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교원임용시험 > 특수교육
· ISBN : 9788962515664
· 쪽수 : 452쪽
· 출판일 : 2020-02-03
목차
CHAPTER 1 시각장애 11
I. 시각장애 정의 20
1. 시각 20
2. 시각장애의 정의 23
II. 시각장애 원인 25
1. 눈의 구조와 기능 25
2. 안질환과 교육적 조치 27
III. 시각장애 판별 38
1. 형식적 시각 검사 38
2. 학습매체 평가 46
IV. 시각장애 교육 48
1. 국어 48
2. 영어 48
3. 수학 49
4. 과학 50
5. 사회 52
6. 체육 53
7. 음악 56
8. 미술 57
9. 일반교과의 그래픽을 촉각화 하는데 고려할 점 58
V. 점자 지도 59
1. 점자의 필요성과 목적 59
2. 점자의 구성 원리와 기호 59
3. 점자 찍기와 읽기 68
4. 점자 지도의 실제 71
VI. 방향정위와 이동 72
1. 방향정위와 이동훈련의 목적과 필요성 72
2. 방향정위 지도 72
3. 이동기술 지도 77
VII. 저시각 아동 교육 86
1. 시각과 관련된 기본 개념 86
2. 저시각 아동을 위한 교육원칙 및 교육접근 87
VIII. 보조공학 98
1. 촉각 활용 보조공학 기기 98
2. 청각 활용 보조공학 기기 100
3. 시각 활용 보조공학 기기 102
IX. 시각중복장애아동 지도 103
1. 농맹학생의 의사소통 방법 103
CHAPTER 2 청각장애 107
I. 청각장애의 정의 116
1. 청각장애의 법적 정의 116
2. 장애인 복지법 정의 116
3. 미국 장애인 교육법 116
II. 청각기관과 청각장애의 원인 및 분류 117
1. 청각기관의 구조 117
2. 청각장애의 원인 120
3. 청각장애의 분류 121
III. 청각장애 아동의 언어특성 128
IV. 청각장애 판별 131
1. 음차 검사 131
2. 순음청력검사 133
3. 링의 6(5)개음 검사 145
4. 어음청력검사 147
5. 차폐 152
6. 객관적 청력검사 및 유아청각검사 156
V. 청각장애 교육 159
1. 구화법 159
2. 수어 174
3. 종합적 의사소통법 184
4. 이중언어-이중문화 접근법(bi culture-bi langual) 184
VI. 청각장애아동의 통합교육 지원 186
1. 청각장애 학생의 교수 방법상 고려 점 186
2. 청각장애 학생을 위한 통합수업 지원 187
CHAPTER 3 의사소통장애 191
I. 의사소통 장애 정의와 기관 200
1. 의사소통 정의 200
2. 말?언어 산출 기관 200
3. 의사소통 장애 정의와 유형 202
II. 말장애 원인과 치료법 203
1. 조음·음운장애 203
2. 유창성 장애 217
3. 음성장애 225
III. 언어 장애 원인과 치료 227
1. 언어 장애 정의 227
2. 언어의 구성 요소 227
3. 언어 장애 유형 232
4. 언어 장애 판별 235
5. 언어 장애 교육 251
CHAPTER 4 보완대체 의사소통 265
I. 초기 의사소통 발달 272
1. 의사소통의 의도성 272
2. 의사소통 형태 273
3. 의사소통의 목적과 기능 274
II. 보완 및 대체의사소통지도(AAC) 체계 275
1. 정의·유형·목적 275
2. AAC 사용자의 능력 4가지 기술(의사소통을 위한 기초기술) 275
3. 보완대체 의사소통 체계의 구성요소 275
III. 보완·대체 의사소통 평가 285
1. 평가원칙 285
2. 평가모델 285
3. 보완대체의사소통 기초능력평가 286
IV. AAC 지도의 실제 289
1. 현재 수준 측정 289
2. 의사소통 지도 목표 수립 289
3. 어휘 수집 289
4. 어휘 선정 290
5. 상징 및 도구 선택 290
6. 상징 배열 및 구성 290
7. 지도 방법 292
8. 일반화와 유지 점검 294
9. 성과 측정 294
CHAPTER 5 지체장애 297
I. 지체장애 학생 교육 개관 및 협력 306
1. 지체장애 정의 306
2. 협력적 접근 306
II. 지체장애 하위 유형 310
1. 뇌성마비 310
2.근이영양증(진행성 근위축증: Progress muscular dystrophy) 320
3. 이분척추(Spina bifida) 324
4. 척수손상 326
5. 척추측만증 327
6. 뇌전증 329
7. 골형성 부전증 333
8. 외상성 뇌손상(traumatic brain injury: TBI) 333
III. 운동장애와 지도 335
1. 운동체계 335
2. 지체장애 학생의 운동 지도 340
IV. 자세 및 앉기, 보행 및 이동 343
1. 자세 및 앉기 343
2. 자세 및 앉기와 보행 및 이동을 위한 보조기기 347
V. 일상생활 기술 356
1. 식사 기술 356
2. 용변 기술 359
3. 착탈의 기술 362
4. 몸단장 및 개인위생 363
5. 치아 관리 363
CHAPTER 6 건강장애 367
I. 건강장애의 개념 370
1. 건강장애 정의와 특성 370
2. 건강장애의 유형 370
3. 교육 지원 375
CHAPTER 7 특수교육공학 383
I. 교육공학과 특수교육공학 390
1. 교육공학의 정의 및 영역 390
2. 특수교육공학의 정의 및 영역 391
II. 접근성에 대한 이해 395
1. 장애인의 정보접근권 관련 법률 395
III. 보편적 학습 설계 397
1. 보편적 설계 397
2. 보편적 학습설계 397
3. UDL의 적용과 실행 401
IV. 특수교육과 컴퓨터의 활용 408
1. 컴퓨터 보조수업 408
2. 멀티미디어 활용 수업 412
V. ICT 활용 교육 416
1. ICT와 교육 416
2. ICT와 특수교육 417
VI. 보조공학의 이해 419
1. 보조공학의 정의 및 이점 419
2. 보조공학 사정 및 유형 423
VII. 발달장애 및 지체장애 학생을 위한 보조공학 430
1. 이동을 위한 기타 보조공학 장치 430
2. 컴퓨터 접근성을 위한 보조공학 장치 432
3. 기타 보조공학 장치 436
VIII. 감각 장애 학생을 위한 보조공학 437
1. 청각장애 학생을 위한 보조공학 437
2. 시각장애 학생을 위한 보조공학 4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