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교원임용시험 > 중등 전공
· ISBN : 9788957185667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3-09-05
목차
* 신사고
01 문학Ⅰ
Ⅰ. 문학의 성격
1. 문학의 개념
모란이 피기까지는(김영랑)---2
궁가(작자 미상)---4
파초(이태준)---6
큰 산(이호철)---8
2. 문학의 역할
이반 데니소비치의 하루(솔제니친)---9
추억에서(박재삼)---11
비 오는 날이면 가리봉동에 가야 한다(양귀자)---12
20년 후의 가을(곽재구)---14
3. 문학의 갈래
산상의 노래(조지훈)---16
옥단춘전(玉丹春傳)(작자 미상)---18
소(유치진)---20
열쇠와 자물쇠(미셸 투르니에/김화영 옮김)---21
사랑이 거짓말이~(김상용)---22
서해상의 낙조(落照)(이태극)---22
임종(염상섭)---24
의자(조병화)---26
의자는 잘못 없다(선욱현)---26
Ⅱ. 문학의 수용과 생산
1. 문학의 수용
서경별곡(西京別曲)(작자 미상)---27
매잡이(이청준)---28
사씨남정기(김만중)---30
참회록(懺悔錄)(윤동주)---32
녹을 닦으며(허형만)---33
한 그리움이 다른 그리움에게(정희성)---34
두꺼운 삶과 얇은 삶(김현)---36
부끄러움을 가르칩니다(박완서)---38
2. 문학의 생산
성북동 비둘기(김광섭)---39
상이군인에서 얻은 영감과 외나무다리의 결합(하근찬)---40
플라타너스(김현승)---42
3. 문학과 매체
촐라체(cholatse)(박범신)---46
Ⅲ. 문학 활동의 실제
1. 서정 문학의 활동
길(김소월)---50
가시리(작자미상)---51
수선화(위즈워스/유종호 옮김)---52
곡자(哭子)(허난설헌)---54
유리창1(정지용)---55
봄(이성부)---56
조그만 사랑 노래(황동규)---57
사람이 풍경으로 피어나(정현종)---58
사는 일(나태주)---58
잠노래(작자 미상)---60
가정(이상)---60
국화 옆에서(서정주)---60
2. 서사 문학의 활동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박태원)---62
홍계월전(洪桂月傳)(작자 미상)---64
꺼삐딴 리(전광용)---66
타인의 방(최인호)---68
3. 극 문학의 활동
만선(滿船)(천승세)---70
김씨 표류기(이해준)---72
댄싱 섀도(Dancing Shadows)(극본 아리엘 도르프만)---74
성난 기계(차범석)---75
4. 교술 문학의 활동
조침문(弔針文)(유씨 부인)---77
거꾸로 보기(법정)---78
나의 국토 나의 산하(박태순)---80
넥타이(윤오영)---80
02 문학Ⅱ
Ⅰ. 문학의 위상
1. 한국 문학의 범위와 역사
정읍사(井邑詞)(어느 행상인의 아내)---83
광문자전(廣文者傳)(박지원)---84
봉산탈춤(작자미상)---86
비(정지용)---86
동심가(이중원)---87
아침 이미지1(박남수)---87
봄 . 봄(김유정)---88
흥부전(작자미상)---88
상춘곡(賞春曲)(정극인)---90
산이 날 에워싸고(박목월)---91
정선 아리랑(작자 미상)---92
무명소졸(無名小卒)(김학철)---94
2.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
돈키호테(Don Quixote)(세르반테스/박철 옮김)---98
단오(이수익)---100
산중문답(山中問答)(이백/정민 옮김)---101
곡강(曲江)(두보/김의정 옮김)---101
죽장망혜(竹杖芒鞋) 단표자(單瓢子)로~(작자미상)---102
구운몽(김만중)---102
3. 한국 문학의 세계화
동승(하종오)---104
대장금(大長今)(김영현)---105
귀천(歸天)(천상병)---108
Ⅱ. 문학의 흐름
1. 원시~고려 시대의 문학
주몽 신화(朱蒙神話)(작자 미상)---110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충담사 / 양주동 옮김)---112
서동요(서동)---112
동동(動動)(작자 미상)---114
공방전(孔方傳)(임춘)---116
길가메시 이야기(작자 미상)---118
용풍(이규보)---119
2. 조선 시대의 문학
삭풍(朔風)은`~(김종서)---120
어져 내 일이여~(황진이)---120
말 업슨 청산(靑山)이오~(성혼)---120
사미인곡(思美人曲)(정철)---121
속미인곡(續美人曲)(정철)---122
이생규장전(李生窺牆傳)(김시습)---122
서방(書房)님 병(病) 들여~(김수장)---123
나모도 바히 돌도 업슨~(작자미상)---124
? (宅)들에 동난지 사오~(작자미상)---125
이춘풍전(李春風傳)(작자 미상)---126
용산 마을 아전 [龍山吏](정약용)---128
고시8(정약용)---128
고양이(보들레르/윤영애 옮김)---129
꼭두각시놀음(작자미상)---130
3. 개화기~일제 강점기의 문학
금수회의록(禽獸會議錄)(안국선)---131
알 수 없어요(한용운)---133
그날이 오면(심훈)---134
레디메이드 인생(채만식)---134
칼레의 시민들(게오르크 카이저/장영은 옮김)---136
무정(이광수)---137
절정(이육사)---137
4. 해방 이후의 문학
너와 나만의 시간(황순원)---138
눈(김수영)---140
껍데기는 가라(신동엽)---141
삼포(森浦) 가는 길(황석영)---142
빈집(기형도)---143
또 기다리는 편지(정호승)---144
영월행 일기(寧越行日記)(이강백)---145
기억의 천재 푸네스(보르헤스 / 황병하 옮김)---147
섬진강 15 - 겨울, 사랑의 편지(김용택)---148
쇠붙이와 강철 시대의 틈을 맞으면서(유안진)---148
Ⅲ. 문학과 삶
1. 문학과 자아
소전(小傳)(박제가)---150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백석)---151
흐르는 북(최일남)---153
술 권하는 사회(현진건)---154
2. 문학과 공동체
더불어 숲(신영복)---156
멋진 신세계 (헉슬리)---158
찬밥(문정희)---160
내 그물로 오는 가시고기(조세희)---162
3. 문학과 문화
광화문, 겨울, 불꽃, 나무(이문재)---163
말을 찾아서(이순원)---164
상행(김광규)---166
입마춤(서정주)---168
가시내(서정주)---168
혼불(최명희)---169
축제(임권택 감독/옥상효 각색)---170
* 천재(정)
01 문학Ⅰ
Ⅰ. 문학의 개념과 역할
1. 문학의 개념
산도화(박목월)---2
보랏빛 소묘(박목월)---3
봄은 고양이로소이다(이장희)---3
감탄과 연민(고재종)---4
수선화, 그 환한 자리(고재종)---5
성에꽃(최두석)---5
서경별곡(西京別曲)(작자 미상)---6
울음이 타는 가을 강(江)(박재삼)---7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박완서)---8
요람기(오영수)---9
2. 문학의 역할
개미(베르베르)---10
귀촉도(서정주)---12
규원가(허난설헌)---14
작은 부엌 노래(문정희)---15
난쟁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조세희)---16
저문 강에 삽을 씻고(정희성)---17
Ⅱ. 문학의 갈래
1. 서정 갈래
님이 오마 ?거?~(작자 미상)---18
어리고 성긴 매화~(작자미상)---18
해(박두진)---19
낡은 집(이용악)---20
고향(현진건)---21
폭포(瀑布)(김수영)---23
시여, 침을 뱉어라(김수영)---23
폭포(이형기)---24
향수(鄕愁)(정지용)---25
고향(정지용)---26
이니스프리의 호도(湖島)(예이츠)---26
행복(幸福)(유치환)---27
그리움(유치환)---27
즐거운 편지(황동규)---28
북어(北魚)(최승호)---28
2. 서사 갈래
로디지아 발 기차(고디머)---30
관촌수필(이문구)---31
소문의 벽(이청준)---32
무진기행(김승옥)---33
임진록(壬辰錄)(작자 미상)---34
혈의 누(이인직)---35
3. 극 갈래
원고지(原稿紙)(이근삼)---36
로미오와 줄리엣(셰익스피어)---38
운영전(雲英傳)(유영)---39
4. 교술 갈래
산정무한(山情無限)(정비석)---40
금강산의 야계(野鷄)(고유섭)---41
모송론(母頌論)(김진섭)---41
모자 철학(가드너)---42
어린 왕자(생텍쥐페리)---43
Ⅲ. 문학의 수용과 생산
1. 문학 작품의 수용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윤선도)---44
노 젓는 소리(전남 신안)---45
파수꾼(이강백)---46
사씨남정기(謝氏南征記)(김만중)---48
북헌집(김춘택)---48
접동새(김소월)---50
정과정(鄭瓜亭)(정서)---51
2. 문학 작품의 내면화
김유정 생가에서(최인호)---52
허생전(박지원)---54
승무(조지훈)---56
바라춤(신석초)---57
금시조(이문열)---58
서편제(이청준)---59
성북동 비둘기(김광섭)---60
죄와 벌(도스토옙스키)---62
탁류(濁流)(채만식)--63
3. 문학 작품의 재구성 및 생산
사평역(沙平驛)(임철우)---64
사평역에서(곽재구)---64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김광규)---66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박태원)---68
Ⅳ. 문학과 매체
1. 문학의 소통과 매체의 관계
무정(無情)(이광수)---71
레 미제라블(위고)---74
2. 다매체 시대의 문학 향유
클래식(곽재용)---76
쾌걸 춘향(홍정은 . 홍미란)---78
춘향가(작자미상)---78
02 문학Ⅱ
Ⅰ. 문학과 삶
1. 문학과 자아
자화상(自畵像)(윤동주)---80
참회록(懺悔錄)(윤동주)---81
주옹설(舟翁說)(권근)---82
상실의 시대(무라카미 하루키)---83
검은 여인(상고르)---84
연행가(홍순학)---85
열하일기(박지원)---85
비 오는 날이면 가리봉동에 가야 한다(양귀자)---86
학(鶴)(황순원)---87
2. 문학과 공동체
만세전(萬歲前)(염상섭)---88
아이네이스(베르길리우스)---90
동명왕편(이규보)---91
우리 동네 구자명 씨(고정희)---92
월든(소로)---94
도요새에 관한 명상(김원일)---96
Ⅱ. 한국 문학의 범위와 역사
1. 한국 문학의 범위
아리랑 타령(작자 미상)---97
광복군 아리랑(작자미상)---98
사할린 본조 아리랑(작자미상)---98
수오재기(守吾齋記)(정약용)---99
여우난 곬족(族)(백석)---100
선제리 아낙네들(고은)---102
황진이(홍석중)---102
? 음이 어린 後(후)ㅣ니~(서경덕)---103
내 언제 無心(무심)?여~(황진이)---103
태평천하(太平天下)(채만식)---104
박연 폭포(朴淵瀑布)(이병기)---106
관동별곡(關東別曲)(정철)---106
가고파(이은상)---107
2. 한국 문학의 역사
구지가(龜旨歌)(구간 등)---108
황조가(유리왕)---109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충담사)---109
제가야산독서당(題伽倻山讀書堂)(최치원)---110
五百年(오백 년) 都邑地(도읍지)를~(길재)---110
조신(調信)의 꿈(작자 미상)---111
송인(送人)(정지상)---113
가시리(작자 미상)---114
공방전(孔方傳)(임춘)---114
정석가(鄭石歌)(작자 미상)---116
한림별곡(翰林別曲)(한림 유생들)---116
首陽山(수양산) ?라보며~(성삼문)---118
집方席(방석) 내지 마라~(한호)---118
어이 못 오던가~(작자 미상)---118
주려 주그려 ?고~(주의식)---119
나무도 바히돌도 업슨~(작자 미상)---119
속미인곡(續美人曲)(정철)---120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122
흥보전(興甫傳)(작자 미상)---122
경부 텰도 노래[京釜鐵道歌](최남선)---124
해(海)에게서 소년에게(최남선)---125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이상화)---126
바라건대는 우리에게 우리의 보습 대일 땅이 있었더면(김소월)---128
날개(이상)---128
절정(絶頂)(이육사)---130
오발탄(誤發彈)(이범선)---132
잉여 인간(손창섭)---133
꽃(김춘수)---134
껍데기는 가라(신동엽)---135
농무(農舞)(신경림)---136
서울 길(김지하)---137
외딴 방(신경숙)---138
Ⅲ. 한국 문학과 세계 문학
1. 세계 문학의 양상과 흐름
강촌(江村)(두보)---140
설국(雪國)(가와바타 야스나리)---142
바다9(정지용)---143
이성과 감성(오스틴)---144
시(詩)(네루다)---146
2. 한국 문학과 세계 문학의 관련 양상
광장(廣場)(최인훈)---148
기탄잘리(타고르)---150
타고르의 시(Gardenisto)를 읽고---150
고양이 학교(김진경)---152
명랑한 밤길(공선옥)---154
Ⅳ. 문학과 문화
1. 문학과 인접 영역
그림과 시(정민)---156
남한산성(南漢山城)(김훈)---158
2. 문학의 생활화
조침문(弔針文)(유씨 부인)---160
무식한 놈(이익섭)---163
꽃에게 길을 묻다(조용호)---16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