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복지학
· ISBN : 9788958100393
· 쪽수 : 424쪽
· 출판일 : 2012-09-17
책 소개
목차
여성주의적 사회복지를 위한 시론
PART 1. 여성주의적 현실 인식: 여성학 방법론
chapter 1. 보편적 복지로서 여성복지를 위한 방법론적 접근 ― 사회복지 내에서 여성복지의 주변성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chapter 2. 이중사회화 과정을 통해 본 한국 여성해방전략의 제한성과 부적절성
chapter 3. 노인복지에 대한 가족사회학적 접근 ― 노인부양 문제를 통해 본 노인복지와 여성복지의 관계에 대한 시론적 고찰
chapter 4. 가족복지의 근대성과 전근대성 ― 한국 가족복지 방법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과제
PART 2. 여성주의적 현실 분석: 여성 노동·정책
chapter 5. 직장과 가정의 긴장관계에 선 여성노동
chapter 6. 고용평등지표를 통해 본 양성평등의 현주소
chapter 7. 고령화시대 노인부양부담과 여성의 경제활동
chapter 8. 고학력 여성의 일과 경력
chapter 9. 돌봄 서비스 개선을 위한 비영리 조직화 가능성
chapter 10. 이주와 여성노동 ― 외국인 노동자 문제를 통해 본 한국 노동시장의 성별, 민족별 분절화 현상을 중심으로
PART 3. 대안적 사회학: 여성ㆍ환경ㆍ영성
chapter 11. ‘노동사회’를 넘어 ‘좋은 노동 사회’를 위하여 ― 일ㆍ가족양립 정책과 모성보호 정책
chapter 12. 경쟁적 노동사회의 소비적 여가의 인간화 ― 유럽의 ‘좋은 노동’ 논의의 한국적 시사점을 중심으로
chapter 13. 생태, 왜 시대의 화두인가
chapter 14. 여가로서 수행의 의미 - ‘노동사회’의 소비적 여가를 넘어 수행문화의 복지사회를 위한 단상
저자소개
책속에서
정권이 들어서고 나면 가장 뒷전으로 밀려나는 것이 여성복지 관련 정책이다. 진정한 복지국가가 되기 위해서는 보충적, 잔여적 복지를 넘어 전국민의 의무이자 권리로서 보편적 복지가 이루어져야 한다. 보편복지로서 여성복지를 이루기 위한 전제조건은 모든 복지분야에서 여성주의적 방법론을 접맥하는 것이다. … 자칫 성중립적인 것으로 이해되기 쉬운 사회복지의 모든 분야에 걸쳐 성인지적으로 인식하는 것이 바로 여성주의적 사회복지의 출발이며 여성복지가 사회복지 내에서 갖는 주변성을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이다.
직장을 가진 어머니의 이중노동부담은 한 여성의 개인적 문제일 뿐만 아니라, 여성정책 및 노동정책의 차원에서 다루어져야 할 정치적 주제이기도 하다. … 물론 직장과 가정의 병행이 현재의 성별분업 구조하에서 일차적으로 여성에게 당면한 문제임은 분명하다. 하지만 남성들 역시 이 문제와 전혀 무관하지는 않다. … 출산과 양육은 더 이상 여성 혼자만의 의무는 아니다.
새로운 노동문화의 가능성을 살펴보는 가운데 ‘일·가족양립’의 문제를 ‘일과 삶의 균형’의 문제로 전환해야 한다. … 일과 가족을 분리시키는 대칭구조에서 벗어나 일과 삶이라는 보다 광범위한 구도에서 바라보는 것이다. … 여성들에게 직장은 더 이상 가족과 병행하기 위한 선택의 대상이 아니라, 삶의 필수요소가 되어가고 있으며, 여기에서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주제가 바로 ‘좋은 노동’에 대한 논의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