기 232
5. 개입 236
제12장 상담종결단계
1. 종결의 유형 251
2. 종결의 과제 253
3. 종결을 진행하는 단계 256
4. 종결시 가족사회복지사의 과업 259
5. 클라이언트를 다른 전문가에게 의뢰하기 260
6. 사후지도 261
제13장 가족복지 사례연구 263
1. 일반적 가족상담 사례 263
2. 가족유형별 사례 264
참고문헌 274
부록 1 <가족상담 기록지> 279
부록 2 <가계도 작성시의 기본기호> 280
부록 3 <여성가족부의 가족복지정책의 비젼> 281
부록 4 <여성가족부행정 조직> 282
부록 5 <가족사정 도구> 283
1. 맥매스터 모델(McMaster model) 한국형(단축형) 척도 283
2. 순환모델에 따른 가족의 응집력과 적응성 척도 286
3.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기능 정도 289
부록 6 가족친화 사회환경의 조성 촉진에 관한 법률 294
부록 7 건강가정기본법 303
부록 8 한부모가족지원법 312
부록 9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322
부록 10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333
부록 11 다문화가족지원법 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