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교원임용시험 > 특수교육
· ISBN : 9788962512861
· 쪽수 : 492쪽
· 출판일 : 2016-02-12
목차
01. 통합교육
통합교육의 개념 19
1. 통합교육의 의미 19
2. 통합교육의 배경과 근거 21
3. 통합교육 모형 22
통합교육을 위한 협력적 접근 23
1. 통합교육을 위한 협력적 접근의 필요성과 의미 23
2. 협력 팀의 구성과 활동 24
3. 협력적 접근의 계획 및 실행 26
4. 협력적 접근의 유형 27
통합교육 평가체계 34
1. 분리교육 환경에서의 평가활동 34
2. 통합교육 상황에서의 평가활동 목적과 기능 35
교수적합화 38
1. 교수적합화 개념의 이해 38
2. 교수적합화 원칙과 절차 39
3. 교수적 수정의 구성과 방법 42
통합교육을 위한 교수 48
1. 협동학습 48
2. 협동학습 유형 50
2. 또래교수법 60
통합교육의 방법(장애영역별 통합교육) 64
1. 시각장애 64
2. 청각장애 65
3. 정신지체 66
4. 지체장애 아동 66
5. 정서 및 행동 장애 66
6. 자폐범주성 장애 67
7. 의사소통 장애 67
8. 학습장애 67
9. 건강장애 68
10.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68
사회적 통합 70
1. 사회적 관계 형성의 어려움 70
2. 사회적 관계 지원 방안 71
02. 문제행동 중재와 이해
긍정적 행동지원의 역사 및 용어 79
1. 긍정적 행동지원의 정의 79
2. 긍정적 행동지원의 목표 79
3. 긍정적 행동지원에 영향을 미친 주요 요소들 79
4. 긍정적 행동지원의 주요 요소 80
긍정적 행동지원 절차 82
1. 긍정적 행동지원 단계 82
기능평가를 위한 정보 수집 90
행동관찰 및 측정방법 97
1. 표적행동의 선정과 조작적 정의 97
2. 행동 목표 세우기 99
3. 행동의 측정 단위와 자료 요약 방법 102
4. 행동의 직접 관찰 방법의 종류 103
5. 행동 관찰과 측정의 신뢰도 110
시각적 분석 및 단일대상연구 117
1. 그래프의 구조 117
2. 자료의 시각적 분석 방법 117
3. 개별대상연구의 기초 123
긍정적 행동지원 계획 개발 138
1. 선행사건 및 배경사건 중재 138
2. 대체기술 교수 143
3. 문제행동에 대한 반응 146
장기 지원 및 지속적 평가 170
1. 장기적 지원 170
03. 사정과 평가
특수 교육 평가 181
1. 평가의 개념 181
2. 평가의 단계 181
3. 측정의 기본 개념 185
5. 사정방법의 종류 195
장애 아동의 진단 도구 215
1. 지능 215
2. 적응행동 233
3. 학습 및 교육진단 240
4. 정서 및 행동 249
5. 자폐 스펙트럼 장애 257
6. 언어 262
7. 지각 및 운동 268
8. 영유아 발달 272
9.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 281
04. 특수교육공학
교육공학과 특수교육공학 289
1. 교육공학의 정의 및 영역 289
2. 특수교육공학의 정의 및 영역 290
접근성 294
1. 접근성에 대한 이해 294
2. 보편적 설계와 보편적 학습설계 297
3. 보편적 학습 설계 300
특수교육과 컴퓨터 활용 308
1. 컴퓨터 보조수업 308
2. 멀티미디어 활용 수업 309
ICT 활용 교육 314
1. ICT와 교육 314
2. ICT와 특수교육 315
보조공학의 이해 316
1. 보조공학의 정의 및 이점 316
2. 보조공학의 사정 및 유형 318
3. 발달장애 및 지체장애 학생을 위한 보조공학 328
05. 전환교육
전환교육의 정의와 개념 351
1. 미국 장애인 교육법의 정의 351
2. Will의 정의 351
3.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정의 352
전환교육의 모형 353
1. 생활중심 진로교육 모형 353
2. Will의 모형: 교량모형 353
3. 지역사회 중심 직업 훈련 모형 354
4. Halpern 모형 355
5. Brolin의 생활중심 진로교육 모형 356
6. Clark의 모형 : 종합적인 전환교육 프로그램 358
7. 생활통합 전환교육 모형 360
전환 평가 361
1. 개요361
2. 전환 평가 유형 361
전환교육 366
1. 사정 366
2. 개별화전환교육계획(ITP) 367
3. 훈련 368
4. 배치 368
2. 주거 373
06. 부록
보조공학 377
1. 시각장애인용 보조공학기기 377
2. 청각장애인용 보조공학기기 378
3. 지체장애인용 보조공학기기 380
4. 대체입력기기 381
개별화교육계획 392
1. 개별화교육계획의 개념 392
2. 개별화교육계획의 수립 및 운영절차 396
3. 개별화교육지원팀 구성 400
4. 개별화교육계획 구성 요소 402
5. 개별화교육계획 개선 방향 405
특수교육보조원 407
1. 특수교육보조원의 활용의 순기능과 역기능 407
2.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 409
3. 특수교육보조원의 책무성 410
07.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08. 기출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