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대중문화론
· ISBN : 9788956051376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05-11-18
책 소개
목차
여는 글
1장 인간의 근원, 학문의 근원
르네상스 문화의 핵심
생명, 휴머니즘, 유토피아 | 박홍규
구조주의란 무엇인가
장기판의 안, 장기판의 밖 | 이정우
심리철학의 쟁점
마음은 어디에서 와, 어디로 가는가 | 김기현
사서(四書)의 핵심
우주의 원리, 인간의 도리 | 최재목
2장 문학, 세계의 반영
세계 문학의 새 중심, 중남미
마술과 환상, 인간을 꿰뚫다 | 서성철
이종교배 시대의 일본문학
"나는 국적이 없다" | 윤상인
1990년대 이후의 한국문학
'사생활의 발견'에서 '생활의 정치학'으로 | 이광호
오늘의 프랑스 소설
서점 한구석 고독한 문제작을 찾아 | 이재룡
3장 보이는 것 그 너머
사진예술의 역사
너무나 인간적인, 너무도 인공적인 | 정주하
'제9의 예술' 만화
칸과 칸 사이, 피가 흐른다 | 성완경
현대미술, 어떻게 볼 것인가
일상을 들쑤시는 '불편함'의 미학, 그 미학을 즐기라 | 박신의
우리 그림의 고전적 전범; 조선 후기의 진경풍속
자존의 철학이 꽃피운 우리 그림 | 강관식
한국 건축, 음화와 양화
'사는 집'에서 '느끼는 집'으로 | 강혁
4장 들리지 않는 소리까지도
서양음악사 넓게 보기
청중의 힘이 음악사 바꿨다 | 김용환
현대음악의 이해
기술의 힘을 빌려, 청중과 함께 | 황성호
재즈, 변용의 역사
한번 간 길은 다시 가지 않는다 | 김현준
판소리 열두 마당 개관
살아남은 다섯 마당, 잃어버린 일곱 마당 | 유영대
5장 영혼으로 만나는 세상
발레, 천상의 아름다움
모든 언어가 끝났을 때, 발레가 시작됐다 | 이은경
뮤지컬, 알고 보면 더 재미있다
삶의 당의정 혹은 카타르시스 | 김학민
유럽영화로 가는 네 갈래 길
장 뤽 고다르, 빔 벤더스, 페드로 알모도바르, 라스 폰 트리에 | 홍성남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르네상스는 휴머니즘이라는 지적 개혁에서 시작되었다. 그 학자를 휴머니스트라 했는데, 당시 중세 신학에 젖은 대학교수가 아니라 대학 밖에서 활동하는 세속 문필가였다. 이들은 무엇보다 '인간의 존엄성'을 강조했다. 중세의 이상인 속죄의 생활 대신 자유와 창조를 위한 투쟁을 주장한 점, 전통 종교가 강요한 정신의 억압상태에서 인간을 해방하고 자유로운 탐구와 비판의식을 자극한 점, 인간 사고와 창의력의 가능성에 새로운 자신감을 부여한 점 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 본문 19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