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일어일문학
· ISBN : 9788961849845
· 쪽수 : 396쪽
· 출판일 : 2021-12-18
책 소개
목차
저자 서언 … 3
서론 … 17
제1부 교재 제작 및 교실활동
┃제1장┃일본어 학습교재 집필의 이론과 실제 - 중급 독해교재를 중심으로 -
1. 시작하며 … 23
2. 학습교재 집필의 이념 … 24
3. 독해 학습교재 집필의 실제 … 30
4. 설문조사의 실시 및 결과 … 47
5. 마치며 … 54
┃제2장┃일본어 중급 독해교재의 운용과 실제
1. 시작하며 … 57
2. 수업 교재의 개요 … 58
3. 아래의 문장을 들으면서 모르는(혹은 아는) 단어를 체크해 봅시다 … 62
4. 줄거리를 파악합시다 … 64
5. 아래의 단어(연어)에 해당하는 히라가나와 그 뜻을 써 봅시다 … 64
6. 본문에 나오는 문법을 이해합시다 … 65
7. 본문 내용에 관련된 일본어 질문에 일본어로 대답합시다 … 66
8. 어법에 맞춰 단어(어구)를 정확하게 재배열한 뒤 번역을 하세요 … 67
9. 빈칸 안에 문장 순서를 표시하는 번호를 붙여 봅시다 … 68
10. 빈칸에 문단 순서를 표시하는 번호를 붙여 봅시다 … 69
11. 학습자들의 평가 … 72
12. 마치며 … 74
┃제3장┃일본어 통번역 교재의 운용과 실제
1. 시작하며 … 77
2. 수업 교재의 개요 … 78
3. 선정 작품의 내용 소개 … 79
4. 본 교재의 구성 … 81
5. 번역과 통역의 준비 단계
- 줄거리의 제시 … 82
6. 번역과 통역의 준비 단계
- 본문 듣기, 아는 단어(모르는 단어) 체크하기 … 84
7. 번역과 통역의 준비 단계
- 문장 읽고 번역하기, 포즈 표시 유의해서 읽기 … 84
8. 번역과 통역의 준비 단계
- 단어 및 연어 설명, 단어 및 연어 암기 및 번역 … 85
9. 번역하기 - 직역하기, 의역하기 … 86
10. 통역하기 … 88
11. 학습자들의 평가 … 91
12. 마치며 … 93
┃제4장┃일본 화장품 광고 영상을 활용한 일본어 4기능 향상 방안
1. 시작하며 … 95
2. 일본 화장품 관련 동영상의 일본어교육적 가치 … 95
3. 미디어를 활용한 일본어교육의 이론적 배경 … 97
4. 언어 4기능의 이론적 배경 … 99
5. 화장품 광고 대사를 활용한 언어 4기능 향상 방안 … 104
6. 마치며 … 116
┃제5장┃한국인 대학생 일본어 학습자의 일본문화 관심 영역 고찰
1. 시작하며 … 119
2. 일본문화의 지도방침과 선행연구의 검토 … 122
3. 조사의 개요 및 조사 방법 … 127
4. 분류의 근거 … 129
5. 결과 분석 … 131
6. 마치며 … 145
┃제6장┃가상현실(VR)에 기반한 일본어 교실활동 가능성의 모색
1. 시작하며 … 151
2. 설문 개요 및 설문 문항 … 152
3. 교사의 성별 … 154
4. 교사의 인종 … 154
5. 교사의 헤어스타일 … 155
6. 교사의 얼굴형 … 159
7. 교사의 눈빛과 표정 … 161
8. 교사의 멘트 … 164
9. 교사의 목소리 … 165
10. 교사의 체형 … 168
11. 교사의 옷차림새 … 169
12. 교사의 연령 … 170
13. 교사의 자세 … 171
14. 학습공간 … 172
15. 마치며 … 173
제1부의 결론 … 175
제2부 어휘 및 표현을 통해서 본 일본사정
┃제7장┃일본인 한자 성씨로 본 일본사정
1. 시작하며 … 179
2. 분석의 대상과 선행연구 … 181
3. 일본인의 성씨 표기 한자 수 … 192
4. 일본인의 한자 성씨 읽기 방법 … 197
5. 한자로 본 성씨의 유래 … 203
6. 마치며 … 220
┃제8장┃일본의 슈퍼마켓 전단지의 어휘 및 표현으로 본 일본사정
1. 시작하며 … 223
2. 슈퍼마켓 전단지에 나타난 상품명의 표기 자종 … 224
3. 슈퍼마켓 전단지에 나타난 상품명의 어종 … 228
4. 슈퍼마켓 전단지에 나타난 광고 문구 … 230
5. 슈퍼마켓 전단지에 나타난 일본사정(일본문화) … 238
6. 슈퍼마켓 전단지를 활용한 교실활동 방안 … 243
7. 마치며 … 244
┃제9장┃일본 화장품 광고의 언어적 특성으로 본 일본사정
1. 시작하며 … 247
2. 생태심리학이론과 관련 선행연구 … 249
3. 화장품 광고의 생태심리학적 정의 … 255
4. 화장품 광고 영상 헤드라인에 나타난 행위유도성-행위유도성① … 256
5. 화장품 광고 언어에 나타난 행위유도성-행위유도성② … 259
6. 화장품 광고 언어의 생태심리학적 분석 … 285
┃제10장┃일본 화장품 광고의 비언어적 요소로 본 일본사정
1. 시작하며 … 289
2. 이론적 배경 … 290
3. 화장품 광고에 나타난 비언어적 특성 … 291
4. 본 장의 연구가 시사하는 바 … 298
┃제11장┃잉어꿈 해몽으로 본 일본인의 정신경관 -한국인의 잉어꿈과의 비교-
1. 시작하며 … 301
2. 잉어 관련 선행연구 … 303
3. 연구 방법 및 전제 … 305
4. 분석 … 306
5. 마치며 … 326
┃제12장┃조선 식민통치를 통해서 본 일본사정
1. 시작하며 … 329
2. 신여성의 개요 및 선행연구 … 330
3. 연도별로 본 광고 게재 건수 … 335
4. 연도변로 게재된 광고 내역 … 337
5. 품종별 광고 분류 … 346
6. 일본사정(조선사정)의 탐구 가능성 … 349
7. 사례 … 359
8. 마치며 … 373
제2부의 결론 … 375
참고문헌 … 378
책속에서
그다음으로 적절하게 말하기를 보도록 하자. 적절하게 말하기는 다시 장면연습과 소회화드릴, 인포메이션 갭, 인터뷰 태스크, 짝 활동, 롤플레이 등으로 나뉜다. 장면연습은 교사가 특정한 상황이나 장면을 제시하면 학습자가 그 상황이나 장면에 적합한 일본어 문장을 말하는 것이다.
일본어교육에 있어서 일본문화교육은 두 가지 점에서 꼭 필요하다. 하나는 언어(일본어) 속에 문화가 내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말은 역으로 일본문화 속에 일본어가 내재되어 있다는 뜻도 된다.
슈퍼마켓 전단지도 일종의 언어환경이라고 할 수 있다. 슈퍼마켓이라는 특정 공간을 이용하는 소비자와 판매자의 언어가 문자의 방식으로 소통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일본어는 세계 언어에서 유례를 찾기 어려울 만큼 다양한 자종을 보유하기 때문에 슈퍼마켓 전단지에 어떠한 자종이 표기되는가를 보는 것은 사회언어학적으로도, 일본어교육학적으로도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