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언어학
· ISBN : 9788955565645
· 쪽수 : 387쪽
· 출판일 : 2007-09-10
목차
제1장_ 국어 교육학과 문법 교육
1.1 문제 제기
1.2 국어 교육학의 정체성
1.3 내용학(문법, 기능, 문학)의 세부 영역 구성 문제
1.4 내용학과 교과학의 조화 문제
1.5 사회와 학습자의 요구에 맞는 교과 개설의 문제
1.6 문법 교육의 과제·개념·영역
1.7 문법 교육의 근거와 용도
1.8 맺음말
제2장_ 문법 교육 연구 방법론
2.1 시작하면서
2.2 문법 교육 연구의 전제
2.3 문법 교육 연구의 방법
2.4 맺음말
제3장_ 국어학과 문법 교육
3.1 언어학, 국어학 그리고 문법
3.2 국어 문법 교육 내용
제4장_ 사회언어학과 문법 교육
4.1 사회언어학이란 무엇인가
4.2 한국 사회 변인별 언어의 특성
4.3 사회언어학을 고려한 문법 교육
제5장_ 심리언어학과 문법 교육
5.1 심리언어학이란 무엇인가
5.2 심리언어학의 역사적 배경
5.3 심리언어학의 주요 영역
5.4 심리언어학과 문법 교육
제6장_ 전산언어학과 문법 교육
6.1 들어가기
6.2 문법 이론과 문법 교육
6.3 전산언어학
6.4 문법 교육에의 적용
6.5 맺음말
제7장_ 텍스트언어학과 문법 교육
7.1 들어가기
7.2 텍스트언어학의 언어 기술 방식
7.3 텍스트언어학의 문법 교육적 의미
7.4 텍스트언어학의 문법 교육에서의 수용 현황
7.5 맺음말
제8장_ 국어 생활과 문법 교육
8.1 문제의 제기
8.2 공직자 문법 교육의 필요성
8.2 공직자 문법 교육의 내용 요소
8.3 제언
찾아보기
책속에서
문법적인 지식은 인간이 새로운 언어를 생성하고,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는 데 매우 많이 기여한다. 일정한 언어의 문법을 학습하게 되면 언어 생성 능력, 의사소통 능력, 사고력 등을 지니게 된다. 우리나라에서 문법 교육에 관해서 연구하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 초이다. 그동안 여러 문법 교육학자가 효과적인 문법 교육 방안을 연구하여 최근에는 이전보다 교육 현장에서 문법 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아직도 문법 교수-학습이 경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것은 문법 교육학자들이 문법 교육에 관한 연구를 다각도로하여 재미있고 효과적으로 문법을 교수-학습할 수 있는 여러 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음을 보이는 현상이다. 그리하여 우리는 이러한 교육 현실을 감안하여 '언어학과 문법 교육'을 발간하기로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