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88942817535
· 쪽수 : 480쪽
· 출판일 : 2011-12-30
책 소개
목차
개정판을 내며
차 례
20세기의 임진왜란사 연구성과
1. 머리말
2. 일제 강점기 일본의 연구성향
3. 해방 후 국내의 연구성과
4. 북한의 임진왜란사 연구와 주체사관
5. 최근의 학계동향과 향후의 과제
6. 맺음말
임란 초기 조선왕조의 방어실태와 근왕의병
제1장 초전의 방어실태와 근왕의병의 봉기
1. 머리말
2. 초전의 방어실태
3. 호남지방의 동태와 근왕의병의 봉기
4. 초기 의병의 성군양상
5. 맺음말
제2장 난초亂初 도성일원都城一圓의 실정과 전황
1. 도성의 실함失陷과 수도권의 실정
2. 도성근교都城近郊의 전황과 양주목사 고언백高彦伯의 활동
3. 강화도의 전략적 위치와 난초의 실정
4. 창의사倡義使 김천일과 강화의병의 전략
제3장 두 차례의 금산전투와 그 전략적 의의
1. 머리말
2. 임진년 양호지역兩湖地域 실정과 일본군의 동태
3. 고경명의 의병운동과 제1차 금산전투
4. 조헌의 의병운동과 제2차 금산전투
5. 금산전투의 영향과 전략적 의의
6. 맺음말
제4장 전라좌의병과 임계영任啓英의 근왕의병 활동
1. 머리말
2. 의병장 임계영 가문의 사회적 기반
3. 전라좌의병의 성군과 경상우도 부원
4. 성주.개령지역 수복전투와 전라좌의병의 활동
5. 맺음말
해전의 실상과 조선수군의 전승배경
제1장 초기 해전에서 본 조?일朝?日 양국의 수군전력
1. 머리말
2. 임진왜란 해전사 연구현황
3. 개전 초 조.일 수군의 동태와 해전의 실상
4. 수군의 편제와 동원체제
5. 양국의 전선과 함재화력
6. 맺음말
제2장 전라좌수군과 해상의병
1. 머리말
2. 임진왜란 이전의 수군 실태
3. 전라좌수군과 해상의병의 결합
4. 조선수군의 전승과 해상의병의 활동
5. 맺음말
제3장 1592년 흥양수군興陽水軍의 활동상
1. 머리말
2. 임진왜란 전 흥양지역의 해방실태海防實態
3. 임진년 조선수군의 실상과 흥양수군
4. 초기 해전의 전개와 흥양수군의 활약
5. 맺음말
제4장 해전의 승첩과 녹도만호 정운鄭運의 활동
1. 머리말
2. 정운의 가계와 인맥
3. 개전 초 녹도만호 정운의 활동과 전공
4. 정운의 충의와 전공에 대한 평가
5. 맺음말
제5장 명량해전 후 일본군의 공세와 연해지역 의병항전
1. 머리말
2. 명량해전 후 일본군의 보복공세와 호남지방의 실정
3. 1598년 흥양 보성지역의 전세와 의병의 동향
4. 최대성의 의병활동과 안치전공雁峙戰功의 향방
5. 맺음말
명군의 출병과 전국戰局의 추이
1. 머리말
2. 출병의 전략적 배경
3. 명군의 작전 태도와 전국의 동태
4. 명.일의 강화교섭과 전국의 추이
5. 맺음말
부론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1. 머리말
2. 조선왕조의 외교정책과 대외관계
3. 임진왜란과 조선의 대응
4. 병자호란과 조선의 대응
5. 맺음말
색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