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임상 기생충학

임상 기생충학

(서울의대 기생충학교실 4대가 함께 연구한)

채종일 (지은이), 이순형 (감수)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3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8,000원 -0% 0원
1,900원
36,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8개 16,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임상 기생충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임상 기생충학 (서울의대 기생충학교실 4대가 함께 연구한)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기초의학 > 기생충학
· ISBN : 9788952111296
· 쪽수 : 632쪽
· 출판일 : 2011-01-31

책 소개

대표저자인 채종일 서울대 교수를 비롯해 홍성태, 최민호, 신은희, 배영미(이상 서울대), 홍성종(중앙대), 손운목(경상대), 유재란(건국대), 고원규(인제대), 서민(단국대), 박윤규(인하대), 한은택(강원대) 교수 등 서울의대 기생충학교실의 학맥을 잇는 12인의 지은이가 3년 동안 집필하여 완성한 책이다. 인체 기생충 지식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였다.

목차

머리말

Chapter 01

기생충학 총론

1. 기생충감염의 특성
2. 각종 생활양식과 기생충
3. 숙주 - 기생충 상호관계
4. 생태계와 기생충
5. 기생충감염의 역학
6. 기생충감염의 병인론
7. 기생충감염의 면역
8. 기생충감염의 진단
9. 기생충감염의 치료
10. 기생충감염의 예방과 관리

Chapter 02

기생충학 각론

Ⅰ. 원충학

11. 원충류 개요
12. 이질아메바(Entamoeba histolytica), 장내 아메바(Enteric amoebae)
13. 자유생활아메바(Free-living amoebae)
14. 람블편모충(Giardia lamblia, Gioardia intestinalis)
15. 세모편모충과(Family Trichomonadidae)
16. 질편모충(Trichomonas vaginalis)
17. 장세모편모충(Trichomonas hominis), 구강편모충(Trichomonas tenax)
18. 리슈만편모충(Leishmania spp.)
19. 아프리카 파동편모충증(African trypanosomiasis), 수면병(Sleeping sickness)
20. 크루스파동편모충(Trypanosoma cruzi), 샤가스병(Chagas’ Disease)
21. 대장섬모충(Balantidium coli)
22. 포자충류 소개(Introduction to Sporozoa)
23. 작은와포자충(Cryptosporidium parvum), 사람와포자충(Cryptosporidium hominis)
24. 사람등포자충(Isospora belli)
25. 근육포자충(Sarcocystis spp.)
26. 톡소포자충(Toxoplasma gondii)
27. 원포자충(Cyclopora spp.)
28. 미포자충류(미포자충목, Order Microsporidia)
29. 폐포자충(Pneumocystis carinii)
30. 말라리아(Malaria)
31. 바베스열원충(Babesia spp.)

Ⅱ. 연충학

연충류

32. 연충류 개요

선충류

33. 선충류 개요
34. 편충(Trichuris trichiura)
35. 선모충증(Trichinosis)
36. 간모세선충(Capillaria hepatica)
37. 장모세선충(Capillaria philippinensis)
38. 거대신충(Dioctophyma renale)
39. 분선충(Strongyloides stercoralis)
40. 구충(hookworms)
41. 개취충(Mammomonogamus laryngeus)
42. 장결절충(Oesophagostomum sp.)
43. 동양모양선충(Trichostrongylus orientalis)
44. 광동주혈선충(Angiostrongylus cantonensis)
45. 코스타리카주혈선충(Angiostrongylus costaricensis)
46. 요충(Enterobius vermicularis)
47. 회충(Ascaris lumbricoides)
48. 유충이행증(Larva migrans)
49. 고래회충증(Anisakiasis)
50. 악구충증(Gnathostomiasis)
51. 동양안충(Thelazia callipaeda)
52. 사상충과(Family Filariidae)
53. 말레이사상충(Brugia malayi)
54. 반크롭트사상충(Wuchereria bancrofti)
55. 회선사상충(Onchocerca volvulus)
56. 로아사상충(Loa loa)
57. 개심장사상충(Dirofilaria immitis)
58. 열대호산구증(Tropical eosinophilia, 열대성 호산구증다증)
59. 메디나충(Dracunculus medinensis)

흡충류

60. 흡충류 개요
61. 주혈흡충증(Schistosomiasis)
62. 간질(Fasciola hepatica), 거대간질(Fasciola gigantica)
63. 비대흡충(Fasciolopsis buski)
64. 호르텐스극구흡충(Echinostoma hortense)
65. 이전고환극구흡충(Echinostoma cinetorchis)
66. 일본극구흡충(Echinochasmus japonicus)
67. 한국극구흡충(Acanthoparyphium tyosenense)
68. 쥐비스듬고환흡충(Plagiorchis muris), 베스퍼틸리온비스듬고환흡충(Plagiorchis vespertilionis)
69. 창형흡충(Dicrocoelium dendriticum)
70. 췌질(Eurytrema pancreaticum)
71. 폐흡충(Paragonimus westermani)
72. 기타 폐흡충(Other Paragonimus spp.)
73. 간흡충(Clonorchis sinensis)
74. 타이간흡충(Opisthorchis viverrini), 고양이간흡충(Opisthorchis felineus)
75. 북미간흡충(Metorchis conjunctus)
76. 장흡충류(Intestinal trematodes) 개요
77. 요코가와흡충(Metagonimus yokogawai)
78. 타카하시흡충(Metagonimus takahashii), 미야타흡충(Metagonimus miyatai)
79. 가시입이형흡충(Centrocestus armatus)
80. 유해이형흡충(Heterophyes nocens), 이형이형흡충(Heterophyes heterophyes)
81. 긴이형흡충(Heterophyopsis continua)
82. 표주박이형흡충(Pygidiopsis summa)
83. 수세미이형흡충(Stellantchasmus falcatus)
84. 자루이형흡충(Stictodora fuscata), 갈매기이형흡충(Stictodora lari)
85. 참굴큰입흡충(Gymnophalloides seoi)
86. 서울주걱흡충(Neodiplostomum seoulense)
87. 인두흡충(Clinostomum complanatum)

조충류

88. 조충류 개요
89. 광절열두조충(Diphyllobothrium latum), 동해긴촌충(Diphyllobothrium nihonkaiense)
90. 스파르가눔증(Sparganosis)
91. 유구조충(Taenia solium)
92. 유구낭미충중(Cysticercosis)
93. 무구조충(Taenia saginata)
94. 아시아조충(Taenia asiatica)
95. 다두조충(Taenia multiceps)
96. 단방조충(Echinococcus granulosus), 다방조충(Echinococcus multilocularis)
97. 왜소조충(Hymenolepis nana)
98. 쥐조충(Hymenolepis diminuta)
99. 개조충(Dipylidium caninum)
100. 유선조충(Mesocestoides lineatus)


Ⅲ. 의용절지동물학

101. 절지동물 개요
102. 갑각류(Class Crustacea)
103. 물벼룩(Water flea)
104. 게(Crab), 가재(Crayfish)
105. 다족류(Class Myriapoda): 지네(Centipedes, Chilopoda), 노래기(Millipedes, Diplopoda)
106. 곤충류(Class Hexapoda, Insect)
107. 이(Louse, Sucking louse)
108. 바퀴(Cockroach)
109. 빈대(Bug)
110. 동양독나방(Euproctis flava)
111. 모기(Mosquito)
112. 파리(Fly)
113. 사람벼룩(Pulex irritans), 쥐벼룩(Xenopsylla cheopis), 기타 벼룩류
114. 거미류 개요
115. 전갈(Scorpion)
116. 거미(Spider)
117. 진드기류(Tick, Mite)
118. 참진드기(Tick)
119. 옴진드기(Sarcoptes scabiei)
120. 모낭진드기(Demodex folliculorum)
121. 집먼지진드기(House dust mite)
122. 빨간털진드기(Trombicula akamushi), 기타 털진드기류(Other trombiculid mite)
123. 오구충(Class Pentastomida)

Ⅳ. 항원충제와 구충제

124. 항원충제(Anti-protozoal agents)
125. 구충제(Anthelmintics)

찾아보기

저자소개

채종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명예교수 한국건강관리협회장 세계기생충학자연맹(WFP) 회장 경력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서울대학교 BK21 인간생명과학연구단장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 감염병연구소장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주임교수 대한기생충학회 회장 대한의사협회 학술이사 대한의학회 기초의학 이사 대한기초의학협의회장 한국과학기술한림원 부원장 의사동인 박달회 회장 대한민국 학술원상 수상(2020년도)
펼치기
이순형 (감수)    정보 더보기
<임상기생충학개요>
펼치기
이순형의 다른 책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