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교원임용시험 > 중등 전공
· ISBN : 9788962519709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4-02-16
목차
제1장 운동제어 및 학습 11
• 운동행동 연구이론 13
1. 반사이론(행동주의) 13
2. 정보처리이론(인지주의) 14
3. 다이내믹시스템 이론 17
4. 생태학적 이론 24
• 반응시간과 운동시간 25
1. 반응시간 25
2. 운동시간 27
• 정보처리단계 28
1. 감각-지각 단계 28
2. 반응 선택 단계 29
3. 반응 실행 단계 30
• 기억 32
1. 기억의 구분 32
2. 기억의 과정 34
3. 기억의 생리적 기전 35
• 운동기술의 이해 36
1. 운동기술의 조건 36
2. 동작의 4가지 특성(Smyth & Wing) 36
3. 운동기술의 분류 37
• 운동기술의 연습 41
1. 구획연습과 무선연습 41
2. 집중연습과 분산연습 44
3. 전습법과 분습법 45
4. 가이던스(guidance)기법 48
5. 정신연습(mental practice) 50
• 운동의 정확성과 타이밍 51
1. 정확성과 일관성 51
2. 정확성 결정 요인 51
3. 정보처리 용량과 정확성 52
4. 피드백과 정확성(Crossman의 반복수정모델) 57
5. 충격량과 정확성(Shmidt의 임펄스 가변성 이론) 58
6. 하위움직임수와 정확성(Meyer의 최적하위 분절 모델) 59
7. 운동학적/역학적 정확성 60
8. 타이밍 62
• 운동과정의 측정 64
1. 운동학적(kinematic)측정 64
2. 운동역학적 측정 67
• 운동학습의 측정 71
1. 수행곡선 71
2. 파지검사 72
• 운동학습과 운동수행 74
1. 운동학습의 정의 74
2. 운동학습의 특성 74
3. 고원 현상 76
4. 운동학습의 과정 79
• 운동학습이론 81
1. 폐쇄회로 이론 81
2. 개방회로 이론 82
3. 도식이론 84
• 운동학습의 단계 86
1. Fitts와 Posner의 운동학습 단계 86
2. Adams의 운동학습 단계 87
3. Gentile의 운동학습 단계 87
4. Bernstein의 운동학습 단계 88
5. Newell의 운동학습 단계 89
• 탐색전략과 운동학습 91
1. 탐색 전략(search strategy)에 근거한 운동학습 91
2. 탐색전략과 지각-운동활동영역 91
3. 탐색전략을 통한 협응 구조의 형성 92
• 운동능력 93
1. 운동능력 가설 93
2. 운동능력의 예측 94
• 운동숙련 96
1. 운동숙련의 요소 96
2. 운동숙련의 단계 97
3. 숙련자-초보자 비교 연구 98
• 전이 101
1. 정적전이 101
2. 부적 전이 103
3. 양측성 전이 104
4. 과제간 전이 vs 과제내 전이의 측정 105
5. 모의 훈련과 전이 107
6. 운동기술의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08
• 피드백 111
1. 피드백의 기능 111
2. 피드백의 분류 112
3. 수행지식과 결과지식 113
4. 피드백의 제공방법 114
5. 새로운 형태의 피드백 117
• 주의 118
1. 주의의 특성 118
2. 주의의 폭과 방향 119
3. 주의의 측정 122
4. 주의의 평가 122
5. 주의의 연습과 자동화 122
6. 주의 이론 123
7. 선별적 주의 125
8. 주의연합과 주의분리 126
9. 주의집중 문제점 127
10. 주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127
11. 주의 집중 향상전략(발달기법) 128
12. 주의와 각성의 관계 131
13. 시각탐색 133
제2장 스포츠 심리 135
• 성격 137
1. 성격의 특성 137
2. 성격의 구조 137
3. 성격에 관한 심리적 모델(성격이론모형) 138
4. 우수 선수의 성격(Morgan의 빙산형 프로파일) 141
5. A형 행동과 B형행동 143
• 동기 144
1. Deci의 인지평가이론 144
2. 데시와 라이언(Deci, E, L, & R. M)의 자결성 연속체 146
3. 니콜스(Nicholls)의 성취목표 성향이론 149
4. 엘리엇과 맥그리거(A. Elliot & H. McGregor)의 2원 성취목표 152
5. Harter의 유능성 동기이론 153
6. 동기분위기 이론 155
7. TARGET 전략 157
8. McClelland & Atkinson 성취동기 모델 159
9. Mattins의 유능감과 동기이론 160
10. Weiner의 귀인이론 161
• 자신감 164
1. 신체적 자기개념 164
2. 반두라(Bandura)의 자신감 164
3. Vealy의 스포츠 자신감 169
• 전념과 몰입 172
1. 전념 172
2. 몰입 173
• 과학습과 과훈련 176
1. 과학습(overlearning) 176
2. 과훈련(R. Weinberg & D. Gould) 176
• 스트레스 179
• 불안 183
1. 불안의 종류 183
2. 불안의 원인 186
3. 불안의 측정 187
• 불안이론 190
1. 추동 이론(욕구이론) 190
2. 적정각성수준이론(역U가설) 191
3. 최적수행지역이론(zone of optimal functioning hypothesis) 192
4. 다차원 이론 193
5. 카타스트로피 모형(대격변 이론) 194
6. 전환이론(반전이론) 197
7. 심리에너지 이론 200
• 불안감소기법(이완기법) 201
• 루틴 207
• 심상 210
1. 3가지 매개변인 210
2. 심상의 특징 210
3. 심상의 양식 211
4. 심상의 관점(유형) 212
5. 심상의 요소(심상의 효과를 결정하는 요인) 212
6. 심상의 활용목적(심상의 효과) 213
7. 심리기술훈련(PST) 프로그램의 개발단계 214
8. 효과적인 심상을 위한 가이드라인 216
9. 심상의 측정과 활용모형 217
10. 심상의 효과 관련 이론 218
• 목표 설정 220
1. 목표의 유형 220
2. 기계론적 관점과 인지론적 관점 221
3. 목표설정 이론 222
4. 스포츠 상황에서 목표설정 224
• 리더십 227
1. 특성적 접근 227
2. 행동적 접근 227
3. 상황적 접근 229
• 응집력 234
1. 응집력 이론 234
2. 응집력과 운동수행의 관계 237
3. 사회적 태만 238
4. 팀구축 이론 모형 240
• 의사 소통 242
1. Berlo의 SMCR모형 242
2. Vealey의 의사소통 과정 242
3. 조하리의 창 243
제3장 운동심리 245
• 운동의 효과 247
1. 우울증 감소 247
2. 불안감소 249
3. 스트레스 해소 250
4. 불면증 감소 250
5. 정서에 대한 효과 251
6. 런너스 하이 254
• 운동 실천 256
1. 사회적 촉진(모델링) 256
2. 건강신념모형 258
3. 방어동기이론 259
4. 합리행동이론 260
5. 계획된 행동 이론 261
6. 변화단계이론(Prochaska & DiClemente) 263
7. 생태학적 이론 267
8. 운동실천의 영향요인 2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