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60354258
· 쪽수 : 236쪽
· 출판일 : 2013-12-01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의 방법
제2장 지역밀착형 복합문화 커뮤니티센터 조성 필요성과 현황
제1절 지역밀착형 복합문화 커뮤니티센터 조성의 의의 및 필요성
1. 생활문화예술을 통한 문화민주주의의 실현
2. 복합문화 커뮤니티센터를 통한 지역공동체 회복
제2절 해외 복합문화 커뮤니티센터 조성 및 생활예술 지원 현황
1. 영국의 자발적 예술에 대한 지원 및 레저센터
3. 미국의 비공식예술ㆍ참여예술과 커뮤니티센터
3. 독일의 예술동호회 지원 및 사회문화센터
4. 유럽의 커뮤니티센터
5. 일본의 국민문화제와 공민관, 그리고 시민예술촌
제3절 국내 문화ㆍ체육ㆍ복지시설 조성 및 생활문화예술정책 현황
1. 문화체육시설 건립 및 운영 현황
2. 기타 문화ㆍ복지시설 조성 현황
3. 생활문화예술 관련 정책 현황
제3장 국내 복합문화 커뮤니티센터 유사 사례분석
제1절 국내 복합문화 커뮤니티센터 유사 사례분석
제2절 수도권 복합문화공간 사례분석
1. 인천 시민문화공간 문화바람
2. 서울 은평구 청소년문화의집 신나는 애프터센터
3. 성남 사랑방문화공간
4. 서울시 마을예술창작소
5. 성북예술창작센터
6. 수원시 대안공간 눈
제3절 비수도권 복합문화공간 사례분석
7. 전주 시민놀이터
8. 강릉 문화의집
9. 익산 공공영상미디어센터(재미센터)
10. 금산다락원
11. 제주 가시리마을
12. 제주문화재단 빈집프로젝트(삼달리마을, 하례리마을)
제4절 시사점
제4장 지역밀착형 복합문화 커뮤니티센터 조성 및 운영방안
제1절 지역밀착형 복합문화 커뮤니티센터의 목표와 기능
1. 복합문화 커뮤니티센터의 목표와 기능
제2절 지역밀착형 복합문화 커뮤니티센터 조성방안
1. 신규 건립이 아닌 유휴공간 및 기존시설을 리모델링하여 조성
2. 복합문화 커뮤니티센터 유형 구분((안)
3. 조성과정
제3절 지역밀착형 복합문화 커뮤니티센터 운영방안
1. 접근방식 및 운영원칙
2. 조직 및 관리
3. 인력운영
4. 예산 지원 및 자체적 재정확보방안
5. 프로그램 및 콘텐츠 운영 방안
제4절 지역밀착형 복합문화 커뮤니티센터 정책적 지원방안
1. 복합문화 커뮤니티센터 사무국을 통한 사전사후 교육 및 컨설팅 수행
2. 복합문화 커뮤니티센터의 통합홍보 및 정보제공
3. 전문인력 지원
4. 콘텐츠 개발 지원
5. 금융지원 및 기부ㆍ후원 활성화 지원
6. 복합문화 커뮤니티센터에 대한 안정적 지원을 위한 법적 토대 마련
7. 문화체육관광부 및 타부처 사업과의 연계를 통한 사업의 시너지 제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