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교원임용시험 > 중등 전공
· ISBN : 9788956086361
· 쪽수 : 920쪽
· 출판일 : 2008-06-05
책 소개
목차
제1부 이념적 수준
제1장 체육 교육과정 개념과 사조
01 체육 교육과정의 이해 14
02 체육 교육과정 사조 22
제2장 체육 교육과정 모형
01 움직임 분석 모형(The movement analysis model) 38
02 학문중심 모형 49
03 발달단계 모형(The development model) 54
04 사회성 발달 모형(인간 중심 모형) 67
05 스포츠 교육 모형(The sport education model) 73
06 체력 모형 80
07 놀이교육 모형(Play education model) 86
08 개인 의미 모형(The personal meaning model) 89
09 교육과정 모형의 장·단점 99
제3장 체육 교육과정의 통합적 접근
01 체육 교과 통합의 문제 104
02 체육 교과 통합의 이론적 배경 107
03 체육 교과 통합의 최근 사례와 분석 115
04 통합적 체육수업 교과 조직과 지도 방안 122
05 체육 교육과정의 개선 140
제4장 교육과정의 유형
01 교육과정 유형 분류 내용 146
02 잠재적 교육과정 157
03 개방 교육과정 159
04 과외 자율 체육 161
05 토너먼트 작성 163
06 객관주의와 구성주의 166
07 기능중심 게임 모형과 이해중심 게임 모형 168
TOP 개론서 문제 170
제2부 문서적 수준
제1장 제7차 체육과 교육과정
01 체육과 교육과정 개정의 배경 186
02 체육과 교육과정의 변천 188
03 제7차 체육 교육과정 개정 중점 190
04 성 격 192
05 목 표 195
06 내 용 199
07 교수-학습 방법 204
08 평 가 213
제2장 우리나라 체육 교육과정의 발전
01 개화기~해방 이전의 교육과정 220
02 해방 이후의 교육과정 223
제3장 체육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01 교육과정 개발 이론 232
02 제7차 체육과 교육과정 개발 과정 및 절차 237
03 제7차 교육과정의 특징 239
04 제7차 체육과 교육과정 241
제4장 체육 교육과정에서의 쟁점들
01 통합교육과정 248
02 수준별 교육과정 250
03 선택중심 교육과정 253
04 미래의 체육 교육과정에서 추구해야 할 방향 255
제5장 제7차 체육과 교육과정 개정
01 체육과 교육과정 개정의 배경 261
02 체육과 교육과정의 변천 264
03 체육과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과 중점 내용 281
04 체육과 교육과정 해설 293
TOP 개론서 문제 376
제3부 실천적 수준
제1장 근대 체육 교육 사상의 변화
01 19세기 초·중반 392
02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395
03 20세기 중반 이후 399
제2장 신체육의 발전과 평가
01 20세기 초의 교육 404
02 신체를 통한 교육 405
03 신체를 통한 교육철학의 실천 406
04 신체를 통한 교육철학의 평가 407
05 체육프로그램에의 시사점 410
제3장 스포츠 교육학
01 스포츠 교육학의 태동 414
02 양적 연구 425
03 질적 연구 442
04 교육사회학적 연구 466
05 교사연구자와 교사연구 487
06 교사연구자와 현장개선연구 500
07 체육교사 현장개선 연구-개념과 방법 514
08 체육교사 연구의 사례 523
09 인문적 체육과 하나로 수업 532
제4장 체육의 개념
01 체육학과 체육과 교육학 544
02 체육과 교육학의 구성 546
03 신체적, 심동적, 인지적, 정의적 영역별 구성(Annarino) 547
04 체육과 교사 552
05 능력 본위 교사 교육 554
06 체육의 개념 556
07 체육의 정의 560
08 체육의 목적 561
09 체육 교육과정의 정의 562
제5장 체육과 교육의 목표론
01 교육 목표 566
02 체육과 교육의 목표 572
제6장 체육과 교육의 내용 선정 조직론
01 교육 내용(학습 내용) 선정과 조직 580
02 체육과 교육 내용 선정의 근거 582
03 체육과 교육의 내용 587
제7장 교수-학습 이론
01 교수 기능의 체계적 개발 594
02 효율적인 교수 601
03 효율적인 체육 교수 605
04 체육 수업의 생태 607
05 예방적 수업 운영 611
06 학습자 관리 기술 618
07 상호작용 기능 626
08 운동 과제의 제시 630
09 인간주의적 체육 635
10 수업 계획 638
11 학습 지도의 실행 644
12 학습 지도 분석 도구 649
13 교수-학습의 이해 669
제8장 체육교수 방법론
01 체육 수업의 이해와 개선 676
02 탐구중심 체육교사 교육 684
03 교사전문능력 개발의 논리 688
04 체육 수업의 구조와 실천 694
05 수업 지도 기술 706
06 수업 관리 기술 713
제9장 체육학습 교수법
01 체육의 교수 720
02 운동 기능의 학습 725
03 학습 환경 741
04 학습 내용과 지도 과정 747
05 내용의 분석 및 발달 754
06 학습 지도의 계획과 평가 768
07 운동 경험과 과제의 계획 774
08 운동과제의 제시 782
09 학습활동 중 교사기능 791
10 체육 교수 연구 799
11 수업 모형 807
12 체육 철학 809
TOP 개론서 문제 8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