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후진타오 시기 중국의 안보.국방정책 결정 메커니즘 분석

후진타오 시기 중국의 안보.국방정책 결정 메커니즘 분석

(국방정책 전문연구시리즈 2011-15)

이상국 (지은이)
한국국방연구원(KIDA Press)
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후진타오 시기 중국의 안보.국방정책 결정 메커니즘 분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후진타오 시기 중국의 안보.국방정책 결정 메커니즘 분석 (국방정책 전문연구시리즈 2011-15)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88959780969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11-12-01

목차

Ⅰ.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가. 공세화하는 중국의 국방 · 안보 정책의 성격과 내용 파악
나. 안보 · 국방정책 결정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 도모
다. 중국의 안보 · 국방 정책에 대한 우리의 대응책 모색
2. 연구 방법 및 체계
가. 연구 방법
나. 글의 구성

Ⅱ. "적극적" 안보기조의 본격화와 위기관리의 비효율성
1. 기존의 온건한 대외 안보 정책
가. 전략적 이해관계와 안보 이익
나. 협력 · 공동 발전 지향의 안보정책
2. 적극적 안보 기조의 출현과 그 특징
가. '핵심이익' 개념의 확장
나. 이익 실현을 위한 강경 의지 및 힘의 과시
3. 안보위기관리의 비효율성: 불협화음과 지체된 반응

Ⅲ. 국제화, 국력 성장 그리고 중화민족주의의 확산
1. 중국의 급격한 국력 성장과 미국의 상대적 정체
가. 중국의 급격한 경제 성장
나. 미국 경제의 상대적 후퇴
다. 중국군의 군사력 강화
2. 중화민족주의의 주흥과 대중의 영향력 확대
가. 중국 정치체제의 안정을 위협하는 요인들
나. 중화민족주의 부흥과 '애국주의(愛國主義)'
다. 인터넷 등 대중 여론의 영향력 증대
라. 중국 네티즌의 민족주의 · 보수적 성향
3. 국제화와 ' 안보위협' 요인에 대한 인식의 확대

Ⅳ. 비효율적 정책결정 구조와 중국군의 영향력 증대
1. 정책 결정의 구조 및 과정
가. 정책 결정 구조와 주요 당 · 정 조직의 역할
나. 안보 및 대외 정책 결정 과정
2. 위기에 취약한 의사결정 시스템
가. 계파 간 합의 (Consensus)를 통한 의사 결정
나. 합리적 의견 조정 시스템의 부재
3. 조직 행위자의 다양화와 중국군의 높은 위상
가. 외교부의 영향력 약화
나. 중국군의 영향력 강화

Ⅴ. 보수 · 강경 리더십의 득세
1. 중국 리더십의 분화
2. 강경 리더십의 영향력 확대 1: 엘리트 집단의 특징 분석
가. 정치국 상무위원
나. 중앙외사영도소조 구성원
다. 중앙군사위원회 의원
3. 강경 리더시? 영향력 확대 2:
핵심 엘리트의 성향, 영향력, 인맥 분석
가. 후진타오
나. 원자바오
다. 시진핑
라. 다이빙궈
마. 량광리에

Ⅵ. 차기 정권 "적극" 기조 유지 또는 강화
1. 정책 전망에서 엘리트 요인이 갖는 중요성
2. 18차 당대회 이후 기존 노선 유지 또는 강화

Ⅶ. 적극적 정책과 그 요인에 대한 대응방향
1. 환경, 제도, 엘리트의 상호작용과 적극적 안보기조의 공고화
2. 적극적 안보정책 기조에 대한 대응방향
가. 미중 간 경쟁 격화 환경하 생존전략 마련
나. 해양권 등 양국 간 마찰 가능 영역에 대한 군사 및 비군사적 대비
다. 대중국 경제 의존도? 합리적 조정
3. 공세화 자극 요인 약화를 위한 대응방안
가. 사이버외교 등 대중 공고외교 강화
나. 다중 대화 채널의 구축
다. 장기적인 계획에 기초한 "두터운" 인적 네트워크의 구축
라. 다층적 교류의 활성화

부록

저자소개

이상국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국제전략연구실, 선임연구원 학력 1990~1994,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학사(정치외교) 2002~2004,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석사(비교정치, 중국) 2005~2009, 북경대학교 정부관리학원 박사(비교정치, 중국) 주요 경력 2010,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연구교수 2010~현재,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선임연구원 주요 저술 및 논문 『미중 ‘소프트 패권경쟁’ 시대 한국의 생존전략』(교신저자), 한국국방연구원, 2013. 『중국 18차 당대회 분석과 대내외정책 전망』(공저), 통일연구원, 2013. “Institution, Network and Elites’ Political Attitudes: An Analysis of the “Wen Jiabao Phenomenon,”” Communist and Post-Communist, 2012. “China's Korea Experts: A Network Analysis,” Asian Perspective, 2012. “공세화하는 중국의 안보국방 정책에 관한 연구,” 『동북아연구』, 2012 『민주주의와 중국』(공저),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2012. 『2011년 동북아 군사력과 전략동향』(공저), 한국국방연구원, 2012. “An Analysis of the ‘Province Leading Counties’ Administrative Reform in China,” Issues and Studies, 2011. 『후진타오 시기 중국의 안보·국방정책 결정 메커니즘 분석』(교신저자), 한국국방연구원, 2011. 『2010년 동북아 군사력과 전략동향』(공저), 한국국방연구원, 2011. 『2011년 한국의 안보와 국방』(공저), 한국국방연구원, 2011. 『2012년 한국의 안보와 국방』(공저), 한국국방연구원, 2011. “후진타오시기 중국의 중앙아시아 정책에 관한 연구,” 『국제지역연구』, 2010. “중국 사이버 공간의 정치적 경쟁구도에 관한 연구: 좌파, 우파, 문화보수파의 웹사이트 하이퍼링크 분석,” 『한국정치학회』, 2009. “중국 ‘성관현’ 시스템 부활의 정치경제,” 『국제정치논총』, 2009.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