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책/행정/조직
· ISBN : 9788990769459
· 쪽수 : 175쪽
· 출판일 : 2013-10-14
책 소개
목차
아연동북아총서 발간에 부쳐 8
1장 서론
1. 성관현 개혁 연구의 중요성 11
2. 성관현 개혁의 지역 간 편차와 이에 대한 기존 논의 21
3. 연구 방법 28
4. 이 책의 구성 31
2장 성관현 개혁의 영향 요인과 분석틀
1. 신제도주의의 제도 변화 이론 35
2. 성관현 개혁에 미치는 주요 정치·경제적 요인 38
3. 연구를 위한 분석틀과 가설 54
3장 중앙·성의 태도와 성관현 개혁의 전국적 특징
1. 중앙정부의 신중한 접근 59
2. 성 정부 주도의 개혁 실험 67
3. 성관현 개혁 실험의 일반적 특징 71
4. 개혁 진척 정도의 지역 간 차이 76
4장 저장: ‘강현’(强縣)·‘강(强)민영경제’와 선도적 개혁
1. 개혁기 현·민영경제 중시의 발전 전략 84
2. 혼합 행정관리 체제하 시?현 간 경쟁 91
3. 성관현 개혁의 본격화 96
4. 경제 관리권을 넘어 사회 관리권으로 101
5. 저장성 개혁 요약 104
5장 장쑤: ‘강시약현’ 구도와 개혁의 지체
1. 산업화·도시화의 진전과 시관현 논의 108
2. 시관현 체제와 강시약현 구도 112
3. 취약한 민영경제 118
4. 지급시의 저항과 더딘 개혁 행보 122
5. 장쑤성 개혁 요약 126
6장 지린: ‘약시약현’ 구도, 성 리더십과 신속·과감한 개혁
1. 성과 현 경제의 전반적 낙후 130
2. 성 리더십의 개혁 의지와 능력 136
3. 지급시 능력의 한계 141
4. 신속·과감한 개혁 실행 145
5. 지린성 개혁 요약 150
7장 결론 153
부록 160
참고문헌 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