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안드로이드 모바일 앱 모의해킹

안드로이드 모바일 앱 모의해킹

(가상 뱅킹 앱 인시큐어뱅크를 활용한 모바일 취약점 진단과 대응 방안)

조정원, 김명근, 조승현, 류진영, 김광수 (지은이)
에이콘출판
4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6,000원 -10% 0원
2,000원
34,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안드로이드 모바일 앱 모의해킹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안드로이드 모바일 앱 모의해킹 (가상 뱅킹 앱 인시큐어뱅크를 활용한 모바일 취약점 진단과 대응 방안)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OS/Networking > 네트워크 보안/해킹
· ISBN : 9788960779310
· 쪽수 : 512쪽
· 출판일 : 2017-01-20

책 소개

금융권 앱을 모델로 가상으로 제작된 '인시큐어뱅크'앱에서 제공되는 20가지 이상의 진단 방법과 취약점 대응 방안을 제시한 책

목차

1장 안드로이드 취약점 분석 및 환경 소개
1.1 안드로이드 아키텍처 이해
1.1.1 리눅스 커널
1.1.2 라이브러리
1.1.3 안드로이드 런타임
1.1.4 안드로이드 필수 구성 요소
1.2 인시큐어뱅크 가상 금융 앱 소개
1.3 안드로이드 앱 진단 환경 구성
1.3.1 자바 설치 및 환경 구성
1.3.2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설치
1.3.3 가상 디바이스 소개 및 설치
1.3.4 ADB 환경 변수 설정
1.4 녹스 환경 설치 및 인시큐어뱅크 서버 구축
1.5 인시큐어뱅크 설치 및 코드 수정 방법
1.6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디컴파일 방법
BytecodeViewer를 이용한 APK 파일 분석
1.7 마무리하며

2장 취약점 진단 및 분석 도구
2.1 ADB(Android Debug Bridge) 살펴보기
2.1.1 디바이스 장치 선택
2.1.2 일반 기능
2.1.3 디버그 기능
2.1.4 데이터 기능
2.1.5 포트와 네트워킹 기능
2.1.6 스크립팅 기능
2.1.7 서버 기능
2.1.8 쉘 기능
2.2 드로저를 활용한 취약점 진단
2.2.1 드로저란 무엇인가?
2.2.2 드로저를 활용한 앱 패키지 정보 확인
2.2.3 드로저를 활용한 취약점 분석
2.2.4 모듈 관리
2.2.5 모듈 설치
2.2.6 저장소 관리
2.3 칼리리눅스 설치
2.3.1 가상 이미지 다운로드 및 설정
2.3.2 칼리리눅스 설치
2.3.3 VMware Tools 및 한글 설치
2.3.4 참고문헌
2.4 마무리하며

3장 취약점 항목별 상세 실습
3.1 브로드캐스트 리시버 결함
3.1.1 취약점 소개
3.1.2 취약점 진단 과정
3.1.3 취약점 대응 방안
3.2 취약한 인증 매커니즘
3.2.1 취약점 소개
3.2.2 취약점 진단 과정
3.2.3 취약점 대응 방안
3.2.4 참고문헌
3.3 로컬 암호화 이슈
3.4.1 취약점 소개
3.4.2 취약점 진단 과정
3.4.3 취약점 대응 방안
3.4.4 참고문헌
3.4 액티비티 컴포넌트 취약점
3.4.1 취약점 소개
3.4.2 취약점 진단 과정
3.4.3 취약점 대응 방안
3.5 루팅 탐지 및 우회
3.5.1 취약점 소개
3.5.2 취약점 진단 과정
3.5.3 취약점 대응 방안
3.6 안전하지 않은 콘텐츠 프로바이더 접근
3.6.1 취약점 소개
3.6.2 취약점 진단 과정
3.6.3 취약점 대응 방안
3.7 안전하지 않은 웹 뷰 실행
3.7.1 취약점 소개
3.7.2 취약점 진단 과정
3.7.3 취약점 대응 방안
3.7.4 참고문헌
3.8 취약한 암호화 실행
3.8.1 취약점 소개
3.8.2 취약점 진단 과정
3.8.3 취약점 대응 방안
3.8.4 참고문헌
3.9 애플리케이션 패칭
3.9.1 취약점 소개
3.8.2 취약점 진단 과정
3.8.3 취약점 대응 방안
3.8.4 참고문헌
3.10 메모리 내 민감한 정보 저장
3.10.1 취약점 소개
3.10.2 취약점 진단 과정
3.10.3 취약점 대응 방안
3.11 안전하지 않은 로깅 매커니즘
3.11.1 취약점 소개
3.11.2 취약점 진단 과정
3.11.3 취약점 대응 방안
3.12 안드로이드 키보드 캐시 이슈
3.12.1 취약점 소개
3.12.2 취약점 진단 과정
3.12.3 취약점 대응 방안
3.13 애플리케이션 디버깅 기능
3.13.1 취약점 소개
3.13.2 취약점 진단 과정
3.13.3 취약점 대응 방안
3.13.4 참고 문헌
3.14 안드로이드 복사/붙여넣기 취약점
3.14.1 취약점 소개
3.14.2 취약점 진단 과정
3.14.3 취약점 대응 방안
3.15 안드로이드 백업 취약점
3.15.1 취약점 소개
3.15.2 취약점 진단 과정
3.15.2 취약점 대응 방안
3.16 런타임 조작
3.16.1 취약점 소개
3.16.2 취약점 진단 과정
3.16.3 취약점 대응 방안
3.17 안전하지 않은 SDCard 저장소
3.17.1 취약점 소개
3.17.2 취약점 진단 과정
3.17.3 취약점 대응 방안
3.17.4 참고문헌
3.18 안전하지 않은 HTTP 통신
3.18.1 취약점 소개
3.18.2 취약점 진단 과정
3.18.3 취약점 대응 방안
3.18.4 참고문헌
3.19 인자 전달값 조작
3.19.1 취약점 소개
3.19.2 취약점 진단 과정
3.19.3 취약점 대응 방안
3.19.4 참고문헌
3.20 하드코딩 보안
3.20.1 취약점 소개
3.20.2 취약점 진단 과정
3.20.4 취약점 대응 방안
3.21 사용자 정보 목록화 이슈
3.21.1 취약점 소개
3.21.2 취약점 진단 과정
3.21.3 취약점 대응 방안
3.21.4 참고문헌
3.22 개발자 백도어
3.22.1 취약점 소개
3.22.2 취약점 진단 과정
3.22.3 취약점 대응 방안
3.23 취약한 패스워드 변경 실행
3.23.1 취약점 소개
3.23.2 취약점 진단 과정
3.23.3 취약점 대응 방안
3.23.4 마무리하며

4장 앱 자동 분석 시스템
4.1 샌드드로이드
4.2 QARK(Quick Android Review Kit)
4.2.1 QARK란 무엇인가?
4.2.2 QARK 설치 및 실행
4.2.3 QARK를 이용한 앱 분석
4.2.4 분석 결과 확인
4.3 Mobile Security Framework를 활용한 자동분석
4.3.1 MobSF란 무엇인가?
4.3.2 MobSF 설치 및 분석 환경 구축
4.2 앱유즈(AppUse) 테스팅 도구 활용법
4.4.1 앱 유즈란 무엇인가?
4.4.2 에뮬레이터 실행 및 앱 설치
4.4.3 지원 도구
4.4.4 앱 리버싱 도구 및 과정 설명
4.4.5 애플리케이션 도구
4.4.6 프록시 설정
4.5 기타 자동 분석 도구 활용
4.5.1 Inspeckage를 활용한 앱 분석
4.5.2 Androbus를 활용한 앱 분석
4.6 마무리하며

5장 모바일 앱 보안 강화
5.1 시큐어 코딩 개요6
5.2 PMD(Programming Mistake Detector) 활용
5.2.1 PMD란?..468
5.2.2 PMD 설치
5.2.3 인시큐어뱅크 소스 코드 PMD 활용
5.3 FindBugs/FindSecurityBugs
5.3.1 FindBugs란?
5.3.2 FindSecurityBugs란?
5.3.3 FindBugs/FindSecurityBugs 활용
5.4 코드 난독화 적용
5.4.1. 프로가드 난독화 적용 방법
5.4.2 프로가드 난독화 활용 방법
5.4.3 인시큐어 뱅크에 적용한 사례
5.5 마무리하며

저자소개

조정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보안프로젝트(www.boanproject.com)'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에이쓰리시큐리티에서 5년 동안 모의해킹 컨설턴트를 담당했고, 모의해킹 프로젝트 매니저, 웹 애플리케이션, 소스코드 진단 등 다양한 영역에서 취약점 진단을 수행했다. 이후 KTH 보안 팀에서 모바일 서비스,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 침해 사고 대응 업무를 수행했고, KB투자증권에서 보안 업무를 담당했다.
펼치기
김명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 일반대학원 컴퓨터공학과 석사 과정에 재학하며, 보안 프로젝트 연구원 및 스태프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로는 웹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취약점 진단과 소스 코드 분석이며, 저서로는 『버프스위트를 활용한 웹 모의해킹』(한빛미디어, 2016)이 있다.
펼치기
조승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에스알센터 선임 연구원이며 KUCIS 정보보호교육, 한전KDN 웹 보안 실무 과정 등 전문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보안프로젝트(www.boanproject.com) 스태프로 활동하며 웹 애플리케이션 취약점 진단과 모바일 악성코드 분석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펼치기
류진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보안 프로젝트에서 강사 및 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시스템 모의 해킹,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진단 및 시큐어 코딩이며, 현재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취약점 분석 업무와 취약점 대응 방안 연구를 병행하고 있다.
펼치기
김광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MG손해보험에서 정보 보안 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보안 프로젝트 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관심 분야인 취약점 점검 및 리버싱에 대한 연구를 한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