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입으로 먹을 수 있다

입으로 먹을 수 있다

(연하장애Q&A)

후지시마 이치로 (지은이), 현홍근 (옮긴이)
군자출판사(교재)
4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0,000원 -0% 0원
2,000원
38,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37,6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입으로 먹을 수 있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입으로 먹을 수 있다 (연하장애Q&A)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병별 > 소화기/순환기병
· ISBN : 9788962788372
· 쪽수 : 310쪽
· 출판일 : 2014-01-15

목차

chapter 01 연하장애
Q 01 연하장애라는 것은 무엇입니까?
Q 02 연하의 기전을 쉽게 설명해 주세요.
Q 03 구마비, 가성구마비라는 단어를 들었는데, 차이에 대해 알려주세요.
Q 04 나이를 먹으면 먹는 기능도 저하되나요?
Q 05 약으로 연하장애를 낫게 할 수는 없나요?
Q 06 연하장애 수술에 대해 알려주세요.
Q 07 연하장애라고 진단되었습니다. 식사는 중지합니까?
Q 08 사레들었다면 식사는 중지합니까? 3
Q 09 연하장애가 있는 것처럼 생각되는데, 어디에 가서 누구에게 보이면 좋겠습니까?
Q 10 팀 어프로치에 대해 알려주세요.

chapter 02 오연성 폐렴
Q 11 오연성 폐렴에 대해 알려주세요.
Q 12 먹지 않는데도 오연성 폐렴이 되는 사람이 있습니까? 왜 그런걸까요?
Q 13 오연성 폐렴은 예방할 수 있습니까?
Q 14 오연성 폐렴의 징조와 발현 양상에 대해 가르쳐 주세요.
Q 15 사레들지 않는 오연으로는 무엇이 있습니까?
Q 16 오연성 폐렴의 예방에 폐렴구균 백신은 효과가 있습니까?
Q 17 양념과 후추가 연하장애를 치료해서 폐렴예방 효과가 있다고 신문에 쓰여 있었는데 정말인가요?

Chapter 03 검사·진단의 포인트
Q 18 어떠한 증상에서 연하장애가 있는지를 의심합니까?
Q 19 연하장애라고 진단하는 포인트를 가르쳐 주세요.
Q 20 오연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을 가르쳐 주세요.
Q 21 연하조영이라는 것은 무엇입니까?
Q 22 연하조영을 할 수 없을 때는 어떻게 하면 좋습니까?
Q 23 연하조영(VF)과 연하내시경(VE)는 같은 연하검사입니까? 양쪽 다 할 필요가 있을까요?
Q 24 인두통과에 문제가 있다고 하는 것은, 어떠한 상태라고 할 수 있을까요?
Q 25 식도 통과장애는 어떤 증상으로 알 수 있습니까?
Q 26 수분, 영양이 충분히 공급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는 포인트를 가르쳐 주세요.
Q 27 환자의 평가(중증도)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Chapter 04 케어의 기본 : 체위와 식품
Q 28 고령자에게 해 드릴 식사지도의 포인트를 가르쳐 주세요.
Q 29 먹을 때는 어떤 체위를 취하면 좋을까요?
Q 30 한쪽一側 연하라는 것은 어떤 방법입니까?
Q 31 식후나 수면시의 자세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Q 32 한입에 먹을 양의 목표와 숟가락의 크기를 가르쳐 주세요.
Q 33 먹기 쉬운 음식과 먹기 힘든 음식을 가르쳐 주세요.
Q 34 연하(조정)식은 고령자 식사와 같다고 생각해도 좋을까요?
Q 35 먹기 쉬운 음식의 온도는 어느 정도입니까?
Q 36 집에서 연하(조정)식을 만드는 것이 어렵습니다.
Q 37 병원에 연하(조정)식이 없는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Q 38 잘게 썬 음식은 좋지 않다고 들었습니다.
Q 39 증점제는 ‘맛이 없다’고 해서 사용하기 싫어하는 환자가 있습니다.
Q 40 연하(조정)식은 언제까지 계속하면 좋을까요?
Q 41 저염식이라서 ‘맛을 알 수 없다’고 하면서 먹지 않습니다.
Q 42 씹으면 위험하다고 들었는데 씹는 것은 좋은 것 아닐까요?
Q 43 물을 자유롭게 마시게 하고 있는 시설이 있다고 들었는데 괜찮을까요?

Chapter 05 다양한 증상과 대처법
Q 44 약을 능숙하게 먹이는 방법에 대해 가르쳐 주세요.
Q 45 연하장애가 있는 사람에게는 무서워서 손댈 수 없습니다. 어떠한 위험 대책을 세우면 좋을까요?
Q 46 의식이 없는 사람에게 무언가 해주고 싶습니다.
Q 47 두리번두리번 거리면서 식사에 집중하지 못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Q 48 먹이려고 해도 입을 열지 않습니다.
Q 49 흘리는 침이 많아서 난감합니다.
Q 50 타액을 삼키지 않고 퉤퉤 뱉는 사람이 있는데 왜 그럴까요?
Q 51 입에서 줄줄 흘려버립니다.
Q 52 입에서 흘리는 것이 많은 사람은 어떤 식기를 고려하면 좋을까요?
Q 53 딱딱한 것을 먹을 수 없습니다.
Q 54 푸석푸석한 음식을 남기게 됩니다.
Q 55 뺨 안쪽을 씹어 버려 아파서 먹을 수 없습니다.
Q 56 입에 음식을 둔 채로 삼킬 수 없습니다.
Q 57 삼키는 것을 촉진하는 방법이 있습니까?
Q 58 젤리는 부셔서 먹게 하는 편이 좋다고 생각합니까?
Q 59 삼킬 때 위쪽을 향하지 않으면 삼키지 못하는 사람이 있습니다만 그대로 두어도 될까요?
Q 60 수분을 섭취하라고 했지만 사레들고 본인도 마시고 싶어하지 않습니다.
Q 61 흡인을 하는 판단기준을 가르쳐 주세요.
Q 62 흡인할 때의 주의사항을 가르쳐 주세요.
Q 63 식사 중이나 식후에 목소리가 바뀝니다. 목에 무언가가 남아 있는 것 같은 기분이 듭니다.
Q 64 식사 도중이나 식후에 기침이 나옵니다.
Q 65 삼킨 것이 목으로 역류해 옵니다.
Q 66 통째로 삼켜서 바로 식사가 끝나 버리는 사람이 있습니다.
Q 67 식사에 시간이 걸리는 사람이 있습니다.
Q 68 실어증으로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없습니다. 연하훈련은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Q 69 식사보조를 하는 쪽이 좋을지 스스로 먹게 하는 쪽이 좋을지 어떻게 판단하면 좋겠습니까?
Q 70 인지증으로 연하장애가 있는 분에게는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까요?
Q 71 왼쪽의 음식을 남깁니다.
Q 72 식사 도중에 잠들어 버려 먹을 수 없는 사람이 있습니다.
Q 73 식후에 혈압이 떨어지고 현기증이 납니다.
Q 74 식후 지쳐서 잠들어 버립니다.

Chapter 06 기초훈련과 섭식훈련
Q 75 섭식, 연하장애가 있는 사람들에게 어떤 훈련 방법이 있습니까?
Q 76 훈련을 해도 먹을 수 없는 경우에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Q 77 연하체조를 가르쳐 주세요.
Q 78 목의 얼음마사지에 대해 가르쳐 주세요.
Q 79 얼음마사지나 먹기 전 준비체조는 언제까지 계속하면 좋을까요?
Q 80 연하를 강화시켜 주는 좋은 방법 1 : 두부거상 훈련
Q 81 연하를 강화시켜 주는 좋은 방법 2 : 설근 훈련
Q 82 목에 남은 잔류물을 제거하는 방법을 가르쳐 주세요(공연하와 교대연하).
Q 83 횡향?向き 연하와 끄덕うなずき 연하에 대해 가르쳐 주세요
Q 84 기침과 호흡 훈련이 효과가 있다고 들었는데 의의意義와 방법에 대해 가르쳐 주세요.
Q 85 언제나 시행하는 기침 훈련에는 어떤 방법이 있습니까?
Q 86 풍선을 이용하는 훈련법에 대해서 가르쳐 주세요.
Q 87 혀 접촉 보조장치를 이용한 훈련법이라는 것은 무엇인가요?
Q 88 힘을 실어 강하게 연하하는 방법이 좋다고 들었습니다.
Q 89 Mendelsohn 수기手技라는 것은 어떤 것입니까?
Q 90 컵의 물을 빨대로 보글보글 부는 훈련법이 연하에 좋다고 들었는데 정말일까요?

Chapter 07 구강관리
Q 91 식후에 입안이 더럽습니다.
Q 92 입 안이 더러운 사람은 연하장애와 관련이 있습니까?
Q 93 Isodine?으로 구강관리하는 것을 싫어하는 환자가 있는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Q 94 구강관리는 연하의 훈련도 될 수 있습니까?
Q 95 틀니를 하고 있는 분에게는 어떤 주의를 하면 좋을 지 가르쳐 주세요.
Q 96 입을 벌려주지 않는 환자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Chapter 08 경관 영양하는 환자에 대해서
Q 97 코를 통해 관으로 영양을 섭취하고 있는 환자 중 먹을 수 있게 되는 사람은 없습니까?
Q 98 코를 통해 관으로 영양을 섭취하고 있는 환자에게 먹게 하는 순서를 가르쳐 주세요.
Q 99 관을 스스로 뽑아버리는 환자는 입으로 먹을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정말인가요?
Q 100 코에 넣는 튜브는 연하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나요?
Q 101 연하훈련 중 영양 확보에는 어떠한 방법이 있는지 상세하게 가르쳐 주세요.
Q 102 입을 통해 관을 넣어서 영양을 공급하는 방법을 가르쳐 주세요.
Q 103 기관 cannula가 들어가 있어도 먹을 수 있습니까?
Q 104 기관절개 cannula로 오연을 예방할 수 있습니까?
Q 105 위식도 역류 방지에 효과적인 방법을 가르쳐 주세요.

증례
부록
INDEX

저자소개

후지시마 이치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하마마쓰 의과대학 의학부 졸업 하마마쓰 의과대학 뇌신경외과, 도쿄대학 의학부 부속병원 재활부, 세이레이 미카타하라 병원 재활진료과 근무 세이레이 미카타하라 병원 재활센터장 역임 현재 하마마쓰 재활병원 원장, 일본 재활의학회 전문의·인정임상의·평의원, 일본 뇌신경외과학회 전문의, 일본 섭식·삼킴재활학회 이사, 의학박사
펼치기
현홍근 (옮긴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