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기초의학 > 생명과학
· ISBN : 9788952110527
· 쪽수 : 235쪽
· 출판일 : 2010-04-01
목차
천사
1. 유전자 치료의 이해와 필요성
1.1. 유전자 치료 개론
1.1.1. 유전자 치료의 개념
1.1.3. 유전자 치료의 장점
1.2. 치료용 유전자의 종류
1.2.1. 플라스미드 DNA
1.2.3. 핵산 앱타머
1.3. 치료용 유전자 전달체
1.3.1. 바이러스 벡터
1.4. 유전자 치료제의 개발 현황
1.4.1. 제품화 현황
1.5. 유전자 치료제의 문제점과 전망
1.5.1. 유전자 치료제의 문제점과 한계
2. 바이러스 벡터
2.1. 서론
2.2. 바이러스 벡터 종류별 주요 특징
2.2.1. 레트로바이러스 벡터
2.2.3.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2.2.5. 단순포진 바이러스 벡터
2.3. 유전자 치료제의 전임상 및 임상시험
2.4. 안전성 측면에서 고려할 사항
2.5. 향후 전망
3. 베큘로바이러스를 이용한 유전자 치료
3.1. 서론
3.2. 바이러스 벡터의 종류와 특징
3.3. 유전자 치료를 위한 베큘로바이러스의 응용
3.3.1. 동물 세포에 들어가는 베큘로바이러스의 기작
3.3.2. In vitro에서의 응용
3.4. 유전자 전달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베큘로바이러스의 수식
3.4.1. 베큘로바이러스의 유전자 전달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단계들
3.4.2. 베큘로바이러스의 유전적 수식
3.5. 결론과 전망
4. 리포솜 벡터를 이용한 유전자 치료
4.1 서론
4.2. 유전자 전달체로서의 리포솜의 특징
4.3. 양이온성 리포솜의 구성
4.3.1. 양이온성 리피드의 종류와 특징
4.4. 리포펙션(Lipofection)의 기전
4.4.1. LipidDNA 복합체의 세포 내로의 유입
4.4.2. 엔도사이토시스된 DNA의 세포질로의 방출
4.4.3. 핵으로 DNA의 유입
4.5. 리포솜 벡터에 의한 유전자 전달의 문제점
4.5.1. 세포 수준에서의 문제점
4.6. 리포솜 벡터를 이용한 in vivo siRNA 전달
4.7. 리포솜 벡터를 이용한 유전자의 표적성 전달
4.8. 리포솜 벡터를 이용한 유전자 치료의 변형된 방법
4.8.1. 물리적 방법과의 병용
4.9. 리포솜 유사 구조들
5. 고분자 벡터
5.1. 서론
5.2. 유전자 전달체의 종류
5.2.1. 바이러스 벡터
5.3. 유전자 전달의 장애 요인들
5.3.1. 세포 외 장애 요인들
5.4. 유전자 전달 고분자 벡터의 분류
5.4.1. 기본 상용 고분자
5.4.3. 세포 표적성 고분자
6. DNA 백신
6.1. 백신
6.2. DNA 백신
6.3. DNA 백신의 제조
6.4. DNA 백신에 의한 면역반응
6.5. DNA 백신의 효율
6.5.1. DNA 백신의 효과적인 전달
6.6. DNA 백신의 임상연구 동향
6.6.1. HBV DNA 백신
6.7. DNA 백신의 전망
7. 유전자 치료가 임상에 사용되기 위한 안전성과 유효성에 대하여
7.1. 유전자 치료를 임상에 사용하기 위하여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보하기 위한 지침
7.1.1. 지침에 대한 필요성
7.1.3. 치료 목적 외에 사람에게 유전자 도입의 금지
7.2. 유전자 치료에서 비바이러스성 전달체의 안전성과 효능 평가
7.2.1. 국내외 기술개발현황과 비바이러스 벡터
7.2.2. 고분자 전달체의 합성과 특성 조사
7.2.3. 고분자 전달체의 생분해성 측정
7.2.4. 고분자
7.2.5. 생체 외에서 고분자
7.2.6. 고분자
7.2.7. 고분자
7.2.8. 고분자
7.2.9. 고분자
7.3. 장래의 전망
8. 주요 국가의 유전자 치료제 관리 규정
8.1. 서론
8.2. 유전자 치료제의 현황
8.2.1. 유전자 치료제의 개요와 임상시험 현황
8.2.2. 유전자 치료제의 외국 임상시험 현황
8.2.3. 유전자 치료제의 국내 임상시험 현황
8.3. 유전자 치료제 임상시험 승인·품목허가를 위한 검토 사항
8.4. 유전자 치료제에 관한 주요 국가별 규정과 절차
8.4.1. 미국
8.5. 유전자 치료제에 관한 우리나라의 규정과 절차
8.5.1. 유전자 치료 관련 규정
8.5.2. 유전자 치료제 임상시험계획 승인 관련 규정
8.5.3. 유전자 치료제 품목허가 관련 규정
8.5.4. 생물안전관리
8.6. 유전자 치료제 관련 식약청 발간 책자 소개
8.7. 결론
찾아보기
Abstrac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