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영학
· ISBN : 9788955018998
· 쪽수 : 464쪽
· 출판일 : 2025-08-25
책 소개
과거 IMF 외환위기를 계기로 우리 사회는 경영의 투명성과 책임성이 제도적으로 보완되어야 한다는 사회적 합의가 형성되었습니다. 이후 20여 년 동안 정부와 민간 차원에서 제도 개선이 이어지며, ‘기업지배구조’는 학문적 개념을 넘어 사회적으로도 통용되는 용어로 자리 잡았습니다.
오늘날 기업지배구조는 대리인 문제 통제를 넘어 이해관계자 자본주의로 연결됩니다. 다양한 이해관계자 관계 속에 지속가능한 경영을 실현하는 것이 새로운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특히 2020년대 들어 자본시장의 핵심 의제가 된 ESG는 선택적 경영철학이나 홍보 수단이 아닌, 기업 신뢰의 기반이자 지속가능성과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소가 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지배구조(G)는 환경(E)과 사회(S) 문제 대응을 뒷받침하는 토대이자 ESG 전체를 조율하는 핵심 축으로서 역할을 합니다.
이 책은 이러한 이론적 논의와 더불어 한국적 맥락을 고려한 모델을 제시합니다. 저자는 우리나라 자본시장의 구조와 정책 환경을 반영해 ‘한국형 지속가능 기업지배구조 모델’을 모색합니다.
본서는 학부, 대학원, MBA 교육 현장에서 교재로 쓰일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기업 종사자나 정책 담당자, 일반 독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서술되어 있어 특정 독자층에 국한되지 않고 폭넓게 읽힐 수 있습니다.
목차
제Ⅰ부 대리인 이론과 기업지배구조
제1장 대리인 이론과 기업지배구조의 이론적 기반
자본주의와 주식회사제도
대리인 이론
기업지배구조
기업지배구조의 분류
요 약
제2장 인센티브와 보상계약:보상을 통한 대리인 문제 해결
경영자 보상의 목적과 유형
회계성과에 근거한 보상체제
주식시장에 근거한 보상체제
보상유형별 대리인 비용 감소 효과
요 약
제Ⅱ부 자본주의의 감시자들
제3장 이사회의 역할:경영진 감시 기능과 전략적 통제
이사회의 기능
이사의 직무
이사의 책임과 의무
이사회의 구성
좋은 이사회가 되기 위한 조건
이사회가 지닌 잠재적인 문제점
요 약
참고 1:이사회 관련 <상법> 조항
참고 2:독립이사 관련 <상법> 조항
참고 3:감사위원회 관련 <상법> 조항
참고 4:감사위원회 구성 관련 <상법> 조항
제4장 회계정보와 외부감사:정보의 신뢰성과 감시 기능
회계정보의 기능
외부감사의 필요성
감사주체에 따른 분류:외부감사, 내부감사, 감사위원회
외부감사인의 독립성 문제
현대사회에서의 회계정보의 역할
요 약
제5장 애널리스트와 투자은행:시장의 눈
투자은행의 기능
투자은행의 IPO 업무와 관련된 이슈
애널리스트의 기능
애널리스트 보고서의 신뢰성과 관련된 이슈
공정공시제도 도입과 애널리스트 보고서의 신뢰성
요 약
참고 1:공정공시제도 관련 <자본시장법> 조항
참고 2:한국거래소 공정공시제도 제도해설(KRX KIND)
제6장 기관투자자와 외국인투자자:소유구조와 기업 감시 강화
기관투자자의 모니터링
기관투자자의 의결권 행사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
외국인투자자의 모니터링
요 약
참고 1:기관투자자의 충실의무 관련 <자본시장법> 조항
참고 2:기관투자자의 의결권 행사 관련 <자본시장법> 조항
참고 3:기관투자자의 의결권 행사 관련 <자본시장법 시행령> 조항
제7장 채권자와 금융기관:금융계약을 통한 외부통제
금융시장 중심형 지배구조 시스템
채권자, 금융기관에 의한 모니터링
채권자, 금융기관의 모니터링에 대한 비판
요 약
제8장 주주행동주의와 소액주주 보호 기능
주주행동주의
주주총회
주주소송
주주행동주의의 제도적 기반 강화:상법 및 자본시장법 개정
요 약
참고 1:주주총회 관련 <상법> 조항
참고 2:주주대표소송 관련 <상법> 조항
참고 3:전자투표제도 관련 <자본시장법 시행령> 조항
참고 4:전자투표제도 관련 <상법 시행령> 조항
제Ⅲ부 ESG와 기업지배구조의 전환
제9장 이해관계자 자본주의와 기업지배구조의 패러다임 전환
이해관계자 이론의 부상
이해관계자 이론의 학문적 기반과 제도적 진화
요 약
제10장 이해관계자 중심의 기업지배구조 재구성
이해관계자 중심의 기업지배구조로의 이행
이사회의 다양성
이사회의 독립성
이사회의 전문성
이해관계자 기업지배구조와 ESG의 통합
요 약
제11장 ESG 개념과 역사
ESG 개념
ESG 정의
ESG 역사
요 약
제12장 ESG 정보의 공시
ESG 정보의 개념
ESG 정보의 회계적 성격:재무정보와의 구조적 차이
ESG 정보의 구성요소 및 분류
탄소배출량 공시
내부탄소가격 공시
ESG 정보와 기존 회계의 비교
ESG 정보의 국제기준과 제도적 진화
요 약
제13장 ESG 공시의 신뢰성 확보와 기업지배구조와의 연계성
측정 및 인식의 회계학적 쟁점
ESG 성과측정의 통합
ESG 정보의 외부인증
기업지배구조와의 상호작용
요 약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