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과학/수학/컴퓨터 > 과학 일반
· ISBN : 9788958850144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05-10-10
책 소개
목차
인체
모기에 물리면 왜 가려운가요? | 가위에 눌리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잠은 몇 시간이나 자야 하나요? | 사랑니는 반드시 뽑아야 하나요? | 멍은 왜 생기나요? |선풍기를 틀고 자면 숨지는 이유는? | 오른눈잡이와 왼눈잡이가 있나요? | 몽고반점은 왜 생기나요? | 멀미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헬륨 가스를 마시면 왜 목소리가 바뀌나요? | 관절에서 왜 소리가 나나요? | 기아에 허덕이는 아이들은 왜 배가 불룩한가요? | 드라큘라도 혈액형이 있나요? | 봉숭아물을 들이면 마취가 안 되나요? | 주사는 왜 엉덩이에 맞나요? | 시체도 머리카락과 손톱이 자라나요? | 밤에 음식을 먹으면 왜 살이 찌나요? | 육상트랙을 돌 때 왜 반시계 방향으로 도나요? | 일란성 쌍둥이도 지문이 다른가요? | 바이킹을 타면 왜 스릴을 느끼나요? | 어두운 곳에서 책을 보면 눈이 나빠지나요? | 바닷물을 많이 마시면 죽나요? | 무중력 상태에서 몸은 어떻게 변하나요? | 안경을 쓰면 눈이 더 나빠지나요? | 왜 간에 기별도 안 간다고 하나요? | 채식을 하면 오래 사나요? | 염색을 하면 머릿결이 나빠지나요? | 감기는 치료약이 없다는데 사실인가요? | 몸이 아프면 왜 열이 나나요? | 건망증과 치매는 어떻게 다른가요? | 알레르기는 왜 생기나요? | 아토피성 피부염은 왜 생기나요? | 하품을 하면 왜 눈물이 나나요? | 하품을 하면 왜 소리가 작게 들리나요? | Rh 혈액형이란 무엇인가요? | 혈액형은 정말 성격과 관련이 있나요? | 단것을 많이 먹으면 왜 이가 썩나요? | 칫솔질을 하는데도 왜 이가 누런가요? | 아기를 가지면 왜 입덧을 하나요? | 기시감이란 무엇이며 왜 생기나요? | 피 한 방울로 어떻게 신분을 확인하나요?
우주
밤하늘은 왜 깜깜한가요? | 외계인은 정말 있나요? | 별은 왜 반짝이는 것처럼 보이나요? | 별까지의 거리는 어떻게 측정하나요? | 우주에서는 별이 안 보이나요? | 우주복 없이 우주로 나가면 어떻게 되나요? | 무중력 상태에서 촛불은 어떤 모양인가요? | 우주 안에도 방향이 있나요? | 태양은 어떻게 활활 타오르나요? | 태풍의 눈은 왜 조용한가요? | 자연 현상을 보고 어떻게 기후를 예측하나요? | 체감온도란 무엇인가요? | 토성의 고리는 어떻게 만들어졌나요? | 태양의 온도는 어떻게 측정하나요? | 그믐과 개기월식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 구름은 어떻게 하늘에 떠 있나요? | 비행기구름은 왜 생기나요? | 달이 붉게 보이는 이유는? | 날씨에 따라 태양의 색깔이 왜 다르게 보이나요? | 무지개는 왜 생기나요? | 엘니뇨 현상이란 무엇인가요? | 소가 지구온난화의 주범인가요? | 세계에서 가장 큰 망원경은 무엇인가요? | 지구의 질량은 어떻게 측정하나요? | 인구가 늘어도 지구의 질량은 변하지 않는 이유는? | 지구의 나이는 어떻게 알 수 있나요? | 춘분과 추분 때 밤낮의 길이가 정확하게 같은가요? | 태양이나 달이 따라오는 것처럼 느껴지는 이유는? | 지구가 자전할 때 소리가 나나요? | 동해와 서해의 조수간만의 차이가 나는 이유는? | 지질시대는 어떻게 나누나요? | 지층의 나이는 어떻게 측정하나요? | 눈이 올 때는 왜 천둥이 치지 않나요? | 지구는 무슨 힘으로 공전과 자전을 하나요? | 지구가 멈추면 어떻게 되나요? | 하늘은 왜 파란가요? | 저녁노을은 왜 붉은가요? | 오존주의보는 왜 내리나요? | 지구 중심을 지나는 터널에 물체를 떨어뜨린다면? | 밤에 불을 꺼도 희미하게 주위가 보이는 이유는? | 지상에서도 무중력 상태를 만들 수 있나요? | 인력, 만유인력, 중력은 어떻게 다른가요? | 제주도의 도깨비 도로에서는 중력이 다른가요?
생물
판다는 곰 종류가 아닌가요? | 낙타의 등에는 정말로 물이 들어 있나요? | 북극곰은 왜 흰색인가요? | 고래는 왜 육지에 나오면 안 되나요? | 개에게 물렸을 때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 방울뱀의 꼬리에서는 왜 소리가 나나요? | 나비와 나방은 어떻게 구별하나요? | 밤에 개나 고양이의 눈이 빛나는 이유는? | 병아리는 어떻게 달걀 껍질을 깨고 나오나요? | 쌍달걀에서는 병아리가 두 마리 깨어나나요? | 연어는 어떻게 고향으로 돌아오나요? | 물고기가 바닷물을 먹어도 무사한 이유는? | 얼룩말의 줄무늬는 정말 보호색 효과가 있나요? | 온도에 따라 암수가 바뀔 수도 있나요? | 동물도 아플 때 약을 먹나요? | 사람이 IQ가 가장 높은 동물인가요? | 제비가 낮게 날면 정말 비가 오나요? | 전기뱀장어는 어떻게 전기를 만드나요? | 동물들은 어떻게 지진을 감지하나요? | 곤충들이 눈으로 날아드는 이유는? | 세균과 병균은 어떻게 다른가요? | 생물은 어떻게 분류하나요? | 인디언들은 세균 때문에 싸움에 졌나요? | 개미는 어떻게 의사소통을 하나요? | 모든 동물들이 페로몬을 분비하나요? | 개미도 사람처럼 대화를 하나요? | 동물을 복제하면 빨리 늙나요? | 일반 소와 복제 소는 어떻게 다른가요? | 토마토는 왜 과일이 아니고 채소인가요? | 식물에도 혈액형이 있나요? | 식물에도 호르몬이 있나요? | 냄새를 없애 주는 식물이 있나요? | 밤에 숲에 가면 해롭나요? | 식충식물은 왜 곤충을 잡아먹나요? | 양파는 익히면 왜 단맛이 나나요? | 감자는 햇빛을 받으면 왜 녹색이 되나요? | 나무의 나이테는 왜 생기나요? | 유전자만으로 생물을 부활시킬 수 있나요? | 최초의 생물은 바다에서 나타났나요?
사물
핸드폰은 어떻게 진동하나요? | 연필로 쓴 글이 지우개로 지워지는 이유는? | 광마우스는 어떻게 작동하나요? | 디지털 카메라는 어떻게 사진을 찍나요? | 입체 안경의 원리는 무엇인가요? | 얼음이 혀에 달라붙은 이유는? | 솜사탕이 만들어지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 어떻게 한 쪽은 유리, 한 쪽은 거울이 되나요? | 자판기는 어떻게 동전을 구별하나요? | 손난로의 원리는 무엇인가요? | 야광 제품이 빛을 내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 고속철도가 레일을 벗어나지 않은 이유는? | 총에 장착하는 소음 장치의 원리는 무엇인가요? | 비행기는 후진할 수 없나요? | 자동차 옆 거울에 있는 글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 DVD란 무엇인가요? | 음주측정기의 원리는 무엇인가요? | 레이저로 어떻게 점을 빼나요? | 형광등과 백열등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 방탄유리는 왜 총에 맞아도 깨지지 않나요? | 볼펜똥은 왜 생기나요? | 물방울이나 거품은 왜 둥근가요? | 신발에 10원짜리 동전을 넣으면 냄새가 나지 않나요? | 수술복이 초록색인 이유는? | 전화기와 컴퓨터의 숫자판이 반대인 이유는? | 녹색 신호일 때 길을 건너는 이유는? | 여름보다 겨울에 정전기가 심한 이유는? | 왜 뻐꾸기 시계인가요? | 과자 포장지에 질소를 사용하는 이유는? | 불을 보면 주위가 떨려 보이는 이유는? | 문 손잡이는 왜 문 가장자리에 있나요? | 병원에서 핸드폰을 쓰면 왜 안 되나요? | 충전지의 원리는 무엇인가요? | 건전지를 냉장고에 넣어 두면 오래 가나요? | 컴퓨터 모니터와 TV는 어떻게 다른가요? | 뜨거운 물이 찬물보다 빨리 언다는데 사실인가요? | 유전에 불이 나면 왜 폭탄을 터뜨려 끄나요? | 돌멩이는 어떻게 물 위를 통통 튀어 가나요? | 자석을 쪼개면 두 극을 분리할 수 있나요? | 흑연으로 다이아몬드를 만들 수 있나요? | 해리포터에 나오는 마법사의 돌은 무엇인가요? | 순간이동이나 공간이동은 가능한가요? | 공기 중에 밀가루를 뿌리고 불을 붙이면 폭발하나요? | 물은 왜 고체의 부피가 액체의 부피보다 큰가요? | 물은 산소와 수소로 이루어져 있는데 왜 물 속에서는 숨을 쉴 수가 없나요? | 빛은 유리는 통과하는데 벽은 왜 통과하지 못하나요? | 밤이 되면 왜 유리창에 반사되는 쪽이 달라지나요?
저자소개
책속에서
"염색을 하면 머릿결이 나빠지나요?"
염색을 한 후 12회 이상 머리를 감아도 머리카락의 색깔 유지하는 염색약에는 두 가지 주된 성분이 들어 있는데, 바로 과산화수소와 암모니아입니다. 과산화수소는 머리카락의 색깔을 만드는 첫 단계에 사용되며 색깔을 더 오랫동안 유지하는 데 효과가 있습니다.
암모니아는 알칼리 성분을 띠고 있는데 머리카락의 표피를 분리시켜 염색약이 머리카락의 피질에 잘 침투하도록 합니다. 염색약으로 염색을 자주 할 경우 머릿결이 상하기 쉬운 이유는 대부분의 염색약이 여러 종류의 알코올을 함유하고 있고, 이런 알코올이 머리카락을 건조하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 본문 64, 65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