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7/9급 공무원 > 회계학/경제학 > 경제학
· ISBN : 9788959530755
· 쪽수 : 520쪽
· 출판일 : 2008-01-28
목차
제1편 거시경제학의 기초
제1장 거시경제학의 주요변수
1. 거시경제의 수량지수
2. 거시경제의 물가지수
3. 실업률의 측정 및 한계
4. 주요 거시경제변수 간의 관계
보론 : 지수의 이해
제2장_1 거시경제학의 주요시장 : 재화시장
1. 재화시장의 분석
2. 단기분석과 장기분석의 비교
3. 대부시장의 분석
제2장_2 거시경제학의 주요시장 ; 화폐시장
1. 인플레이션의 정의
2. 화폐이론의 기초개념
3. 화폐경제의 이득
4. 화폐유통속도의 정의
5. 수량방정식과 화폐수량설의 이해
6. 피셔방정식과 피셔효과
7. 화폐시장의 균형과 물가수준 결정식
8. 화폐발행차익의 문제
9. 인플레이션의 사회적 비용
10. 하이퍼인플레이션의 종말
11. 명목변수와 실질변수
12. 고전적 이분법과 화폐의 중립성
제3장 거시경제학의 주요시장 : 노동시장
1. 실업의 정의
2. 실업문제의 구분
3. 자연실업률의 도출
4. 마찰적 실업의 발생원인
5. 구조적 실업의 발생원인
6. 실업의 지속기간에 대한 연구의 결과
7. 국가별 실업률 변화에 대한 실증연구
8. 고통지수의 문제
9. 실업과 인플레이션의 평가
제2편 경기변동의 기본모형
제4장 거시경제의 총수요 : IS-LM모형의 기초
1. 단기분석의 구조
2. 케인지안 크로스 모형과 국민소득의 결정
3. 재정정책과 승수효과
4. IS곡선의 도출
5. 유동성 선호이론과 이자율의 결정
6. 이자율결정이론의 비교
7. LM,곡선의 도출
8. IS-LM의 동시균형
제5장 거시경제의 총수요 : IS-LM모형의 응용
1. IS-LM의 기본적인 분석-1
2. IS-LM의 기본적인 분석-2
3. 통화당국의 대응에 따른 재정정책의 효과
4. 불확실성하에서 통화정책의 중간목표의 선정
5. 특수한 가정에 기초한 IS-LM 모델
6. IS-LM 모형의 내적 정합성의 문제
7. 대공황과 일본의 장기불황
8. 물가변화를 고려한 IS-LM의 장단기 분석
제6장 거시경제의 총공급 : AD-AS모형
1. 총수요의 이해
2. 총수요곡선이 우하향하는 이유
3. 총공급의 이해
4. 단기 총공급곡선의 도출
5. 모형의 비교
제7장 거시경제의 총공급 : Phillips Curve
1. 필립스곡선
2. 총공급곡선으로부터 필립스곡선의 도출
3. 필립스곡선에 대한 초기 케인즈학파의 이해
4. 자연실업률가설과 인플레이션 가속화 현상
5. 인플레이션의 발생원인과 인플레이션 관성
6. 합리적 기대와 고통 없는 디스인플레이션 논쟁
7. 이력가설
제3편 거시경제학의 미시적 기초
제8장_1 소비이론과 재정정책 : 소비이론
1. 소비의 정형화된 사실
2. 케인즈의 소비이론
3. 케인즈 소비함수의 실증분석
4. Fisher의 시점간 자원배분모형
5. 생애주기가설
6. 항상소득가설
7. 임의보행가설
8. 유동성제약가설과 소비이론의 수정
9. 즉각적 만족표출가설
10. 소비의 자산효과
제8장_2 소비이론과 재정정책 : 재정정책
1. 재정적자의 정의
2. 재정적자의 동태적 접근
3. 재정적자의 측정상의 문제점
4. 리카도 대등정리 논쟁
5. 논쟁1 : 공채는 민간의 순부인가?
6. 논쟁2 : 조세를 공채로 대체하는 정책에 대해 민간은 어떻게 반응하는가?
7. 논쟁3 : 재정적자의 세대간 전가 논쟁
8. 논쟁4 : 재정적자는 악인가?
9. RET에 대한 실증연구과 주의사항
제9장 투자이론
1. 투자의 정형화된 사실
2. 투자의 특징
3. 투자의 종류
4. 투자의 신고전파 모형
5. 토빈의 q이론
6. 주식시장과 국민경제와의 관계
7. 금융제약과 신용붕괴의 문제
8. 주택투자의 모형
9. 재고투자의 이론
10. 투자의 소득의존성
11. 불확실성과 투자
제10장 노동의 수요와 공급
1. 고용과 실질임금에 대한 정형화된 사실
2. 노동수요와 노동공급의 2기간 모형
3. 복 습 : 실업문제의 구분
4. 직업탐색의 이론
5. 구조적 실업의 이론-1
6. 구조적 실업의 이론-2
7. 임금 경직성이론 : 암묵적 계약이론
제11장_1 화폐와 금융이론 : 화폐의 공급과 수요
1. 통화공급과 수요에 대한 정형화된 사실
2. 통화공급의 이론
3. 통화수요의 이론
제11장_2 화폐와 금융이론 : 통화정책
1. 통화정책의 동태적 접근
2. 화폐의 중립성과 초중립성
3. 통화정책의 적극적인 운용 또는 소극적인 운용
4. 경기선행지수의 이해
5. 통화정책의 재량적 운용 또는 준칙에 의한 운용
6. 우리나라의 물가안정목표제
7. 불리한 공급충격과 정책딜레마
8. 통화정책의 지표의 문제
9. 루카스 비판과 정책무력성의 명제
10. 최적정책의 비일관성
11. 신뢰성 문제의 해결방안
12. 통화정책의 전달경로의 이해
13. 신용의 개념과 이해
제11장_3 화폐와 금융이론 : 금융시장, 자산시장
1. 금융시장의 이해를 위한 기초논점
2. 실물투자와 금융부문의 관계
3. 채권가격과 이자율 간의 관계
4. 주식시장과 주가의 결정
5. 파생금융상품의 거래와 손익표
6. 효율적 시장의 가설과 랜덤워크
7. 포트폴리오 효과와 뮤투얼 펀드의 이해
8. 물가연동공채
9. 이자율의 만기구조의 이해
제4편 경기변동이론의 발전
제12장 동태적 일반균형모형
1. 모형의 개요
2. 동태적 일반균형모형의 주요함수
3. 시장청산조건과 균형의 성립
4. 분석상의 주요가정 및 유의사항
5. 거시경제의 일반균혀의 도출
6. 중요한 분석의 경우의 수
7. 중요한 분석내용의 요약
8. 동태적 일반균형분석모형의 주요 분석
9. 전략적 보완성과 조정실패모형
10. 동태적 일반균형모형의 개방경제분석
제13장 경기변동이론의 발전
1. 거시경제이론의 발전
2. 경기변동의 주요 특징
3. 경기변동이론의 과제
4. 경기변동의 정형화된 사실
5. 실물경기변동이론의 이해
6. 새케인즈 경제학의 이해
제5편 개방경제의 거시경제학
제14장_1 개방경제의 거시경제학 : 환율과 국제수지
1. 환율의 기초
2. 환율제도의 이해
3. 국제적 거래의 유형과 환율결정이론
4. 경상거래와 장기환율결정이론
5. 자본거래와 단기환율결정이론
6. 국제수지의 기초
7. 개방경제의 국민소득 항등식
8. 환율과 경상수지의 관계
9. 간단한 경상수지 결정모형
10. 기간간 교역의 이득
11. 국제적 포트폴리오 효과
제14장_2 개방경제의 거시경제학 : 먼델-플레밍 모형
1. 완전자본이동하에서 먼델-플레밍 모형
2. 국제이자율과 물가변화를 고려한 M-F 모형
3. 자본의 이동성에 따른 정책효과의 변화
4. 대국 경제의 M-F 모형
제6편 경제성장의 이론과 정책
제15장 경제성장론-1
1. 경제성장의 의미
2. 생산성의 중요성과 생산성을 결정하는 요인
3. 경제성장의 정형화된 사실
4. 솔로우 모형의 기본가정
5. 장기균형조건의 도출
6. 저축률 상승의 효과
7. 황금률 이론
8. 인구성장을 고려한 솔로우 모형
제16장 경제성장론-2
1. 기술진보의 도입
2. Solow model의 비교정태분석
3. 수렴가설의 문제
4. 성장회계방정식과 경제성장의 현실
5. 내생적 성장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