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기타 수험서/자격증 > 공인행정사
· ISBN : 9788958224358
· 쪽수 : 591쪽
· 출판일 : 2013-03-15
책 소개
목차
제1편 행정학의 기초이론
제1장 행정의 본질
제1절 행정의 의의 13
제2절 행정과 경영(공행정과 사행정) 15
제3절 행정의 변수와 과정 17
제2장 행정학의 발달
제1절 관방학(Cameralism)과 슈타인 행정학 24
제2절 미국 행정학의 발전 25
제3절 현대행정국가 27
제4절 준정부조직과 NGO 30
제5절 정보화 사회와 전자정부(1970년대 후반 이후) 32
제3장 행정학의 주요 접근방법
제1절 접근방법의 분류 44
제2절 과학적 관리법(구조적 접근방법) 45
제3절 인간관계론(HR) 47
제4절 행정행태론 50
제5절 행정생태론 53
제6절 행정체제론 56
제7절 비교행정론 59
제8절 발전행정론 61
제9절 신행정론 64
제10절 신공공관리론 67
제4장 행정의 이념(가치)
제1절 행정이념(가치) 87
제2절 공 익(Public Interest) 94
제3절 사회지표 97
제2편 정책과 기획
제1장 행정목표와 목표관리
제1절 행정목표 107
제2절 목표관리(Management by Objective:MBO) 112
제2장 정책론
제1절 정책의 일반이론 118
제2절 정부규제 122
제3절 정책의제형성(Agenda Setting) 128
제4절 체제분석(System Analysis) 134
제5절 정책결정 140
제6절 정책집행 150
제7절 정책평가 153
제8절 정책종결 158
제3장 기획론 179
제1절 기획의 의의 179
제3편 조직이론
제1장 조직 일반론
제1절 조직이론의 발달 195
제2절 현대조직이론-자연?개방적 이론 199
제3절 조직과 환경 205
제4절 조직과 개인 208
제5절 조직의 원리 216
제2장 조직구조론
제1절 조직의 구조 231
제2절 관료제(Bureaucracy) 234
제3절 계선과 막료(Line & Staff) 240
제4절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 243
제5절 위원회 조직(합의제) 245
제6절 공기업론 248
제3장 조직관리론
제1절 리더십(Leadership) 271
제2절 권 위(Authority) 275
제3절 갈 등(Conflict) 277
제4절 의사전달(Communication) 281
제5절 공공관계(PR : Public Relations) 285
제6절 행정상의 관리계층과 권한위임 286
제4장 조직변동론
제1절 조직혁신 300
제2절 조직발전(Organization Development) 302
제3절 조직의 동태화 304
제4편 인사행정론
제1장 인사행정의 기초이론
제1절 인사행정의 기초 321
제2절 엽관주의와 실적주의 322
제3절 적극적 인사행정 325
제4절 직업공무원제 327
제5절 중앙인사행정기관 330
제2장 공직의 분류
제1절 공직분류의 일반론 341
제2절 직위분류제와 계급제 344
제3장 모집, 시험, 임용
제1절 모 집 355
제2절 시 험 357
제3절 임 용 360
제4장 능력발전
제1절 교육훈련 367
제2절 근무성적평정 371
제3절 승 진(Promotion) 375
제5장 사기앙양
제1절 사 기(Morale) 384
제2절 공무원의 보수 386
제3절 제안제도 391
제4절 공무원단체 392
제6장 공무원의 행동규범
제1절 공무원의 윤리 402
제2절 정치적 중립 407
제3절 신분보장 409
제5편 재무행정론
제1장 재무행정의 기초이론
제1절 예산의 본질 419
제2절 중앙예산기관 422
제3절 예산의 종류 426
제4절 예산의 원칙 431
제5절 예산의 분류 433
제2장 예산과정론
제1절 예산의 과정 444
제2절 예산의 편성 445
제3절 예산의 심의 448
제4절 예산의 집행 450
제5절 결 산(회계기록의 작성) 455
제6절 회계검사 456
제3장 예산제도론
제1절 예산결정이론 468
제2절 품목별 예산제도(LIBS) 470
제3절 성과주의예산제도(PBS) 470
제4절 계획예산제도(PPBS) 472
제5절 영기준예산(ZBB) 476
제6절 자본예산(CBS:Capital Budget System) 479
제7절 구매행정 481
제6편 행정통제와 행정개혁
제1장 행정책임과 행정통제
제1절 행정책임 497
제2절 행정통제 500
제2장 행정개혁
제1절 행정개혁 515
제7편 지방행정론
제1장 지방행정의 일반이론
제1절 지방행정의 본질 535
제2절 중앙집권과 지방분권 536
제3절 신중앙집권화 538
제4절 광역행정 540
제5절 일선기관(Field Service) 543
제2장 지방자치
제1절 지방자치의 기본원리 550
제2절 지방행정구역 564
제3절 지방자치단체의 사무 및 자치권 567
제4절 지방재정제도 5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