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재테크/투자 일반
· ISBN : 9788955335156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16-11-2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_ 향후 2~3년이 부자 될 수 있는 마지막 기회
부자 되는 공식 step 1_새는 돈을 막아라
0 | 시작하기 전에
1 | 새는 돈 막기 1단계_ 우리 집 고질병 신용카드 치료하기
2 | 새는 돈 막기 2단계_ 우리 집 부채, 자산, 보험 상황 파악하기
‣ 부자 되기 프로젝트 실천 #1 3 | 새는 돈 막기 3단계_ 통장 쪼개기, 통장을 펼쳐놓고 봐라
4 | 새는 돈 막기 4단계_ 마트는 멀리, 냉장고는 가득 채우지 마라
5 | 새는 돈 막기 5단계_ 돈이 저절로 모이는 ‘봉투 살림법’
부자 되는 공식 step 2_ 투자할 수 있는 종잣돈 만들기
6 | 돈 모으기 1단계_ 절반쯤 붓다 해약하는 당신에게
7 | 돈 모으기 2단계_ 적금 풍차 돌리기
‣ 부자 되기 프로젝트 실천 #2
8 | 돈 모으기 3단계_ 부자 되기 시작은 수입과 지출관리
‣ 부자 되기 프로젝트 실천 #3
9 | 돈 모으기 4단계 비상금 통장을 만들어라
‣ 부자 되기 프로젝트 실천 #4
10 | 돈 모으기 5단계_ ‘날짜 +000 저축’으로 목돈 만들기
부자 되는 공식 step 3_ 돈의 흐름을 읽는 법
11 | 신문기사는 돈이다
12 | 투자의 최대 적은 ‘아는 사람’이다
13 | 투자의 골든타임을 찾아라
14 | 투자는 편식을 하면 안 된다
부자 되는 공식 step 4_ 돈이 불어나는 시스템 만들기
15 | 저금리 시대, 투자가 답이다
16 | 투자하기 전에 투자의 목적부터 세워라
17 | 단순한 투자를 실천하라
18 | 대한민국 부자들은 어떻게 투자를 할까?
‣ 부자 되기 프로젝트 실천 #5
19 | 세계적인 부자들은 어떻게 투자를 할까?
20 | 주식이냐? 펀드냐? 부동산이냐?
21 | 신문, TV에서 호황이라고 하면 팔 때다
‣ 부자 되기 프로젝트 실천 #6
22 | 적금보다 대출부터 갚아라
부자 되는 공식 step 5_ 단기투자 원칙 - 목돈을 만드는 투자
23 | 돈 굴리기 1단계_ 펀드, ELS, DLS 모르면 시작하지 마라
24 | 돈 굴리기 2단계_ 금융기관 직원이 권유하는 상품은 의심해봐라
25 | 돈 굴리기 3단계_ 손실이 났을 때 어떻게 해야 할까?
26 | 돈 굴리기 4단계_ 주식투자, 냉장고 문을 열면 종목이 보인다
27 | 돈 굴리기 5단계_ 원자재 투자는 지표를 확인하라
28 | 돈 굴리기 6단계_ 채권, 안정성을 확인하라
‣ 부자 되기 프로젝트 실천 #7
29 | 돈 굴리기 7단계 위험, 우산살 투자비법으로 돌파하기
부자 되는 공식 step 6_ 장기투자 원칙 - 목돈을 운용하는 투자
30 | 돈 굴리기 8단계_ 연금보험, 추가납입과 중도인출을 확인하라
31 | 돈 굴리기 9단계_ 주식이나 부동산은 종목으로 판단하라
32 | 돈 굴리기 10단계_ 부동산 투자 ‘30 × 3의 법칙’
‣ 부자 되기 프로젝트 실천 #8
33 | 돈 굴리기 11단계_ 부동산 투자의 최대 적은 가족과 아는 사람
부자 되는 공식 step 7_ 재테크, 나이대별 투자원칙
34 | 20대 후반, 결혼 준비 목돈 마련과 통장 합치기 어떻게 할까요?
35 | 30대 중반, 내 집 마련 어떻게 할까요?
‣ 부자 되기 프로젝트 실천 #9
36 | 40대 후반, 자녀 교육비 때문에 노후 준비는 엄두도 못 내는데요?
‣ 부자 되기 프로젝트 실천 #10
37 | 50대 후반, 여유자금 투자는 어떻게 할까요?
‣ 부자 되기 프로젝트 실천 #11 Book Review
에필로그
저자소개
책속에서
지금부터 2~3년 사이가 큰 위기이자 기회가 될 것이다. 시장의 불황기에 오히려 기회가 더 많다는 것이 투자의 진리다. 시대의 진정한 영웅은 전쟁이나 국가 위기상황에서 나타나듯이 투자의 기회도 시장이 폭락 내지는 위기감이 최고조에 도달했을 때 잡을 수 있다.
부동산을 비롯해 국내외 경제와 주식, 채권, 원자재시장 모두 지금부터 2~3년 사이에 큰 변화와 투자의 기회가 생길 것으로 보인다.
필자는 투자나 경제 관련 강의를 하면서 ‘고수익’보다는 ‘원금 손실 없는 투자’를 외친다. 어떤 때는 “지금은 어떤 투자도 하지 말아야 하는 시기입니다”라고 말하기도 한다. 돈 버는 투자처를 기대하고 온 사람들은 필자에게 불만과 푸념을 말하기도 한다. 물론 필자의 의도는 ‘피할 수 있는 위험은 피하자’는 것이다. 은행·증권·보험회사의 ‘호갱님(어수룩하여 이용하기 좋은 손님을 지칭하는 단어)’이 아니라 돈이 불어나는 시스템을 아는 고객이 되기를 바란다. _ 서문 중에서
시작하기 전에
결론부터 말하자면 지금 개인들이 투자를 해서 금융기관들의 평균적인 수익률을 내기는 여간해서 어렵다고 본다. 경제성장률 2% 시대, 요즘 같은 저금리와 투자시장이 혼란스러운 시대에는 원금손실을 보지 않는 것이 또 하나의 재테크라고 생각해야 한다. 눈높이를 조금 낮춰서 목표수익률이 낮더라도 원금손실 위험이 적은 투자방법과 분산투자를 실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다면 부자 될 기회는 끝난 것일까? 우리는 지금까지 총 4번의 투자기회를 놓쳤다. 1997년 IMF 외환위기, 2001년 911 테러, 2003년 카드채 사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등 남들은 다 아니라고 할 때가 투자를 해야 할 때였다.
인구절벽이 오기 전 향후 2~3년이 부자가 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일 수 있다. 2016년도만 해도 시장은 몇 번의 기회를 우리에게 제공했다. 하지만 그 기회를 잡은 사람은 많지 않다. 시장이 주는 이러한 기회를 놓치지 않고 잡기 위해서는 항상 평소에 관심과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