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제학
· ISBN : 9788959923335
· 쪽수 : 179쪽
· 출판일 : 2010-12-27
목차
요 약
Abstract
제1장 서 론
1. 연구배경
2. 국내 투자현황 분석
(1) 거시적 투자 추이
(2) 미시적 투자 추이
(3) 기업별 자료를 이용한 투자 동향
제2장 외환위기 이후 투자부진에 대한 연구
1. 투자 이론
2. 외환위기 이후 국내 투자부진에 대한 실증연구
(1) 국내 투자부진에 대한 설명
(2) 국내 투자부진에 대한 실증 연구
3. 외환위기 이후 국내 금융부문 및 기업성과 변화
(1) 외환위기 이후 국내 금융부문의 변화
(2) 금융환경 변화에 따른 불확실성과 기업성과의 변화
4. 본 연구의 주안점
제3장 외환위기 이후 투자활성화 정책 및 평가
1. 연구목적 및 분석방법
(1) 연구목적
(2) 분석방법
2. 외환위기 이후 투자활성화 정책
(1) 외환위기 : 1997년
(2) 국민의 정부 : 1998~2002
(3) 참여정부 : 2003~2007
3. 시사점
제4장 국내 기업투자 요인에 관한 실증 분석
1. 연구목적 및 이론적 배경
(1) 연구목적
(2) 투자함수에 대한 선행연구
(3) 기업의 금융제약 국면별 투자 결정
2. 자료 및 실증분석 모형
(1) 자료
(2) 실증분석 모형
3. 실증분석 결과 - 기업투자의 결정요인 및 변화요인 분석
(1) 2000년대 이후 투자행태 변화 분석 - 단순 패널분석
(2) 2000년대 이후 투자행태 변화 분석 - 내생적 전환 회귀모형
(3) 2000년대 이후 기업규모별 투자행태의 변화 분석
4. 종합 및 시사점
제5장 투자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
1. 분석결과들의 정책시사점
2. 투자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
(1) 기술평가기관의 역량 제고를 통한 기술금융 활성화
(2) 직접금융시장의 발전 모색
(3) 정책자금의 투명성 강화 및 신뢰성 제고
참고문헌
부록
1. 1997년의 투자활성화 정책
2. '국민의 정부'의 투자활성화 정책
3. '참여정부'의 투자활성화 정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