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고전 > 동양고전사상 > 기타 동양고전사상
· ISBN : 9788952206411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07-05-30
책 소개
목차
1부 『회남자』의 탄생
1장 고대 집단지성과 만남
동아시아는 유교문화권인가?
유교 근본주의의 문제
집단의식과 집단지성
『회남자』의 시대
고대 집단지성의 발현
권력과 지식의 결탁, ‘집단의식’을 향한 길
2장 유안의 꿈과 좌절
반역자의 아들
중앙집권과 지방분권의 모순
유안의 꿈과 좌절
21세기 동아시아와 『회남자』의 복권
2부 『회남자』의 정신세계
1장 우주의 자연 질서: 도덕
천지만물은 어디서 왔는가
과학과 신화의 동거
하늘과 땅, 계절의 질서를 말하다
정신을 말하다
천지만물이 한 몸임을 말하다
2장 멀지만 가야만 하는 길: 인간사
오래된 미래의 지혜
독단에서 벗어나라
집단주의에서 벗어나라
문화다원주의와 지방분권을 말한다
사회와 제도는 변한다
허위에 빠진 예법과 금기에 휩싸인 세상
근본을 지킬 것을 말한다
‘내성외왕’의 지도력을 말하다
3부 본문
제1권 원도훈/ 제2권 숙진훈/ 제3권 천문훈/ 제4권 지형훈/ 제5권 시칙훈/ 제6권 남명훈/
제7권 정신훈/ 제9권 주술훈/ 제10권 무칭훈/ 제11권 제속훈/ 제12권 도응훈/ 제13권 범론훈/
제14권 전언훈/ 제15권 병략훈/ 제16권 설산훈/ 제17권 설림훈/ 제18권 인간훈/ 제19권 수무훈/
제20권 태족훈
4부 관련서 및 연표
관련서
연표
저자소개
책속에서
오랫동안 사육한 동물을 풀어놓으면 곧바로 야생으로 돌아가지 않고 옛 주인 곁을 맴돈다. 따라서 야성의 본능을 회복하는 적응훈련이 필요하다. 마찬가지로 사람들이 집단의식의 감옥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살고 야성을 회복하는 데도 적응훈련이 필요하다. 바로 이 지점에서 <회남자>의 가치가 빛난다. 그것을 ‘자유롭게 살고 야성을 회복하는 삶의 입문서’로 읽을 수 있기 때문이다.-p72 중에서
맹자가 목숨을 걸고 지키겠다고 다짐한 의로움이란 공자 이래 유교가 옹호해온 주나라의 예악문명이다. 그 사고방식과 생활양식을 위협한다면 목숨을 걸고라도 막겠다는 게 맹자의 신념이었다. 오늘날 동북공정을 수행하는 중국학자도 어쩌면 맹자 같은 절의정신에 불타고 있는지 모른다. 위대한 중화문명을 수호하는 성스러운 책무를 통감하면서. 그러나 한국인이 볼 때 이것은 결코 의로운 일이 아니다. 이처럼 한 편의 의로움이 다른 편에게 불의가 되는 것, 그것이 원리주의적 집단의식의 어쩔 수 없는 한계이자 함정이다.-p157-158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