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공학일반
· ISBN : 9788961310710
· 쪽수 : 188쪽
· 출판일 : 2021-08-15
책 소개
목차
제1장 인간공학의 기초
1. 인간공학의 어원
2. 인간공학의 정의
3. 인간공학을 적용 시 고려할 사항
4. 인간공학의 특징
5. 인간공학의 역사
6. 작업 관련 근골격계질환
7. 물리적 작업장의 위험요인 검토
8. 개인적 위험요인
9. 자세
10. 근골격계질환의 징후, 증상과 예방
11. 인간공학의 적용 이점
12. 인간공학의 이해
13. 인간공학의 핵심 정리
참고문헌
제2장 인체측정학
1. 인체측정학의 정의
2. 인체측정학의 시작
3. 인체측정학의 용어
4. 인체측정의 도구
5. 측정 종류
6. 인체측정의 표준화 용어
7. 인체측정학의 기초
8. 인체 측정표
9. 평균인간
10. 인체측정학의 설계 원칙
11. 인체측정학의 적용 절차
12. 인체측정학이 필요한 이유
13. 인체측정학의 적용
14. 국민 체위 조사
15. 사이즈 코리아 자료의 활용
16. 인체측정학이 필요한 이유
17. 인체측정학 연구의 목적 3가지
18. 인간 중심의 산업 발전
19. 인체측정학의 응용
참고문헌
제3장 작업환경
1. 온도 및 습도
2. 빛
3. 소음
4. 분진
5. 요약
참고문헌
제4장 작업대 설계와 사무실 인간공학
1. 컴퓨터 작업대의 설계
2. 사무실 인간공학 - 사무실 작업대
3. 사무실 작업대의 평가
4. 사무실 작업대 - 개인 특성과 능력 고려한 설계
5. 사무실 작업대 - 직무상 요구 사항을 고려한 설계
6. 사무실 작업대의 중요 설계 지침
7. 작업대 설계 ? 실물 모형 또는 모의시험의 사용
8. 작업대 설계 - 작업 자세에 대한 일반 지침
9. 인간-작업환경 설계의 분석
10. 작업환경 설계의 일반적 원리
11. 움직이는 인체에 적용된 설계
12. 서 있는 작업자를 위한 설계
13. 앉은 작업자를 위한 설계
14. 인간공학적 의자의 요소
15. 발 작업을 위한 설계
16. 한정되고 곤란한 공간에서의 작업
17. 작업공간
18. 작업장소 평가 도구
19. 요약
참고문헌
제5장 수공구 설계 / 91
1. 수공구 제작의 역사
2. 수공구의 설계
3. 수공구의 요구조건
4. 부상 위험을 줄이기 위한 수공구의 지침
5. 수공구 설계 요소 1 - 손
6. 수공구 설계 요인 2 - 설계 기능
7. 손 도구 설계
8. 작업 자세의 개선
9. 전동 공구에 대한 인간공학적 선택
10. 진동의 영향 감소 조치
11. 수공구 설계의 고찰
12. 수공구 설계의 핵심 요점
참고문헌
제6장 수동물자취급(MMH)
1. 중량물 취급과 고려 사항
2. 수동물자 취급과 부상
3. MMH에 대한 시스템적 접근
4. MMH 장비와 해결법
5. MMH 부상의 예방
6. MMH의 부담과 영향
7. MMH의 위험성
8. 요통 발생과 대책
9. NIOSH 들기 지침(Lifting Guide) - 1981년과 1991년
10. 기타 MMH의 운반 지침
11. 상향 운반을 위한 인간공학 규칙
12. 피로도
13. 수동물자 취급의 핵심 내용
14. 요약
참고문헌
제7장 작업 관련 근골격계질환
1. 근골격계질환의 소개
2. 인체 부위의 기능
3. 근골격계질환의 주요 원인과 해결방안
4. 근골격계질환의 기타요인과 해결방안
5. 근골격계질환의 요약
참고문헌
제8장 인간공학적 위험성 평가
1. 인간공학적 위험성 평가의 소개
2. 인간공학적 위험성 평가 방식
3. 인간공학적 위험성 평가의 방법
4. ACGIH Lifting TLV (들기 작업 임계값)
5. 리버티 뮤추얼 보험회사의 들기 작업 지침
6. 육체적 위험요인 점검표
7. 미국 산업위생학회(ACGIH)의 손 활동 지침 임계값
8. 급속 상지 평가(RULA)
9. 급속 몸 전체 평가(REBA)
10. NIOSH의 들기 작업 관행 지침
11. 근골격계질환(MSD)의 유해 요인조사
12. 핵심사항
13. 요약
참고문헌
제9장 제조물책임법(PL)
1. 제조물 책임법(Product Liability)
2. 제조물 책임의 영향
3. 제조물 책임의 범주 분류
4. 경고(Warning)
5. 요약
참고문헌
제10장 안전문화
1. 안전문화의 정의
2. 안전문화의 형성
3. 안전문화 관련 모델
4. 안전문화에 대한 국내의 실태
5. 과거 한국의 안전문화의 실태
6. 추가적인 안전문화 실태
7. 사례
8. 안전문화의 발전 방안
부록
부록 1. 인체의 기관
부록 2. 인체의 감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