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7/9급 공무원 > 교육학 > 교육학개론 및 기본서
· ISBN : 9788956434490
· 쪽수 : 554쪽
· 출판일 : 2010-01-20
책 소개
목차
상권
제1장 교육의 기초
제1절 교육의 개념
1. 교육의 어원
2. 교육의 정의
3. 피터스가 제시한 교육의 개념적 요소
4. 피터스의 개념 비교
제2절 교육개념의 정의
1. 규범적 정의의 유형
2. 서술적 정의의 유형
3. 교육의 기본조건과 피터스의 교육성립의 조건
제3절 사상가별 교육에 대한 정의
1. 교육정의에 대한 사상가별 주장 내용
제4절 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제5절 교육의 3요소와 형식적?비형식적 교육
1. 교육의 3요소
2. 형식적 교육과 비형식적 교육
제6절 교육의 역할
제7절 교육의 목적과 기능
1. 교육의 목적
2. 교육의 기능
제8절 교육의 유형
1. 평생교육
2. 사회교육
3. 가정에서의 부모의 양육방식과 아동의 성격 형성
제9절 전인교육
제10절 탈학교 및 학교교육에 대한 비판
1. 학교교육
2. 자유주의의 비판 - 역사적 장애이론
3. 보수주의의 비판 - 지적 장애이론과 문화적 장애이론
4. 급진주의의 비판 - 탈학교론과 자유학교운동
5. 갈등론과 비판이론
6. 대안학교
제11절 21C 창의성 교육
1. 창의성 교육의 필요성 대두
2. 창의성 교육의 방향
제12절 생태주의 교육원리
1. 포스트모더니즘과 생태주의
2. 생태주의 교육의 배경과 원리
제13절 홀리스틱 교육
제14절 여러 유형의 교육기관
1. 스타스쿨과 스몰스쿨
2. 차터스쿨
3. 마그넷학교
4. 바우처제도
제2장 한국교육사
[우리나라 교육 및 과거제도의 전체도]
제1절 삼국시대의 교육
1. 고구려
2. 백제
3. 신라
4. 발해
5. 교육사상가
제2절 고려시대의 교육
1. 고려시대의 교육제도
2. 고려시대의 교육사상가
제3절 조선시대의 교육
1. 조신시대의 교육 특징
2. 성리학과 교육
3. 성리학적 교육사상가
4. 실학사상과 교육
5. 실학의 교육사상가
제4절 근대의 교육
1. 근대교육의 성립
2. 정부의 근대교육 체제의 수립 노력
3. 근대교육의 발전
4. 근대학교의 설립
5. 근대적 신학제의 수립
6. 근대 교육사상가
7. 일제강점기의 교육
8. 현대의 교육
제3장 동서양교육사
[동양의 교육사상 전체도]
제1절 유학사상
1. 공자
2. 맹자
3. 순자
제2절 유학사상의 전개
제3절 도가사상
1. 노자
2. 장자
3. 노장사상과 묵가사상
제4절 불교사상과 전개
1. 개념
2. 분류
3. 고려시대의 불교 - 원융회통사상의 계승
[서양의 교육사상 전체도]
제5절 고대의 교육
1. 개관
2. 그리스 교육
3. 그리스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4. 로마교육
5. 로마의 교육사상가
제6절 서양 중세 교육
1. 중세 교육의 시대 구분과 주요 특징
2. 기독교와 교육
3. 중세 후기의 세속교육
4. 중세 교육사상가
제7절 서양 근세 교육
1. 16C 인문주의
2. 16C 교육 - 인문주의(문예부흥)
3. 16C 교육 - 종교개혁기 교육
4. 17C 교육 - 실학주의 교육
5. 18C 교육 - 계몽운동
6. 19C 교육
7. 20C 교육
제4장 교육철학
제1절 교육철학과 삶
1. 의미의 창조와 탐구로서의 삶
2. 의미부여 주체로서의 인간
3. 의미부여의 타당성과 객관성 추구
제2절 교육철학의 의의
제3절 교육철학과 교육과학의 비교
제4절 교육철학의 기능
제5절 교육의 내재적 목적과 외재적 목적
1. 내재적 목적
2. 외재적 목적
제6절 지식의 종류
1. 지식의 종류
2. 가치부하설
제7절 전통적인 철학사상
1. 자연주의
2. 이상주의
3. 실재주의
4. 실용주의
[현대 서양 교육사상 전체도]
제8절 현대 서양 교육사상
1. 진보주의
2. 본질주의
3. 항존주의
4. 재건주의
제9절 20C 후반 교육사상
1. 실존주의
2. 분석철학
3. 현상학
4. 실증주의
5. 낭만주의
6. 해석학
7. 인간주의
8. 비판적 이론과 교육
9. 포스트모더니즘
10. 구조주의
제5장 교육사회학
제1절 교육사회학의 발달
1. 교육사회학의 선구자
2. 교육사회학의 성립
[교육사회학의 주요 이론]
제2절 교육사회학의 연구동향
1. 기능주의 이론
2. 갈등론적 이론
3. 기능이론과 갈등이론의 비교
4. 해석학적 접근과 신교육사회학
제3절 문화와 사회
1. 문화와 교육
2. 문화변화와 교육
3. 사회와 교육
제4절 사회집단과 사회화
1. 사회집단의 분류
2. 사회집단의 성격
3. 교육의 사회화
제5절 가족집단과 교육
1. 가족집단
2. 동료집단
제6절 사회계층과 학교
1. 사회계층
2. 학교와 사회
3. 교육선발과 사회
4. 학교교육의 팽창과 학력 상승
5. 발전교육론
6. 교육과 평등 - 사회평등과 학교
제7절 교육의 기회균등
1. 교육기회균등의 개념
2. 교육기회균등관의 유형
3. 학업 성취의 결정요인
4. 학교의 이해
5. 탈학교 및 학교교육에 대한 비판
제8절 지역사회학교
1. 지역사회
2. 지역사회학교(미국철학 : 진보주의)
제6장 교육과정
제1절 교육과정의 의의
1. 교육과정의 개념
2. 교육과정의 구성요소
3. 교육과정개념의 변천
4. 통합교육과정
5. 구성주의 교육과정
6. 교육과정 개념모형
7. 교육과정의 기본모형
제2절 교과내용으로서 지식의 구조와 교과
제3절 교육과정 구성의 절차
1. 교육과정의 구성요소에 대한 일반론
2. 교육과정 구성절차에 대한 상해
3. 단원의 구성과 전개
제4절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변천
1. 교수요목 시대부터 7차 교육과정까지의 내용
2. 제6차 교육과정
제5절 제7차 교육과정
1. 교육과정의 성격과 구성방향
2. 개정된 교육과정의 특징
제6절 2009 개정 7차 교육과정
하권
제7장 교육심리학
제1절 교육심리학의 성격과 영역
제2절 인간 형성과 발달
제3절 지적 특성의 발달과 교육
제4절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과 시 피아제이론
제5절 정의적 특성의 발달
제6절 학습이론 - 행동주의
제7절 학습이론 - 인지주의
제8절 블룸의 학습
제8장 생활지도와 상담
제1절 생활지도의 기초
제2절 생활지도의 실제
제3절 상담활동
제4절 상담이론
제9장 교수 - 학습이론
제1절 학습과 수업의 개념적 정의
제2절 교수ㆍ학습지도와 학습의 원리
제3절 교수ㆍ학습의 조건
제4절 수업이론
제5절 교수ㆍ학습과정의 형태
제6절 수업의 실제
제7절 교수ㆍ학습진단의 조직
제8절 수업목표의 설정
제10장 교육공학
제1절 교육공학의 의의
제2절 교육과 컴퓨터
제3절 행동주의심리학
제4절 수업매체의 유형과 활용
제11장 교육행정
제1절 교육행정의 기초
제2절 교육행정학이론의 발달
제3절 동기부여이론(조직과 개인의 관계)
제4절 교육행정 조직론
제5절 교직과 교사
제6절 교육재정론
제12장 교육연구
제1절 연구의 의의와 절차
제2절 연구문제와 가설
제3절 표집방법
제4절 자료 수집방법
제5절 연구방법의 종류
제13장 교육평가
제1절 교육평가의 기초
제2절 교육평가의 유형
제3절 수업과정과 평가
제4절 평가도구
제5절 표준화 검사
제6절 검사 문항의 제작
제7절 문항의 통계적 분석
제14장 교육통계
제1절 교육통계의 기초
제2절 정상분포곡선과 표준점수
제3절 상관도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