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7/9급 공무원 > 한국사 > 7/9급 교재
· ISBN : 9788941403784
· 출판일 : 2005-11-01
목차
제1편 선사문화와 국가의 형성
제1장 선사문화의 전개
제1절 자연환경과 한민족의 형성
제2절 구석기문화
제3절 신석기문화
제4절 청동기문화
제5절 철기문화
제2장 국가의 형성과 문화
제1절 고조선
제2절 여러 나라의 성장
제2편 고대사회의 발전
제1장 고대의 정치
제1절 고대국가의 성립
제2절 삼국의 정치적 변화
제3절 대외항쟁과 신라의 삼국통일
제4절 남북국시대의 정치변화
제5절 발해
제6절 고대의 정치구조
제2장 고대의 경제
제1절 삼국의 경제
제2절 통일신라의 경제
제3절 대외무역의 발달
제3장 고대의 사회
제1절 신분제 사회의 성립
제2절 삼국사회의 모습
제4장 고대의 문화
제1절 고대문화의 성격
제2절 사상의 발달
제3절 학문과 기술의 발달
제4절 예술의 발달
제5절 고대문화의 일본전파
제3편 중세사회로의 발전
제1장 중세사회의 성립
제1절 고려의 성립
제2장 중세의 정치와 그 변천
제1절 고려의 체제정비 과정
제2절 통치조직의 정비
제3절 귀족지배체제의 동요와 무신정권
제4절 대외관계의 변천
제3장 중세의 경제
제1절 경제정책과 경제구조
제2절 경제활동의 진전
제4장 중세의 사회
제1절 사회구조와 신분제도
제2절 백성들의 생활모습
제5장 중세문화의 발달
제1절 불교의 발달
제2절 도교와 풍수지리사상·무속
제3절 역사, 문화, 유학의 발달
제4절 과학과 예술의 발달
제4편 근세사회의 발전
제1장 근세사회로의 전환
제1절 신진사대부
제2절 조선의 성립과 근세조선
제2장 근세의 정치와 그 변천
제1절 정치체제의 확립
제2절 사림의 대두
제3절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제4절 왜란
제3장 근세의 사회와 경제
제1절 양반 관료 중심의 사회
제2절 경제정책과 경제구조
제3절 양반과 평민의 경제활동
제4장 근세의 문화
제1절 민족문화의 융성
제2절 성리학의 발달
제3절 불교의 민간신앙
제4절 과학기술의 발달
제5절 문학과 예술
제5편 근대사회의 태동
제1장 근대사회로의 지향
제1절 근대사회로의 움직임
제2장 정치체제의 변화
제1절 통치기구의 변화
제2절 붕당정치와 정치적 변동
제3장 경제구조의 변화와 사회변동
제1절 수취체제의 개편
제2절 서민경제의 발달
제3절 상품 화폐 경제의 발달
제4절 사회구조의 변동
제5절 향촌질서의 변화
제6절 농민층의 변화
제7절 사회 변혁의 움직임
제4장 문화의 새 기운
제1절 성리학의 변화
제2절 실학사상의 발달
제3절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제4절 과학과 기술의 발달
제6편 근대사회의 발전
제1장 근대사회의 전개
제1절 1863년 흥선대원군의 집정
제2절 1876년 강화도조약과 정부의 동도서기
제3절 1882년 위정척사운동과 임오군란
제4절 1884년 갑신정변과 개화당의 개혁운동
제5절 1894년 갑오동학운동과 갑오개혁, 을미개혁
제6절 1896년 아관파천과 독립협회
제7절 1897년 대한제국과 광무개혁 민중의 저항
제8절 1905년 제2차 한일협약
제9절 항일의병전쟁의 전개
제10절 애국계몽운동
제7편 민족운동의 전개
제1장 일제의 식민통치
제1절 무단정치(헌병경찰통치)
제2절 문화정치
제3절 민족말살
제2장 독립운동의 성장과 3·1운동
제1절 1910년대 국내의 민족운동
제2절 1910년대 해외민족운동
제3절 3·1운동
제3장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독립전쟁
제1절 임시정부의 활동
제2절 국내의 민족해방운동
제3절 국외의 민족해방운동
제4장 경제·사회적 저항운동
제1절 민족실력양성운동
제2절 사회운동
제5장 민족문화수호운동
제1절 국학운동의 전개
제2절 문화활동
제8편 현대사회의 전개
제1장 민주정치의 발전
제1절 대한민국의 수립
제2절 북한정권의 수립과 6·25전쟁
제3절 민주주의의 발전
제2장 경제성장과 사회변화
제1절 경제활동의 진전
제2절 사회개혁운동의 전개
제3장 현대문화의 동향
제1절 교육과 학술활동
제2절 종교생활과 문예·체육활동
찾아보기
참고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