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체육원리 체육사가 땡긴다

체육원리 체육사가 땡긴다

이채문 (지은이)
지북스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개 15,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체육원리 체육사가 땡긴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체육원리 체육사가 땡긴다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예체능계열 > 체육
· ISBN : 9788962513066
· 쪽수 : 751쪽
· 출판일 : 2016-05-02

목차

제1부 스포츠와 윤리(대한미디어)

제1장 | 스포츠와 윤리 48

스포츠의 윤리적 기초32
1. 도덕, 윤리, 선의 개념32
2. 사실판단과 가치판단34
3. 스포츠와 윤리의 관계36
스포츠윤리의 이해38
1. 일반윤리와 스포츠 윤리: 스포츠윤리의 독자성38
가. 스포츠윤리의 등장배경38
나. 스포츠윤리의 특성38
2. 스포츠윤리의 목적과 필요성40
가. 스포츠윤리의 필요성40
나. 스포츠윤리의 목적40
3. 스포츠윤리와 스포츠인의 윤리41
윤리이론42
1. 결과론적 윤리체계43
2. 의무론적 윤리체계45
3. 덕론적 윤리체계47
4. 동양사상과 윤리체계48
가. 유교48
나. 불교50
다. 도교50
5. 가치충돌의 문제와 대안52

제2장 | 경쟁과 페어플레이 54
스포츠경기의 목적55
1. 아곤과 아레테의 차이55
가. 아곤의 의미55
나. 아레테의 의미57
다. 아곤과 아레테의 차이59
2. 승리 추구와 탁월성 추구60
스포츠맨십
2016서술형 62
1. 스포츠맨십의 의미62
2. 놀이의 도덕: 규칙의 존중63
3. 경쟁의 도덕: 놀이 자체의 존중67
페어플레이
2016서술형 71
1. 페어플레이(공정시합)의 이해 71
가. ‘페어’하게 ‘플레이’한다는 의미71
나. 공정시합에 관한 두 가지 견해73
2. 의도적 반칙75
3. 승부 조작의 윤리적 문제와 해결 방안78

제3장 | 스포츠와 불평등 81
성차별81
1. 스포츠에서 성차별의 과거와 현재81
가. 스포츠 성차별의 과거81
나. 스포츠 성차별의 현재82
2. 스포츠에서 성 평등을 위한 방안83
가. 스포츠에서의 성차별의 원인83
나. 스포츠에서의 성 평등 방안84
3. 성전환 선수의 문제84
가. 여성 성별확인 검사제도84
나. 성전환 선수의 윤리문제85
인종차별86
1. 스포츠에서 인종차별의 과거와 현재86
가. 스포츠 인종주의의 배경 형성86
2. 다문화사회의 도래와 예상되는 갈등들88
가. 다문화사회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88
나. 다문화사회에서 나타나는 갈등들89
3. 스포츠에서 인종차별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91
장애차별93
1. 장애인의 스포츠권 93
2. 스포츠에서의 장애인 차별94
가. 장애인 스포츠의 (성)폭력 현황94
나. 장애인 생활체육 현황96
3. 장애차별 없는 스포츠의 조건100

제4장 | 스포츠에서 환경과 동물윤리 102
스포츠와 환경윤리102
1. 스포츠에서 파생되는 환경윤리적인 문제들102
2. 스포츠에 적용 가능한 환경윤리학의 이론들106
가. 인간중심주의(anthropocentrism)106
나. 자연중심주의(Ecocentrism)110
다. 인간중심주의인가, 자연중심주의인가?112
3. 지속 가능한 스포츠 발달의 윤리적 전제115
가. 필요성의 계율115
나. 역사성의 계율116
다. 다양성의 계율117
스포츠와 동물윤리118
1. 스포츠의 종차별주의 문제118
가. 종차별주의118
나. 반종차별주의120
2. 경쟁 · 유희 · 연구도구로 전락한 동물의 권리122
가. 경쟁도구로 전락한 동물의 권리122
나. 유희도구로 전락한 동물의 권리123
다. 연구도구로 전락한 동물의 권리123

제5장 | 스포츠와 폭력 125
스포츠폭력125
1. 스포츠의 공격적 특성과 폭력성125
가. 폭력의 유래126
나. 스포츠에서 나타나는 인간의 폭력성128
2. 격투스포츠의 윤리적 논쟁: 이종격투기129
가. 이종격투기와 인간의 공격성129
나. 이종격투기의 유래와 특징130
다. 격투스포츠의 윤리성132
선수폭력133
1. 폭력을 성찰하는 이론133
가. 아리스토텔레스 - 분노133
나. 푸코 - 규율과 권력134
다. 한나 아렌트 - 악의 평범성135
2. 선수폭력의 규정136
3. 스포츠폭력의 유형138
가. 선수들 간의 폭력138
나. 선수 또는 지도자가 심판에게 가하는 폭력139
다. 지도자가 선수에게 가하는 폭력140
4. 선수폭력 예방 및 대처141
5. 선수 성폭력143
관중폭력146
1. 경기 중 관중의 폭력146
가. 관중의 언어폭력147
나. 관중의 사이버폭력148
2. 경기 후 관중의 폭력행동149
가. 훌리거니즘(hooliganism)149
나. 관중문화의식151

제6장 | 경기력 향상과 공정성 153
도핑153
1. 도핑의 의미153
2. 도핑을 금지해야 하는 이유155
가. 공정성156
나. 역할모형156
다. 강요156
라. 건강상의 부작용157
3. 효과적인 도핑 금지 방안157
가. 윤리교육157
나. 도핑검사의 강화158
다. 적발 시 강경한 처벌158
유전자 조작159
1. 스포츠에서 유전자 조작의 현황159
가. 유전자 도핑의 정의160
나. 유전자 도핑의 사용 가능성162
2. 유전자 조작을 반대해야 하는 이유165
가. 인간존엄성 침해165
나. 종의 정체성 혼란166
다. 스포츠사회의 무질서 초래167
라. 위험성168
3. 스포츠에서 유전자 조작 방지 대책170
가. 지속적 연구의 필요성170
나. 신뢰성 있는 도핑테스트 개발170
다. 선수들의 도핑검사 의무화171
라. 선수 및 지도자의 윤리교육 실시171
스포츠에서 생체공학 기술활용173
1. 스포츠에서 공학기술의 역할173
가. 안전을 위한 기술173
나. 감시를 위한 기술174
다. 수행 증가를 위한 기술175
2. 전신수영복 착용을 금지하는 이유175
3. 의족장애선수의 일반경기 참가177

제7장 | 스포츠와 인권 182
학생선수와 인권182
1. 인권 사각지대인 학교운동부182
가. 학교운동부182
나. 학교운동부의 인권문제 182
다. 학교운동부의 인권보장184
2. 학생선수의 생활권과 학습권 : 최저학력제 184
가. 학생선수의 학습권 보장과 최저학력제184
나. 학생선수의 학습권 보장 근거185
3. ‘공부하는 학생선수’ 만들기 프로젝트187
가. 공부하는 학생선수187
나. 공부하는 학생선수 만들기187
다. 공부하는 학생선수 만들기 실천과정187
4. 체육특기자의 진학과 입시제도의 문제188
가. 체육특기자제도188
나. 체육특기자의 진학과 입시제도의 문제189
다. 체육특기자의 진학과 입시제도 문제의 해결방안189
스포츠지도자의 윤리190
1. 지도자에 의한 폭력이 가능한 이유190
2. 선수체벌 문제191
가. 선수체벌191
나. 선수체벌의 문제191
다. 선수체벌의 해결방법192
3. 성폭력 문제192
가. 스포츠 성폭력192
나. 스포츠 성폭력 문제193
다. 스포츠 성폭력의 해결방안193
4. 교육자로서의 책임과 권한194
가. 지도자의 역할194
나. 교육자로서의 책임과 권한194
스포츠와 인성교육196
1. 어린이 운동선수를 보호하기 위한 방안196
가. 어린이 운동선수의 문제196
나. 어린이 운동선수의 보호방안196
2. 학교체육의 인성교육적 가치198
가. 스포츠교육과 인성발달198
나. 학교체육의 인성교육적 가치198
3. 새로운 학교문화를 위한 스포츠의 역할198
가. 학교문화의 특성198
나. 새로운 학교문화를 위한 스포츠의 역할199

제8장 | 스포츠조직과 윤리 201
스포츠와 정책윤리201
1. 정치와 스포츠의 관계201
2. 스포츠의 사회적 이슈와 윤리성 문제204
3. 스포츠정책과 윤리성 문제207
가. 스포츠정책과 윤리의 연관성207
나. 스포츠정책윤리의 이론적 근거209
다. 스포츠정책윤리의 확보방안211
심판의 윤리213
1. 심판의 윤리기준214
가. 공정성(公正性)214
나. 청렴성(淸廉性)217
다. 편견과 차별성219
2. 심판의 역할과 과제221
가. 심판의 순기능221
스포츠조직의 윤리경영224
1. 스포츠경영자의 윤리적 의식: 윤리적 리더십224
가. 스포츠경영자의 윤리적 의식225
나. 스포츠경영자의 윤리적 리더십227
2. 스포츠조직의 윤리적 책임 주체와 공동체적 조직행동228
가. 스포츠조직의 윤리적 책임 본질과 주체229
나. 스포츠조직의 윤리적 책임주체로서 공동체적 개인주의230
다. 스포츠조직에서 역할 도덕성과 공동체적 개인주의232

제2부 한국체육사(대한미디어)

제1장 | 선사 · 부족국가와 삼국시대의 체육 236

선사·부족국가시대의 생활과 체육 236
1. 선사 · 부족국가시대의 생활236
2. 선사 · 부족국가시대의 체육237
가. 수렵237
나. 군사238
다. 축제 238
라. 주술239
마. 성년의식240
바. 정신 및 위생, 건강240
사. 유희241
삼국시대의 체육242
1. 삼국시대의 생활과 체육242
가. 삼국시대의 생활242
나. 삼국시대의 체육244
2. 삼국시대의 무예245
가. 기마술245
나. 활쏘기246
다. 입산수행과 편력
2014 기입형 248
라. 화랑도 체육 248
3. 삼국시대의 체육사상249
3-1. 화랑도의 체육사상249
가. 신체미의 숭배사상249
나. 심신일체론적 체육관249
다. 군사주의 체육사상249
라. 불국토 사상249
3-2. 화랑도 체육의 역사적 의미 250
4. 삼국시대의 민속놀이와 오락252
가. 각저(角抵)252
나. 격구(擊毬)252
다. 축국(蹴鞠)253
라. 수박(手搏)253
마. 석전(石戰)253
바. 방응(放鷹)253
사. 마상재(馬上才)254
아. 수렵254
자. 투호(投壺)254
차. 기타254

제2장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체육 256
고려시대의 체육 256
1. 고려시대의 사회와 체육256
가. 고려시대의 사회 256
나. 고려시대의 교육256
다. 고려시대의 체육259
2. 고려시대의 무예 259
가. 무신정권과 무예를 발달259
나. 고려시대의 무예체육260
1) 수박
2016 기입형 261
2) 궁술261
3) 마술
2016 기입형 262
3. 고려시대의 민속놀이와 오락262
가. 귀족사회의 민속놀이262
나. 서민사회의 민속놀이와 오락265
다. 기타 신체 활동267
조선시대의 체육269
1. 조선시대의 사회와 체육269
가. 조선시대의 사회269
나. 조선시대의 교육270
다. 과거제도274
라. 조선시대의 체육275
2. 조선시대의 무예280
3. 조선시대의 민속놀이와 오락285
4. 조선시대의 체육사상290
가. 숭문천무와 문무겸전의 대립290
나. 심신수련으로서의 활쏘기291
●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무예체육 및 민속놀이와 오락 비교293
●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교육(체육) 비교294

제3장 | 개화기와 일제강점기의 체육 · 스포츠 298
개화기의 체육·스포츠298
1. 개화기의 사회와 교육298
가. 개화기의 사회298
나. 개화기의 교육300
2. 개화기의 체육302
가. 개화기 체육의 발전 양상302
나. 관·공립학교와 사립학교의 체육306
다. 운동회 개최와 역할308
라. 체육단체의 결성310
마. 근대 스포츠의 도입과 보급312
3. 개화기 체육사상과 역사적 의미316
가. 개화기 체육사상316
● 개화기 체육319
일제강점기의 체육·스포츠320
1. 일제강점기의 학교체육320
가. 무단통치기의 학교체육320
나. 문화통치기의 학교체육322
다. 민족말살기의 학교체육325
2. 일제강점기의 스포츠329
가. 근대 스포츠의 도입과 보급329
나. 스포츠지도자의 활동334
다. 스포츠 단체의 결성과 활동337
라. 경성운동장의 건설340
3. 일제강점기 민족주의적 스포츠 활동342
가. YMCA의 스포츠 활동342
나. 민중의 스포츠 활동343
다. 손기정과 베를린올림픽경기대회344
라. 일장기말살사건346
● 일제강점기의 체육348
● 개화기, 일제강점기 체육단체 349

제4장 | 현대체육 · 스포츠 350
체육행정조직 및 체육단체350
1. 국가 체육행정조직의 변천350
2. 민간 체육단체352
가. 대한체육회352
나. 대한올림픽위원회355
다. 대한장애인체육회356
라. 국민생활체육회357
마. 국민체육진흥공단359
생활체육360
1. 생활체육의 개요360
가. 생활체육의 개념360
나. 생활체육의 특성361
다. 생활체육의 역할과 의의361
2. 우리나라 생활체육 정책 및 현황362
가. 1980년 이전의 생활체육 정책362
나. 1990년대의 생활체육 정책362
다. 2000년대의 생활체육 정책363
라. 현재의 생활체육 정책364
현대스포츠와 정치364
1. 제 3,4공화국의 ‘체력은 정치’365
2. 제5공화국은 스포츠공화국366
가. 한국프로야구의 출범368
나. 오직 스포츠, 스포츠, 스포츠369
3. 현대의 정치와 스포츠 역사를 바라보며371

제3부 체육원리

Part 1 체육의 개념 및 목적

제1장 | 체육이란 무엇인가? (하남길) 374

체육의 발달 배경
2014 기입형 374
체육(體育)의 개념376
1. 용어의 변천376
체육(體育)의 개념의 변천380
1. 신체의 교육(Education of the physical)
97기출 381
2. 신체를 통한 교육(Education through the physical)
97기출 382
3. 움직임 교육384
4. 인간 중심 교육384
5. 스포츠 교육384
6. 몸 교육(Somatic Education):384
체육 사조의 변천385
1. 유럽의 단련주의ㆍ자연주의ㆍ범애주의 사조385
2. 유럽 대륙의 국가주의 체육 사조386
3. 영국의 강건한 기독교주의 스포츠 교육 사조386
4. 미국의 진보주의와 ★신 체육 사조387
5. 움직임 교육 사조389
6. 인간주의 체육 사조389
7. 스포츠 교육 사조390
체육의 목적394

제2장 | 체육의 목적과 가치 394
체육의 목적394
1. 학자들의 목적관394
2. 우리나라 학교 체육의 목적395
3. 체육목적의 정당화 396
체육의 가치400

Part 2 체육과 인간 및 신체

제3장 | 존재론(Ontology) 407

존재론적 연구407
1. 대상(subject matter)문제407
2. 신체(body) 문제407

제4장 | 체육관련 개념들 408
체육·스포츠와 유사한 용어408
1. 보건408
2. 체조408
3. 무용408
4. 여가
04기출 409
5. 레크리에이션
04기출 409
6. 운동410
7. 놀이
04기출 410
8. 게임
04기출 410
9. 스포츠
04기출 410
10. 운동경기411
11. 움직임 교육411

제5장 | 놀이·게임·스포츠 414
놀이이론414
1. 고전 이론(classical theory of play)414
2. 근대 이론417
3. 현대 놀이론419
놀이의 특성420
1. 호이징하의 놀이 특성 정의
11기출 420
2. 카이와의 놀이 특성 정의
07기출
11기출 420
3. 메이어의 정의
11기출 424
4. 사포라와 미첼의 특성 정의424
놀이의 실존적 기능과 내재적 특성424
1. 실존적 기능424
2. 놀이의 내재적 특성 426
게임론427
스포츠427
1. 스포츠의 개념과 정의427
2. 스포츠 성격에 관한 사회학적 견해430
3. 스포츠 성격에 관한 역사학적 견해
06기출
09기출
2016 서술형 431
스포츠 문화의 발달 배경433
스포츠의 분류434

제6장| 심신관계론(心身關係論)과 체육 440
심신상관론
12기출
공청회 440

Part 3 체육과 지식 및 학문

제7장 | 인식론(Epistemology) 449
인식론적 연구449

제8장 | 지식의 유형과 체육 450
지식과 체육450
1. 명제적 지식
06기출 450
2. 방법적 지식
06기출
09기출 450
3. 신체행위지식 (physical action knowledge, PAK)451
4. 체육적 지식과 인격, 그리고 삶452
제8장
| 체육의 학문화454
체육의 학문적 체계454
1. 교육적 측면의 체육:움직임 교육과학455
2. 학문적 측면의 체육:움직임 예술 과학455
3. 체육의 통합적 정의457
4. 체육의 학문적 체계458

Part 4 체육과 가치 및 교육

제10장 | 가치론(Axiology) 462
가치론적 연구462
윤리학462

제11장 | 가치의 기원 및 유형과 체육 463
윤리학463
미학464

Part 5 체육과 사상 및 실천

제12장 | 교육철학과 체육465
진보주의(Progressivism)
07기출
공청회
11기출
12기출
공청회 466
1. 진보주의와 교육466
2. 진보주의와 체육467
항존주의(Perennialism)467
1. 항존주의와 교육467
2. 항존주의와 체육468
본질주의(Essentialism)
07기출
공청회
11기출 468
1. 본질주의와 교육468
2. 본질주의와 체육468
재건주의(Reconstructionism)469
1. 재건주의와 교육469
2. 재건주의와 체육469

제13장 | 전통철학과 체육 472
자연주의 (naturalism)472
1. 자연주의472
2. 자연주의와 교육472
3. 자연주의와 체육?스포츠472
관념론(ldealism)
10기출 473
1. 관념론473
2. 관념론과 교육473
3. 관념론과 체육?스포츠474
실재론 (Realism)474
1. 실재론474
2. 실재론과 교육475
3. 실재론과 체육?스포츠475
실용주의(pragmatism)
02기출
10기출 476
1. 실용주의476
2. 실용주의과 교육476
3. 실용주의와 체육476
실존주의(Existentialism)
11기출 478
1. 실존주의478
2. 실존주의와 교육478
3. 실존주의와 체육479

제14장 | 스포츠 철학(하남길, 권선옥, 김세기) 482
스포츠의 의미482
1. 스포츠 참여와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482
2. 스포츠를 통한 목적의식 강화484
3. 스포츠 참가의 단계와 의미
2014 기입형 484
⑴ 지향단계485
⑵ 준비단계485
⑶ 참여단계485
⑷ 몰입단계486
⑸ 해결 또는 결의단계486
스포츠의 잠재적 의미489
1. 탁월성의 추구489
2. 지배와 우월성490
3. 개인적 한계의 규정490
4. 모험의 기회 포착490
5. 표현491
6. 의식의 변용 상태와 신비적 통합491
몸과 마음의 관계492
1. 인간과 몸492
2. 심신 일체론493
스포츠와 미494
1. 신체미494
⑴ 인체미의 요소494
⑵ 신체 미학설496
2. 스포츠와 운동미496
3. 스포츠의 기술미와 예술미497
⑴ 스포츠의 기술 미497
⑵ 스포츠의 예술 미497
4. 스포츠와 움직임의 형식미498
⑴ 정제(Uniformity)498
⑵ 비례(Proportion)498
⑶ 균형(Balance)498
⑷ 대칭(symmetry)499
⑸ 조화(Harmony)499
⑹ 층차(Gradation)499
⑺ 리듬(Rhythm)499
스포츠와 윤리500
1. 스포츠와 경쟁의 유형500
⑴ 아곤(Agon)과 라이벌리(Rivalry)500
⑵ 아레테(Arete)501
2. 스포츠 윤리502
⑴ 롬바디주의적 윤리502
⑵ 반문화적 윤리503
⑶ 혁신적 윤리503

제4부 체육과 스포츠 역사

Part 1 고대 사회의 체육과 스포츠 문화

제1장 | 원시시대의 생활과 신체문화 509
스포츠의 기원과 진화509
1. 스포츠의 기원과 발달 509
2. 스포츠 문화의 진화 모델509
3. 스포츠 문화의 진화 에너지509

제2장 | 그리스의 체육과 스포츠 문화 511
호머 시대의 체육과 스포츠512
1. 호머 시대의 사회와 교육512
2. 호머 시대의 체육512
3. 호머 시대의 스포츠:★장례경기512
스파르타의 체육513
1. 스파르타 사회와 교육513
2. 스파르타의 체육514
아테네의 체육
05기출 515
1. 아테네 사회와 교육515
2. 아테네의 체육515
그리스의 스포츠:범그리스 경기대회
04기출 518
1. 범그리스 경기대회:4대 ★제전경기518
2. 고대 올림픽
12기출 520
그리스의 체육 사상523
1. 그리스 체육과 스포츠 사상적 배경523
2. 철학자들의 체육관523

제3장 | 로마의 체육과 스포츠 문화 525
로마의 사회와 교육526
1. 로마의 사회와 문화526
2. 로마의 교육526
로마의 체육526
1. 체육의 목적
05기출 526
2. 체육의 제도와 내용527
⑴ 전기 로마의 체육527
⑵ 후기 로마의 체육527
로마의 스포츠와 오락527
1. 로마 스포츠의 유래527
2. 로마 관중 스포츠와 오락
12기출 527
로마의 체육사상 529
1. 기독교 사상과 오락적 스포츠
12기출 529
2. 체육사상529

제4장 | 중국의 체육과 스포츠 문화 531
고대 중국의 사회와 교육531
1. 고대 중국의 사회와 문화531
2. 고대 중국의 교육531
고대 중국의 체육531
1. 체육의 목적531
2. 체육의 제도와 내용531
고대 중국의 스포츠532
1. 스포츠의 성격532
2. 스포츠의 종류532
고대 중국의 체육사상532

Part 2 중세 및 근세 초기의 체육과 스포츠 문화

제5장 | 중세의 체육과 스포츠 문화 534
중세의 기사 스포츠535
1. 중세의 사회와 문화536
2. 중세의 교육537
중세의 체육538
1. 중세 수도원과 스콜라 교육538
2. 중세 기사의 체육
01기출 538
3. 중세 중국의 체육539
중세의 스포츠와 오락541
1. 중세 귀족 사회의 스포츠541
2. 중세 서민 사회의 스포츠
11기출 541
3. 중세 중국의 전통 스포츠542
4. 중세의 체육사상
12기출 542

제6장 | 르네상스와 종교개혁시대의 체육과 스포츠 문화 545
르네상스 시대의 사회와 교육546
1. 르네상스를 근대의 출발로 간주하는 이유(14~16c)546
2. 르네상스시대의 교육549
르네상스시대의 체육과 사상550
1. 르네상스시대의 체육550
2. 인문주의자들의 체육 가치관
09기출 550
3. 중국 원나라시대의 체육551
종교개혁시대의 체육551
1. 종교개혁시대의 사회와 문화551
2. 종교개혁시대의 교육552
3. 종교개혁시대의 체육
09기출
12기출 553
4. 종교개혁시대의 체육 가치관554
5. 중국 명조의 체육555
르네상스 및 종교개혁 시대의 스포츠556
1. 영국 왕실과 귀족사회의 스포츠556
2. 중산층과 민중사회의 스포츠
공청회 556
3. 중국 명조의 스포츠557

제7장 | 절대주의시대의 체육과 스포츠 문화 558
절대주의시대의 사회와 교육565
1. 절대주의시대의 사회와 교육565
2. 절대주의 시대의 교육
12기출 566
절대주의시대의 체육과 사상568
1. 과학시대의 체육568
2. 과학시대의 체육 사상568
3. 계몽시대의 체육
05기출
12기출 570
4. 계몽시대의 체육 사상
05기출
2014 기입형
571
5. 중국 청조의 체육573
절대주의시대의 스포츠576
1. 영국 스포츠의 발달576
2. 미국 스포츠의 발달579
3. 중국의 스포츠와 레크리에이션581

Part 3 근대 체육과 스포츠 문화

제8장 | 유럽 대륙의 체육과 스포츠 문화 583

독일의 체육과 스포츠589
1. 독일의 교육589
2. 독일의 체육
공청회
08기출
09기출
10기출
12기출
2014 기입형 589
3. 독일의 스포츠595
4. 독일의 체육 사상595
스웨덴의 체육과 스포츠598
1. 스웨덴의 교육598
2. 스웨덴의 체육598
덴마크의 체육과 스포츠602
1. 덴마크의 교육602
2. 덴마크의 체육
공청회
10기출 602
3. 덴마크의 스포츠604
4. 덴마크의 체육 사상604
프랑스의 체육과 스포츠605
1. 프랑스의 교육606
2. 프랑스의 체육606
3. 프랑스의 스포츠607
4. 프랑스의 체육사상608
러시아의 체육과 스포츠609
1. 러시아의 교육609
2. 러시아의 체육610
3. 러시아의 스포츠와 무용610

제9장 | 영국의 체육과 스포츠 문화 614
영국의 사회와 교육614
1. 영국의 사회616
2. 영국의 교육616
영국의 체육616
1. 영국 체육의 발달 배경
09기출 616
2. 영국의 체조 운동617
3. 레크리에이션 및 소년단 활동618
4. 영국 학교 체육의 발달 과정
10기출 644
영국의 스포츠623
1. 영국 스포츠 문화의 발달 배경623
2. 영국 스포츠의 조직화와 확산623
3. 각종 스포츠의 발달
공청회 624
4. 영국 스포츠의 세계화629
영국의 체육과 스포츠 사상 631
1. ★애슬레티시즘
10기출 2015 631
2. ★강건한 기독교주의
10기출 633
3. 아마추어리즘
10기출 636
4. 프로페셔널리즘
10기출 636
5. 제국주의(임페리얼리즘)
10기출 637
6. 체육 사상가638

제10장 | 미국의 체육과 스포츠 문화 642
미국의 사회와 교육642
1. 미국의 사회645
2. 미국의 교육645
미국의 체육645
1. 미국 체육의 발달 배경
2014 기입형 645
2. 미국의 체조 운동647
3. 레크리에이션 및 소년단 활동
2015 647
4. 미국 학교 체육의 발달 과정
공청회
09기출
10기출
12기출
2014 기입형 648
미국의 스포츠651
1. 미국 스포츠 문화의 발달 배경651
2. 스포츠의 조직화 전조652
3. 스포츠의 조직화653
4. 대중 스포츠 시대의 개막655
5. 스포츠 문화의 조직화(각종 스포츠의 발달)
공청회 655
미국의 체육사상661
1. 초절주의661
2. 실용주의661
3. ★강건한 기독교주의
12기출 662
4. 인종주의와 스포츠662
5. 체육 사상가
11기출 664

제11장 | 중국의 일본의 체육과 스포츠 문화 672
중국의 체육과 스포츠 문화672
1. 중국의 사회와 교육672
2. 중국의 체육672
3. 중국의 스포츠675
4. 중국의 체육 사상675
일본의 체육과 스포츠 문화677
1. 일본의 사회와 교육
10기출 677
2. 일본의 체육677
3. 일본의 스포츠679
4. 일본의 체육사상:★무사도 681

제12장 | 근대 올림픽 683
근대 올림픽의 부활683
1. 유사올림픽 대회683
2. ★쿠베르탱의 등장683
3. 브룩스의 제안과 ★쿠베르탱의 올림픽 제창
11기출 683
4. 고대 올림픽의 부활685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의 하계올림픽686
1. 제1회 올림픽, 그리스 아테네 (Athens Greece, 1896)686
2. 제2회 올림픽, 프랑스 파리 (Paris France, 1900)
11기출 686
3. 제3회 올림픽, 미국 세인트루이스 (St, Louis USA, 1904)686
4. 제4회 올림픽, 영국 런던 (London Great Britain, 1908)686
5. 제5회 올림픽, 스웨덴 스톡홀름 (Stockholm Sweden, 1912)686
6. 제7회 올림픽, 벨기에 앤트워프 (Antwerp Belgium, 1920)
11기출 687
7. 제8회 올림픽, 프랑스 파리 (Paris France, 1924)687
8. 제9회 올림픽,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Amsterdam Netherland, 1928)687
9. 제10회 올림픽, 미국 로스앤젤레스 (Los Angeles USA, 1932)687
10. 제11회 올림픽, 독일 베를린 (Berlin Germany, 1936)
11기출 687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하계올림픽687
1. 제14회 올림픽, 영국 런던 (London Great Britain, 1948)
11기출 687
2. 제15회 올림픽, 핀란드 헬싱키 (Helsinki Finland, 1952)
11기출 688
3. 제16회 올림픽, 오스트레일리아 맬버른 (Melbourne Astralia, 1956)688
4. 제17회 올림픽, 이탈리아 로마 (Rome ltaly, 1960)688
5. 제18회 올림픽, 일본 도쿄 (Tokyo Japan, 1964)688
6. 제19회 올림픽, 멕시코 멕시코시티 (Mexico City Mexico, 1968)688
7. 제20회 올림픽, 독일 뮌헨 (Munich Germany, 1972)
11기출 688
8. 제21회 올림픽, 캐나다 몬트리올 (Athens Greece, 1976)688
9. 제22회 올림픽, 소련 모스크바 (Moscow USSR, 1980)689
10. 제23회 올림픽, 미국 로스앤젤레스 (Los angeles USA, 1984)689
11. 제24회 올림픽, 대한민국 서울 (Seoul Korea, 1988)
11기출 689
12. 제25회 올림픽, 스페인 바르셀로나 (Barcelona Spain, 1992)689
13. 제26회 올림픽(100주년), 미국 애틀랜타 (Atlanta USA, 1996)689
14. 제27회 올림픽, 호주 시드니 (Sydney Australia, 2000)690
15. 제28회 올림픽, 그리스 아테네 (Athene Greece, 2004)690
16. 제29회 올림픽, 중국 베이징 (Beijing, china, 2008)690
동계올림픽 대회690
1. 제1회 동계올림픽, 프랑스 샤모니 (chamonix France, 1924)690
2. 제2회 동계올림픽, 스위스 산모리츠 (St. Moritz Switzerland, 1928)690
3. 제3회 동계올림픽, 미국 레이크플래시드 (Lake Placid USA, 1932)690
4.제4회 동계올림픽, 독일 가르미쉬-파르텐키르헨 (Garmisch-Partenkirchen Germany, 1936)690
5. 제5회 동계올림픽, 스위스 산모리츠 (St. Moritz Switzerland, 1948)690
6. 제6회 동계올림픽, 노르웨이 오슬로 (Osolo Norway, 1952)691
7. 제7회 동계올림픽, 이탈리아 코르티나담페초 (Cortina d'Ampezzo Italy, 1956)691
8. 제8회 동계올림픽, 미국 스퀘벨리 (Squaw Valley USA, 1960)691
9. 제9회 동계올림픽, 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 (Innsbruck Austria, 1964)691
10. 제10회 동계올림픽, 프랑스 그르노블 (Grenovle, France, 1968)691
11. 제11회 동계올림픽, 일본 삿포로 (Sapporo Japan, 1972)691
12. 제12회 동계올림픽, 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 (Innsbruck Austria, 1976)691
13. 제13회 동계올림픽, 미국 레이크플래시드 (Lake Placid USA, 1980)691
14. 제14회 동계올림픽, 유고슬라비아 사라예보 (Sarajevo Yugoslavia, 1984)691
15. 제15회 동계올림픽, 캐나다 캘거리 (Calgary Canada, 1988)692
16. 제16회 동계올림픽, 프랑스 알베르빌 (Sarajevo Yugoslavia, 1992)692
17. 제17회 동계올림픽, 노르웨이 릴레함메르 (Lillehammer, Norway, 1994)692
18. 제18회 동계올림픽, 일본 나가노 (Nagano Japan, 1998)692
19. 제19회 동계올림픽, 미국 솔트레이크시티 (Salt Lake City USA, 2002)692
20. 제20회 동계올림픽, 이탈리아 토리노 (Torino, Italy, 2006)692
근대 올림픽 사상과 이데올로기716
1. ★올림피즘716
2. 아마추어리즘과 프로페셔널리즘717
3. 국가주의718
4. 상업주의718
5. 인종주의 719
6. 성차별주의 719

Part 4 한국의 체육과 스포츠문화

제16장 | 개화기 및 일제 강점기의 체육과 스포츠 문화 720

개화기의 교육721
1. 개화기의 사회와 교육721
1) 개화기의 사회721
2. 개화기의 교육721
개화기의 체육722
1) 개화기 체육의 발전 단계
12기출 722
2) 개화기의 체육
12기출 722
개화기의 스포츠723
1) 학교 스포츠의 발달723
2) 체육단체의 결성723
3) 개화기 체육의 역사적 의미724
개화기의 체육사상724
1) 유교주의와 체육724
2) 사회 진화론적 민족주의725
체육 사상가
공청회 725
⑴ 이기725
⑵ 문일평 726
⑶ 이기동 726
⑷ 이종만726
⑸ 조원희726
⑹ 노백린 727
⑺ 이종태 727
⑻ 박은식 727

제17장 | 일제 강점기의 체육과 스포츠 문화 729
일제강점기의 체육
10기출 729
1. 조선 교육령 공포기의 체육 (1911~1914)729
2. 체조교수요목의 제정과 개정기의 체육 (1914~1927)729
3. 학교체육 교수요목기의 체육 (1927~1941)729
4. 체육 통제기의 체육 (1941~1945)729
5. 민족주의적 체육 활동730
6. 체육 ·스포츠의 탄압 732
일제강점기의 체육사상733
1. 민족주의 체육사상733
2. YMCA의 복음주의 운동과 ★강건한 기독교주의733

제18장 | 광복 이후의 체육과 스포츠 문화 736
광복 이후의 사회와 교육741
1. 광복 이후의 사회741
2. 광복 이후의 교육741
광복 이후의 체육 742
1) 미군정기와 교수요목 시대의 체육742
1)-1. 체육의 편제 및 목적742
2) 교육과정 시대의 체육742
광복 이후의 스포츠744
1. 체육 및 스포츠 진흥운동의 전개 양상744
2. 학교 스포츠의 발달744
3. 사회 스포츠의 발달744
4. 각종 스포츠의 발달747
5. 스포츠 발달의 배경과 특성747
6. 광복이후의 체육사상749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