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이현세 AI로 영생하다

이현세 AI로 영생하다

유건식 (지은이)
한울(한울아카데미)
3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8,000원 -0% 0원
380원
37,6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이현세 AI로 영생하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이현세 AI로 영생하다 
· 분류 : 국내도서 > 만화 > 그래픽노블
· ISBN : 9788946076068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5-09-15

책 소개

굵직한 드라마들을 프로듀싱한 방송 및 미디어 분야의 전문가이기도 한 저자는 이 책에서 이현세 작가와 재담미디어, 세종대학교가 주축으로 진행하는 ‘이현세 AI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AI와 웹툰의 현재를 그려냈다.

목차

추천하며 이현세 / 유철균 / 황남용

프롤로그

제1부 프로젝트의 시작

제1장 이현세 작가가 ‘이현세 AI 프로젝트’를 말하다

제2장 ‘이현세 AI 프로젝트’의 시작

2.1. 언론 보도로 본 ‘이현세 AI 프로젝트’의 경과
2.1.1. 재담미디어 AI 프로젝트 제안 / 2.1.2. 이현세 작가, 세상에 처음 알리다 /
2.1.3. 이현세 작가 – 재담미디어 협약 체결 / 2.1.4. 라이선싱콘 2023 라이브토크 /
2.1.5. 국립도서관 <이현세의 길> 특별전 / 2.1.6. 한국콘텐츠진흥원 ‘AI 콘텐츠 페스티벌’

보론 1 이현세의 작품세계
i. 이현세의 만화 세계 / ii. 이현세의 웹툰 세계

제2부 이현세 AI 프로젝트

제3장 ‘이현세 AI 프로젝트’ 경과

3.1. 이현세 AI의 생성 과정

3.2. 카론의 새벽 리메이크
3.2.1. 현장실습 / 3.2.2. 일러스트(하계팀) / 3.2.3. 캐릭터 바이블 /
3.2.4. AI 콘티 이미지 제작 / 3.2.5. 웹툰원고 / 3.2.6. 시행착오

제4장 ‘이현세 AI 프로젝트’ 진행자 인터뷰

4.1. 박석환 재담미디어 이사 겸 AI 웹툰연구소장과 김영근 AI 웹툰연구소 실장 인터뷰

4.2. 서재일 교수와 세종대 학생 인터뷰

보론 2 이현세 AI의 특징
i. 박세현 한국만화웹툰평론가협회장 / ii. 김성철 타임픽서 대표(만화가) /
iii. 최진규 옥토끼 스튜디오 대표(작가) / iv. 조지훈(엘프화가) / v. 임세준 KBS 드라마 PD

제3부 웹툰과 AI

제5장 웹툰과 AI의 연결

5.1. 웹툰의 발전
5.1.1 온라인 만화 / 5.1.2. 아마추어리즘의 대두 / 5.1.3. 일상툰의 등장 /
5.1.4. 플랫폼 자본주의와 아마추어리즘의 공존 / 5.1.5. 본격적인 웹툰

5.2. 웹툰의 특징

5.3. 웹툰 창작 패러다임의 변화

5.4. AI가 웹툰에 미치는 영향
5.4.1. AI의 긍정적 영향 / 5.4.2. AI의 한계

5.5. AI 웹툰 프로젝트
5.5.1. 데즈카 2020 프로젝트 / 5.5.2. 시미즈 료의 만화 / 5.5.3. 웹툰 <신과 함께 돌아온 기사왕님> /
5.5.4. 중국 다롄이공대학과 홍콩시티대학의 영상을 만화로 자동 변환 / 5.5.5. 웹툰 <팝콘예술학교> /
5.5.6. 만화 <사이버펑크 모모타로> / 5.5.7. 만화 <여명의 자리야> /
5.5.8. 웹툰 <기사 가문 망나니는 10 클래스>

제6장 웹툰과 AI의 미래 전망

감사의 글

부록: AI를 활용한 웹툰 도구

저자소개

유건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KBS에 재직하고 있으며, KBS사회봉사단 단장, 성균관대 미디어문화융합대학원 초빙교수, 문화체육관광부 리더스포럼 위원, 한국OTT포럼 부회장, 《방송작가》, 《신문과 방송》 등에 기고 활동을 하고 있다. 주요 경력으로는 KBS America 대표, KBS 공영미디어연구소장, KBS 드라마국 팀장, KBSi 전략기획실장을 역임했다. 참여한 작품으로는 <성균관 스캔들>(KBS2, 2010), <학교 2013>(KBS2, 2012), <드림하이 2> (KBS, 2012) 등을 프로듀싱했고, <굿닥터>를 미국 ABC에서 리메이크(<The Good Doctor>) 시켜 시즌7(2017~2025)까지 프로듀서로 참여했다. 2015년 광운대에서 언론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미드와 한드, 무엇이 다른가』(2013, 세종도서 학술부분 선정), 『넷플릭소노믹스』(2019, 방송학회 학술상 저술 부문 수상), 『오징어 게임과 콘텐츠 혁명』(공저, 2022, 세종도서 학술부분 선정), 『한국 방송콘텐츠의 미래를 열다』(2018), 『넷플릭스 효과』(2020), 『넷플릭스, 한국 드라마 시장을 바꾸다』(2021), 『미디어 구독모델』(2021), 『OTT 서비스와 AI』(2024), 『남한산성을 걷다』(2022), 『여수, 마음껏 걸어보자』(2024), 『OTT 트렌드 2023~2025』(2022~2024), 『생성형 AI 시대, 리터리시와 시민성 증진 방안』(공저, 2025) 등의 저술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한국의 기성 만화가로선 이현세 작가가 처음으로 AI 웹툰에 도전하지만, 일본에서는 이미 AI를 활용하고 있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철완아톰(鐵腕アトム, 우주소년 아톰)>으로 유명한 일본 만화가 데즈카 오사무의 신작 <파이돈>(2020)은 사후 31년 만에 발표되었다. ‘데즈카 2020’ 프로젝트를 통해 데즈카의 작품 65여 편을 AI가 학습하여 그가 그렸을 법한 만화 줄거리와 캐릭터를 새로 창작해 냈다. 펜의 각도와 강약 조절로 미묘한 감정을 전달했던 작가의 작법을 살려내기 위해 관절과 감압 센서를 장착한 로봇 팔을 고안하여 만화를 그려냈다(정상혁, 2020.3.2.).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2024년에 웹툰 사업체들의 그림 제작에 AI 활용 경험을 조사한 결과, ‘경험 있음’이 27.0%로 나타났으며, 자주 활용하는 단계로는 1+2순위 기준으로 ‘사전 기획 및 스토리 구상 단계’가 67.4%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vii쪽). 활용 경험이 없는 업체(n=116)를 대상으로 향후 활용 의향을 살펴보면, ‘향후 활용 의향 있음’이 63.8%로 높게 나타났다. 활용 의향이 있는 업체(n=74)를 대상으로 현재 도입 및 활용 수준을 조사한 결과, ‘도입을 고려 중인 단계’인 업체가 56.8%로, 과반수로 나타났다. 웹툰 사업체들의 AI 관련 교육 및 컨설팅 참여 의향을 살펴보면, ‘의향 있음’이 70.4%로 응답 업체 10개 중 7개 이상이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전년 대비 31.0%p나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보면, 웹툰에 AI 활용은 시간이 지날수록 보편적인 현상이 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현세 AI 프로젝트’는 향후 웹툰의 영역에서 AI를 활용하는 데 매우 중요한 기록으로 역사에 남겨야 할 작업이라고 생각한다.


Q1: “안녕하세요. 이현세 선생님, 2022년에 부천국제만화축제 프로그램에서 뵈었으니 정말 오랜만에 뵙습니다. 그럼에도 계속해서 자료를 정리하고 기사를 통해 봐서 그런지 계속 뵌 듯한 느낌입니다. 이번에 국내 웹툰 업계를 위해 정말 또 하나의 한 획을 긋는 일을 하셨습니다. 축하드리고, 감사합니다. 제일 궁금한 사항은 재담미디어가 프로젝트를 제안했을 때, 어떤 마음으로, 얼마 만에 결정하셨나요?”
A. 이현세: “바로 결정을 했습니다. 왜냐하면 까치, 엄지를 ‘어떻게 하면 오래오래 영생하게 할 수 있을까?’ 항상 고민하고 있었거든요. ‘내가 죽더라도 까치, 엄지는 어떻게 계속 살아남게 할 수 있지?’라는 건 항상 생각하던 문제였으니까. 어떤 장애물이 있더라도 이건(‘이현세 AI 프로젝트’) 해야지. 바로 그렇게 답을 했어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