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생활환경계열 > 가정학
· ISBN : 9788942613526
· 쪽수 : 295쪽
· 출판일 : 2020-08-18
목차
서언 3
제01장 가족문화의 이해
1. 가족의 이해 11
2. 문화의 이해 14
3. 한국의 가족문화 21
4. 새로운 가족문화 만들기 23
제02장 가족문화의 역사
1. 고대(삼국과 통일신라)의 가족: 비부계적 문화 29
2. 고려시대의 가족: 불교 이념에 바탕을 둔 생활 32
3. 조선 전기의 가족: 가부장적 문화의 형성 37
4. 조선 후기의 가족: 부계적 가족문화의 심화 42
제03장 가족의례 1: 관혼상제
1. 가족의례의 의미 51
2. 가족의례의 효과 53
3. 관혼상제 55
4. 그 외 중요한 가족의례-첫돌과 회갑연 74
제04장 가족의례 2: 한국의 절기문화
1. 절기문화 79
2. 세시풍속 82
3. 가족의례의 방향 90
제05장 의식주생활문화
1. 의생활 96
2. 식생활 104
3. 주생활 112
제06장 가족 발달과 가족문화 1
1. 가족 형성기(신혼기)의 발달적 특징 124
2. 가족 형성기의 발달과업과 가족문화 126
3. 가족 확대기의 발달적 특징 129
4. 가족 확대기의 발달과업과 가족문화 132
제07장 가족 발달과 가족문화 2
1. 가족 축소기의 특성 143
2. 가족 축소기의 발달과업 150
3. 가족 축소기의 가족문화 156
4. 가족 축소기 가족문화의 전망 162
제08장 다문화사회의 가족문화 1
1. 글로벌리제이션과 아시아 국가/민족 가족의 변화 174
2. 아시아 국가/민족의 국제결혼 현황 178
3. 아시아 국가/민족 가족문화의 특성 181
제09장 다문화사회의 가족문화 2: 주요 결혼이주여성 출신국의 가족문화
1. 중국의 가족문화 189
2. 일본의 가족문화 195
3. 베트남의 가족문화 201
4. 필리핀의 가족문화 209
제10장 프로그램으로서의 가족문화 1: 가족 여가문화의 변화
1. 현대사회와 여가 219
2. 가족 여가 222
3. 현대 가족의 여가 실태 227
4. 한국 가족 여가의 전망 230
제11장 프로그램으로서의 가족문화 2: 가족지원 전달체계
1. 가족 여가 프로그램의 필요성 235
2. 가족 생애주기별 가족 여가 프로그램 238
3. 가족 여가 프로그램 현황 - 가족지원기관을 중심으로 244
4. 행복한 가족 여가 프로그램을 위한 제언 251
제12장 새로운 가족문화
1. 가족의 변화와 다양성의 확대 260
2. 형식적 가족문화에서 공동체문화로 265
3. 소비하는 가족문화에서 창조하는 가족문화로 270
4. 균형 잡힌 시간 나누기를 통한 성평등 가족문화 만들기 275
참고문헌 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