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단비 필통국어 기본 이론서

단비 필통국어 기본 이론서

(7.9급 공무원 시험대비 교재)

서덕주, 이병초, 지신호 (지은이)
형설
4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단비 필통국어 기본 이론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단비 필통국어 기본 이론서 (7.9급 공무원 시험대비 교재)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7/9급 공무원 > 국어 > 7/9급 기본서 및 부교재
· ISBN : 9788956434957
· 쪽수 : 1262쪽
· 출판일 : 2015-12-18

책 소개

본서는 최근 13년간의 출제 경향을 철저히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반드시 알아야 하는 내용을 엄선하여 수험생들이 쉽게 이해하도록 만들었다. 그리고 기출 문제를 변용하여 언제라도 출제될 수 있는 문제로 각 단원을 점검하도록 했다.

목차

제1권 문법과 국어 규범

제1장 국어 문법
제1절 언어와 국어 16
01 언어의 본질 17
1 언어의 기호적 특성 17
2 언어의 구조적 특성 19
3 언어의 기능 19
02 언어와 인간 21
1 언어와 사고 21
2 언어와 사회 22
3 언어와 문화 22
03 국어와 한글 23
1 국어의 개념 23
2 국어의 분류 23
3 국어의 특질 23
4 한글 24
04 국어의 순화 26
05 북한어의 특징 39
- 기출·예상문제 42
제2절 현대 국어 문법 50
01 말소리 51
1 음성과 발음 기관 51
2 국어의 음운 체계 52
3 음절 55
4 음운의 변동 55
02 단어 62
1 단어의 형성 62
2 단어의 갈래 66
03 어휘 78
1 어휘의 체계 78
2 어휘의 양상 79
04 문장 81
1 문장의 성분 81
2 문장의 짜임 85
3 문법 요소 90
05 의미 102
1 의미의 종류 102
2 단어 간의 의미 관계 102
3 의미 변화의 유형 103
- 기출·예상문제 105
제3절 고전 국어 문법 122
01 국어사 123
1 국어의 계통과 형성 123
2 국어사의 개관 123
3 국어의 변화 과정 124
4 차자(借字) 표기 125
02 국어 연구의 주요 자료 128
1 전기 중세 국어의 자료 128
2 후기 중세 국어의 자료 128
3 근대 국어(조선 후기어)의 자료 129
03 문자 130
1 훈민정음의 창제 130
04 표기법 134
1 받침 표기 134
2 이어적기와 끊어적기 134
3 사잇소리 표기 135
4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 135
05 단어 136
1 품사 136
2 체언의 형태 바꿈 136
3 조사 137
4 용언 138
06 문장과 문법 기능 139
1 문장 성분의 특징 139
2 문법 기능 139
07 국어사 이해의 자료 142
1 중세 국어 142
2 근대 국어 144
- 기출·예상문제 146
제2장 국어 규범
제1절 국어 규범론 156
01 한글 맞춤법 158
제1장 총칙 158
제2장 자모 159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160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166
제5장 띄어쓰기 179
제6장 그 밖의 것 186
[부록] 문장 부호 199
- 기출·예상문제 210
02 표준어 규정 228
제1장 총칙 228
제2장 발음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229
제3장 어휘 선택의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241
- 기출·예상문제 256
03 표준 발음법 264
제1장 총칙 264
제2장 자음과 모음 264
제3장 소리의 길이 266
제4장 받침의 발음 267
제5장 소리의 동화 271
제6장 된소리되기 273
제7장 소리의 첨가 274
- 기출·예상문제 278
04 외래어 표기법 285
제1장 표기의 기본 원칙 285
제2장 표기 일람표 287
제3장 표기 세칙 288
제4장 인명, 지명의 표기의 원칙 292
- 기출·예상문제 297
05 로마자 표기법 304
제1장 표기의 기본 원칙 304
제2장 표기 일람 304
제3장 표기상의 유의점 306
- 기출·예상문제 312
제2절 어법에 맞는 문장 316
01 말 다듬기 317
1 어휘의 잘못된 쓰임 317
02 문장 다듬기 331
1 문장 성분 갖추기 331
2 문장 성분의 호응 336
3 관형화 구성과 명사형 구성 341
4 의미가 애매한 문장 342
5 우리말답지 않은 표현 347
- 기출·예상문제 349
제3절 언어 예절 365
01 높임법 366
1 유의해야 하는 주체 높임법 366
2 유의해야 하는 높임법 관련 어휘 368
02 상황에 따른 언어 예절 370
1 유의해야 하는 인사말 370
2 위로의 인사말 371
3 봉투와 단자 쓰기 371
4 전화 예절 372
5 소개 예절 372
6 편지 쓰는 예절 373
03 호칭어와 지칭어 374
1 가족 사이의 호칭어와 지칭어 374
2 직장과 사회에서 쓰이는 호칭어와 지칭어
377
3 촌수 378
- 기출·예상문제 380
제3장 한문과 한자
제1절 한문·한자의 이해 390
01 한문·한자에 대한 기본적 이해 390
1 기원 및 자형의 변화 390
2 전래 391
02 한자의 형성 원리 및 활용 원리[六書] 393
1 形·音·義393
2 육서 : 발음 및 부수와 뜻의 관계 393
03 부수의 이해 : 유사한 의미별로 묶어서 이
해하기 398
1 부수의 정의 398
제2절 한자어의 이해 400
01 한자어의 구성 원리 401
1 주술 관계(主述關係)[주어+서술어] 401
2 술목 관게(述目關係)[서술어+목적어] 401
3 술보 관계(述補關係)[서술어+보어] 401
4 수식 관계(修飾關係)[수식어+피수식어]
401
5 병렬 관계(竝列關係) 402
6 융합 관계(融合關係) 402
02 동자이음어(同字異音語) 403
03 동음이의어(同音異議語) 406
04 유사 한자(類似漢字) 423
05 독음에 주의할 한자 429
06 의미에 주의할 한자 436
제3절 한문 문장의 이해 438
01 한문 문법의 기초 439
1 한문 문장의 형식 439
2 허사의 용법 442
3 관용 어구의 용법 447
02 한문 문장의 실제 449
1 단문(短文) 449
2 시(詩) 451
3 산문(散文) 452
- 기출·예상문제 454


제2권 읽기와 어휘

제1장 독해의 원리와 실제
제1절 독해의 원리 8
01 사실적 사고 10
1 내용 확인 10
2 주제 파악 16
3 글의 서술 방식 파악 19
02 추리적 사고 26
1 내용의 추리 26
2 구조의 추리 32
03 비판적 사고 38
1 내적 준거에 따른 비판 38
2 외적 준거에 따른 비판 40
04 논리적 사고 44
1 논증 44
2 추론 46
3 추론의 오류 49
- 기출·예상문제 56
제2절 독해의 실제 101
01 논설문 102
1 논설문의 개념 102
2 논설문의 구성 102
3 논설문의 논증(論證) 105
4 논설문의 종류 106
5 주요 논설문의 실제 107
02 설명문 134
1 설명문의 개념 134
2 설명문의 구성 134
3 주요 설명문의 실제 134
03 기행문 145
1 기행문의 개념 145
2 주요 기행문의 실제 146
04 생활문 149
1 기사문 149
2 광고문 150
3 서간문 150
4 주요 생활문의 실제 151
- 기출·예상문제 156
제3절 기타 영역 200
01 쓰기 201
1 쓰기의 본질 201
2 구성과 개요 작성 204
3 원고지 사용법 207
02 말하기 209
1 토의 209
2 토론 211
- 기출·예상문제 218
제2장 어휘 및 고사성어
제1절 어휘 250
01 유형어 251
1 시간(時間)과 날짜를 나타내는 어휘 251
2 날씨를 나타내는 어휘 252
3 단위를 나타내는 어휘 253
4 사람을 나타내는 어휘 255
5 나이를 나타내는 어휘 259
6 동물과 그 새끼를 나타내는 어휘 260
7 기타 260
02 관용어 262
1 일반 어휘 262
2 신체를 나타내는 어휘 265
03 고유어 268
1 일반 어휘 268
2 문학 작품에 사용된 어휘 274
3 접사를 지닌 어휘 281
4 고유어와 한자어의 대응 284
- 기출·예상문제 292
제2절 한자 성어 및 속담 303
01 한자 성어 304
1 세태(世態) 304
2 사람의 덕목 305
3 사람의 능력 306
4 사람의 처세 309
5 사람의 감정 312
6 사람의 관계 314
7 인생의 의미 315
8 기타 316
02 속담 318
1 사람 318
2 사람의 처세 321
3 사람의 감정 325
4 사람의 관계 326
5 인생의 의미 326
03 한자 성어와 속담의 대응 327
- 기출·예상문제 329


제3권 문학의 흐름과 문학 작품 감상제1장 문학 일반론

제1절 문학 일반 이해 10
01 문학의 개념과 특징 11
1 문학의 개념 11
2 문학의 특징 11
02 문학의 기원과 갈래 14
1 문학의 기원 14
2 문학의 기능 15
3 문학의 갈래 15
03 문학 작품 이해와 감상 16
1 비평의 개념 16
2 비평의 방법 16
3 비평의 평면도 16
4 비평의 유형 17
- 기출·예상문제 21
제2절 문학의 표현 기법과 미의 범주 29
01 수사법의 개념과 종류 29
02 그 밖의 표현 기교 36
1 패러디의 개념과 실제 36
2 객관적 상관물의 개념과 실제 37
3 언어유희의 개념과 실제 38
4 불가능항 상황 설정의 개념과 실제 38
5 숭고미와 우아미의 개념 39
6 비장미의 개념과 실제 39
7 골계미의 개념과 실제 40
- 기출·예상문제 41
제2장 문학의 갈래
제1절 현대시의 이해 52
01 시의 일반 이해 53
1 시의 개념 53
2 시의 정의 53
02 시의 언어 54
03 시의 심상 56
1 심상의 개념 56
2 심상의 종류와 제시 방법 56
04 시의 운율 59
1 운율의 개념과 구성 요소 59
2 운율의 종류 59
05 시적 화자와 어조 62
1 시적 화자의 개념 62
2 시적 화자의 태도 63
3 시의 어조와 정서적 거리 66
06 작품 감상의 실제 68
1 이별의 시학 68
2 역사의 뒤안길 75
3 전통적 서정 89
4 존재론적 시의 미학 96
- 기출·예상문제 104
제2절 현대소설의 이해 139
01 소설의 개념과 특성 140
1 소설의 개념 140
2 소설의 어원 140
3 소설의 특성 140
02 소설의 요소 141
1 소설의 3요소 141
2 소설 구성의 3요소 149
3 소설의 시점과 거리 156
03 주요 현대소설 158
1 배따라기 158
2 고향 159
3 화수분 160
4 탈출기 161
5 태평천하 162
6 삼대 164
7 동백꽃 166
8 사하촌 168
9 치숙 169
[10] 유예 170
[11] 광장 171
[12] 수난이대 172
[13] 장마 173
[14] 서울 1964년 겨울 175
[15] 난쟁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176
[16] 삼포 가는 길 177
- 기출·예상문제 179
제3절 희곡·시나리오·수필의 이해 212
01 희곡의 이해 213
1 희곡의 개념과 특성 213
2 희곡의 구성 단위 214
3 희곡의 갈래 215
02 시나리오의 이해 217
03 수필의 이해 219
04 주요 작품 221
1 토막 221
2 만선 222
3 원고지 223
4 오발탄 224
5 그믐달 225
6 구두 226
7 산정무한 227
8 인연 228
9 나무 229
[10] 연 230
[11] 지조론-변절자를 위하여 231
[12] 선비정신 232
[13] 부덕이 233
[14]「행복의 메타포」중에서?밀레의 만종
234
- 기출·예상문제 235
제3장 현대 문학사
제1절 현대 문학사 256
01 개화기 문학 257
1 형성 배경과 특징 257
2 개화기 가사 258
3 신소설 259
4 역사 전기소설 260
5 창극 261
6 국문 운동 261
7 신문 261
02 1910년대 문학 262
1 현대 문학의 개념 262
2 형성 배경과 특징 262
3 신체시 263
4 현대소설의 등장 264
5 극 문학 265
6 잡지의 간행 265
03 1920년대 문학 266
1 형성 배경 266
2 동인지 및 잡지의 발간 266
3 계급주의 문학과 민족주의 문학의 대립
267
4 시 문학 268
5 소설 문학 269
6 희곡과 시나리오의 특징 270
04 1930년대~1945년의 문학 271
1 형성 배경과 특징 271
2 동인지 및 잡지의 발간 272
3 시 문학 273
4 소설 문학 275
5 희곡과 시나리오 278
6 비평의 특징 278
05 광복 이후~6.25 전쟁 이후 문학 279
1 형성 배경과 특징 279
2 시 문학 280
3 소설 문학 282
06 1960년대 문학 284
1 형성 배경과 특징 284
2 시 문학 284
3 소설 문학 286
- 기출·예상문제 288
제4장 고전 문학사
제1절 고전 문학의 흐름과 고전 운문 문학
의 전개 310
01 고전 문학의 흐름 311
02 고전 운문 문학의 전개와 특징 313
1 고대의 운문 문학 313
2 고려의 운문 문학 323
3 조선 전기의 운문 문학 335

저자소개

서덕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 국문학과에서 학부와 대학원 과정을 마치고 2004년에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강대 국문학과 강사를 거쳐 2004년 회계 세무 특성화 대학 웅지세무대학교 세무행정학과 국어담당교수로 공무원 양성에 투신하였다. 개교 이래 400명이 넘는 공무원 합격자를 배출하는 데 힘을 보탰다. 최근에는 한자, 국어 문법론과 국어 규범을 학생들에게 쉽고 정확하게 가르치기 위한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그리고 학생들의 학습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전략을 만들기 위해 고심하고 있으며, 공무원 국어 학습법 저자와 강사로도 활약하고 있다.
펼치기
이병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주 출생. 1998년 문예계간지 《시안》에 연작시 「황방산의 달」이 당선되었고, 시집으로 『밤비』 『살구꽃 피고』 『까치독사』 등이 있다. 그의 시세계는 근대화에 소외된 고향과 거기에 살았던 분들의 이력을 자양분 삼았는데 토속적 이미지를 현재로 재생하는 데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그의 시에 표면화된 전북의 입말은 날것의 미학을 구현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현재 웅지세무대 교수이다.
펼치기
지신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 대학원 국문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경민대, 서강대 강사를 거쳐 웅지세무대학교 세무행정학과 국어 담당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요즘 동아시아 문화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그것을 이해하기 위한 수단으로 한문과 한자어의 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어, 이를 어문학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문화의 차원에서도 이해할 수 있도록 학생들을 지도하고 있다. 공무원 국어 교수 중에 드물게 한문학을 정통으로 연구하여, 학생들에게 한자어와 한문을 가장 잘 가르치는 교수로 이름이 드높다. 한자교육진흥회 급수 시험 출제위원이기도 하다. ■ 공무원 수험서 저술 목록 패밀리 한자, 사피엔스 21, 2009년 필통 국어, 형설출판사, 2016년 필통 국어 단원별·유형별 문제집, 형설출판사, 2010년 필통 국어 실전모의고사, 서원각, 2010년
펼치기

책속에서

[머리말]

『必通국어』는 수험생 여러분과 필(feel)이 통하는 교재, 시험장에서 반드시[必] 통(通)하는 교재를 만들겠다는 의지와 노력의 결과물입니다. 이 책을 만든 우리들은 웅지세무대학 세무행정과에서 공무원이 되겠다는 열망을 안고 공부에 매진하는 학생들과 함께 고민하며 생활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공무원 수험생들이 국어를 공부하는 데 있어서 겪는 어려움과 방황을 지켜보면서 그 해결책을 찾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행복한 국어』,『Neo Public 국어』시리즈를 발간하였고 많은 사랑을 받았습니다.

이제 우리는 그동안의 연구 성과를 모아『必通국어』를 세상에 내놓으려고 합니다. 우선 우리는 수험생들의 하소연에 귀를 기울였습니다. 강의를 듣지 않고는 내용을 이해할 수 없는 교재, 바뀌는 출제 경향을 반영하지 않은 채 백과사전처럼 내용만 잔뜩 싣고 있는 교재, 핵심을 선명하게 보여주지 못하는 교재, 문제로 가득하지만 실전에서 나오지 않는 교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13년간의 출제 경향을 철저히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반드시 알아야 하는 내용을 엄선하여 수험생들이 쉽게 이해하도록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기출 문제를 변용하여 언제라도 출제될 수 있는 문제로 각 단원을 점검하도록 했습니다. 또한 심화 내용이나 보충 내용도 지나치고 넘어가지 않도록 자세하게 설명했습니다.

수험생 여러분, 우리는 지금 한길을 걷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공무원이 되기 위한 길을 걷고 있으며, 저자들은 공무원을 만드는 길을 걷고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이 길에서 만나 서로의 마음과 지식을 나누고 있습니다. 젊은 세대들이 헤쳐 가기 어려운 세파(世波)가 몰아치고 있는 지금, 그래도 여러분이 택한 공무원의 길은 인생을 걸고 충분히 가봄직한 가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저자들이 앞장서서 걷고 있는 합격의 길에 여러분도 기꺼이 함께 하시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