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프로그래밍 개발/방법론 > 모바일/무선/임베디드 프로그래밍
· ISBN : 9788960772403
· 쪽수 : 912쪽
· 출판일 : 2011-10-31
책 소개
목차
1부 센차터치
1장 모바일 프레임워크 소개
___1.1 모바일 프레임워크의 변화
___1.2 HTML5의 발전
___1.3 모바일 프레임워크의 소개
______1.3.1 스크립트 라이브러리와 센차터치
______1.3.2 모바일 앱과 센차터치
______1.3.3 서버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___1.4 센차터치의 발전과 특징
______1.4.1 센차터치의 발전
______1.4.2 왜 센차터치인가?
2장 센차터치 기본
___2.1 센차터치 설치와 환경 설정
______2.1.1 센차터치 설치
___2.2 Hello Sencha Touch
______2.2.1 Hello Sencha Touch
___2.3 선행 학습: 자바스크립트와 JSON
______2.3.1 자바스크립트와 객체지향
______2.3.2 JSON 데이터 처리
___2.4 선행 학습: DOM
______2.4.1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한 DOM 사용
___2.5 센차터치 시작
______2.5.1 모든 화면의 기본 패널
______2.5.2 레이아웃을 이용한 화면의 구성
______2.5.3 폼과 각종 컴포넌트
______2.5.4 툴바, 탭바, 아이콘 사용
______2.5.5 앱처럼 화면 이동 Carousel
___2.6 리스트의 구현
______2.6.1 리스트 컴포넌트의 시작
______2.6.2 복잡한 리스트의 표현 XTemplate
______2.6.3 둥지를 튼 중첩 리스트
______2.6.4 스크롤을 이용한 리스트 풀 구현
___2.7 센차터치가 제공하는 팝업 창
______2.7.1 메시지 박스 창
______2.7.2 마스크 처리
______2.7.3 픽커 사용하기
______2.7.4 버튼의 묶음: 액션시트의 사용
______2.7.5 새로운 창의 대용: 오버레이 사용
___2.8 페이지 이동
______2.8.1 HTML 페이지 호출을 이용한 페이지 이동
______2.8.2 패널 호출을 이용한 페이지 이동
______2.8.3 툴바를 포함한 페이지 이동 구현
______2.8.4 카드레이아웃을 이용한 화면 이동
______2.8.5 네임스페이스와 페이지 이동
___2.9 센차터치와 HTML
______2.9.1 센차터치와 HTML 코드와의 연관성
______2.9.2 화면의 정해진 영역 렌더링: renderTo
______2.9.3 아이프레임 사용
______2.9.4 센차터치에서 HTML5 그래픽 포함
___2.10 센차터치 차트
______2.10.1 DRAW의 구현(Circle, Rect, Path, Text)
______2.10.2 차트의 구현(AREA, LINE, BAR, PIE)
___2.11 애니메이션
______2.11.1 애니메이션의 사용
___2.12 이벤트와 Extend 객체 만들기
______2.12.1 이벤트의 사용
______2.12.2 Extend의 구현
___2.13 센차터치와 테마
______2.13.1 CSS를 추가해 변경하는 방법
______2.13.2 체계적인 CSS의 관리 SASS
______2.13.3 SASS 둘러보기
______2.13.4 Compass
2부 센차터치와 웹
3장 센차터치와 서버 연동
___3.1 서버 연동을 위한 준비
______3.1.1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선택
______3.1.2 아파치 톰캣 서버의 설치
___3.2 Ajax와 JSON
______3.2.1 Ajax란?
______3.2.2 Ajax와 JSON
___3.3 센차터치와 Ajax 연동
______3.3.1 센차터치의 Ext.data 기본 구조
______3.3.2 센차터치의 Ext.Ajax.request
______3.3.3 Model, Proxy, Store 사용의 기본
______3.3.4 XML 데이터 사용
______3.3.5 관계형 모델 사용을 위한 hasMany, belongsTo
______3.3.6 Page와 Sorter, Filter를 이용한 Store 데이터 제어
______3.3.7 크로스 도메인에 필요한 JSONP 사용
______3.3.8 크로스 도메인 제한을 뛰어넘는 ScriptTag 사용
______3.3.9 Ajax.Request를 이용한 단순한 방법
______3.3.10 로컬 스토리지와 세션 스토리지의 사용
___3.4 센차터치와 SUBMIT
______3.4.1 센차터치의 SUBMIT 방식
______3.4.2 StandardSubmit을 이용한 파일 업로드
___3.5 기타 서버 자원의 활용
______3.5.1 오디오 제어
______3.5.2 비디오 제어
______3.5.3 구글 맵 사용
______3.5.4 다음 맵 사용
4장 센차터치와 웹 기반 모바일 프로젝트
___4.1 웹 기반 모바일 프로젝트 개요
___4.2 모바일 웹 프로젝트
______4.2.1 모바일 웹 프로젝트를 위한 환경 설정
______4.2.2 데이터베이스의 설치
___4.3 간단한 모바일 웹 프로젝트
___4.4 간단한 모바일 웹 프로젝트(HTML 기반)
3부 센차터치와 앱
5장 하이브리드앱을 위한 안드로이드 앱 개발
___5.1 센차터치와 모바일 앱의 필요성
___5.2 안드로이드 모바일 단말 개발
___5.3 안드로이드 설치와 개발 환경
______5.3.1 JDK 설치
______5.3.2 이클립스의 설치
______5.3.3 안드로이드 SDK 설치
______5.3.4 이클립스 실행과 설정
______5.3.5 안드로이드 가상 장치 설정
______5.3.6 폰의 USB 드라이버 설치와 USB 디버깅 설정
______5.3.7 컴파일 환경 설정
___5.4 안드로이드 앱 시작
______5.4.1 Hello Android 만들기
______5.4.2 디버깅
___5.5 기본 화면의 구성과 이벤트 처리
______5.5.1 버튼, 텍스트박스, 레벨 구현
______5.5.2 레이아웃과 화면의 배치
___5.6 화면의 이동
______5.6.1 화면의 이동과 액티비티 간의 연동
___5.7 하이브리드의 시작 웹뷰
______5.7.1 웹뷰의 사용
______5.7.2 웹뷰에서 센차터치의 실행
______5.7.3 웹뷰와 모바일 단말 안의 웹 문서
___5.8 웹뷰에서 웹과 앱의 연동
___5.9 모바일 단말 기능 구현
______5.9.1 전화 기능
______5.9.2 SMS 전송
______5.9.3 카메라 호출
______5.9.4 네트워크 상태 체크
______5.9.5 위도, 경도의 조회
______5.9.6 동영상 플레이어 구현
______5.9.7 파일 업로드
______5.9.8 모바일 단말 기능 종합
6장 하이브리드앱을 위한 아이폰 개발
___6.1 아이폰 모바일 단말 개발
______6.1.1 아이폰 개발 환경
______6.1.2 디버깅
___6.2 아이폰 앱 시작
______6.2.1 엑스코드 IDE 기능과 프로젝트 생성
______6.2.2 헬로우 월드와 컴포넌트
______6.2.3 탭바 애플리케이션
______6.2.4 내비게이션 기반 애플리케이션
______6.2.5 창 기반 웹뷰 애플리케이션
___6.3 하이브리드앱
______6.3.1 프로토콜 정의와 기본 브라우저 설정
______6.3.2 스크립트 호출
______6.3.3 전화걸기
______6.3.4 SMS 보내기
______6.3.5 네트워크 상태 체크
______6.3.6 위도와 경도 조회
______6.3.7 MP3 듣기
______6.3.8 유튜브 동영상 보기
______6.3.9 카메라 호출
___6.4 하이브리드앱 로컬 웹 자원의 사용
______6.4.1 로컬 웹페이지의 사용
7장 센차터치와 폰갭
___7.1 폰갭의 소개
___7.2 폰갭과 안드로이드
______7.2.1 폰갭과 안드로이드 프로젝트 시작
___7.3 폰갭과 아이폰
______7.3.1 폰갭과 아이폰 프로젝트 시작
___7.4 폰갭의 기능
______7.4.1 폰갭의 기능 연동
______7.4.2 폰갭의 여러 기능 보기
___7.5 폰갭과 센차터치
______7.5.1 폰갭과 센차터치 개발
8장 센차터치와 하이브리드 기반 모바일 프로젝트
___8.1 모바일 하이브리드 프레임워크의 개요
___8.2 안드로이드 단말의 자원 분배
______8.2.1 센차터치의 로컬화와 그에 따른 변경
___8.3 아이폰 단말의 자원 분배
___8.4 모바일 웹 기반 하이브리드 프로젝트
______8.4.1 미니 모바일 오피스 프로젝트
___8.5 센차터치를 이용한 앱 전용 프로젝트
______8.5.1 숫자 찾기 게임 앱
4부 센차터치와 REST 연동
9장 RESTful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___9.1 REST
______9.1.1 REST 개요
______9.1.2 REST의 원칙
______9.1.3 REST 구조의 요소
______9.1.4 RESTful 웹 서비스
______9.1.5 스프링과 저지
___9.2 개발 환경 구축
______9.2.1 개발 환경
______9.2.2 저지
______9.2.3 톰캣, 스프링 툴 스위트, MySQL 설치
___9.3 RESTful 웹 서비스 만들기
______9.3.1 프로젝트 생성
______9.3.2 Web.xml 생성
______9.3.3 REST service 테스트
______9.3.4 클라이언트 만들기
___9.4 RESTful Webservice의 CRUD 만들기
______9.4.1 계정 관리 CRUD의 리소스 URI 정의
______9.4.2 POST 방식으로 계정 생성
______9.4.3 GET 방식으로 로그인
______9.4.4 PUT 방식으로 계정 수정
______9.4.5 Delete 방식으로 계정 삭제
10장 센차터치와 REST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___10.1 REST와 센차터치
___10.2 실시간 사내 게시판 만들기
______10.2.1 실시간 사내 게시판 RESTful 서비스 구현
______10.2.2 실시간 사내 게시판 센차터치 구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