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경제/금융/회계 > 감정평가사 > 감정평가사 2차
· ISBN : 9788964240755
· 쪽수 : 411쪽
· 출판일 : 2012-02-15
목차
제1편 감정평가의 기초
1장. 감정평가의 기초
Ⅰ. 감정평가의 개념과 대상
1. 개설
2. 감정평가 개념에 대한 논의
3. 감정평가의 대상
Ⅱ. 경제적 가치와 감정평가
1. 가치의 개념
2. 가치와 가격의 차이
3. 감정평가 대상으로서의 경제적 가치
Ⅲ. 감정평가의 수준 및 분류
1. 감정평가 활동의 수준
2. 감정평가의 분류
Ⅳ. 감정평가의 기능
1. 개설
2. 정책적 기능
3. 경제적 기능
4. 결론
Ⅴ. 감정평가의 필요성
1. 개설
2. 감정평가의 필요성
3. 결론
Ⅵ. 감정평가의 사회성 공공성과 감정평가사의 직업윤리
1. 감정평가의 사회성, 공공성이 강조되는 근거
2. 감정평가사의 직업윤리
Ⅶ. 우리나라의 부동산 가격공시와 감정평가 제도
1. 부동산 가격공시제도
2. 감정평가 제도
2장. 감정평가 절차와 평가검토
Ⅰ. 평가절차
1. 개설
2. 기본적 사항의 확정
3. 처리계획의 수립
4. 대상물건의 확인 (감정평가에 관한 규칙6조)
5. 자료의 수집 및 정리
6. 자료의 검토 및 가격형성요인의 분석
7. 감정평가방법의 선정 및 적용
8. 감정평가액의 결정 및 표시
Ⅱ. 평가검토
1. 평가검토의 의의
2. 평가검토의 목적
3. 평가검토의 기준
4. 검토기능과 검토사항
5. 검토평가사의 윤리 및 평가검토의 한계
6. 도입의 필요성 및 기대효과, 선결문제
3장. 지역.개별분석과 시장.시장성분석
Ⅰ. 지역, 개별분석
1. 지역분석
2. 개별분석
Ⅱ. 부동산 시장.시장성 분석
1. 개설
2. 시장분석의 의의
3. 시장분석의 필요성과 목적
4. 부동산 시장분석의 유형
5. 시장분석의 단계
6. 시장지역분석
4장. 최유효이용 분석
Ⅰ. 개설
1. 의의
2. 이론적 근거
Ⅱ. 판단기준
1. 합리적 이용
2. 합법적 이용
3. 물리적 채택가능성
4. 최고수익에 대한 경험적 증거
Ⅲ. 판정절차
1. 최유효이용 판정의 7단계
2. 최유효이용 판정시 유의사항
Ⅳ. 최유효이용과 감정평가와의 관련성
1. 원가방식
2. 비교방식
3. 수익방식
Ⅴ. 최유효이용의 분석기법
1. 의의
2. 나지상태의 최유효이용 분석
3. 개량물이 있는 상태의 최유효이용 분석
4. 최유효이용에 관한 두가지 분석의 결과가 다른 경우
Ⅵ. 최유효이용의 장애요인
1. 부동산 시장의 불완전성
2. 정부의 행정적 규제
Ⅶ. 특수상황의 최유효이용분석
1. 개설
2. 단독이용(single use)
3. 중도적이용(interim use)
4. 비최유효이용
5. 비적법적이용
6. 복합적이용(multiple use)
7. 특수목적이용
8. 투기적 이용
9. 초과토지와 잉여토지
5장. 부동산학과 감정평가
1. 부동산학의 이해
2. 부동산의 연구대상인 부동산 현상과 부동산 활동
3. 부동산의 특성과 파생현상
4. 건물의 특성
5. 부동산의 종별과 유형
6장. 부동산가격의 특징과 기능
1. 부동산 가격의 특징
2. 부동산 가격의 기능
7장. 부동산 가격형성과 가격원칙
Ⅰ. 부동산 가격의 형성
1. 부동산 가격 발생요인
2. 부동산가격의 형성요인
Ⅱ. 가격다원론
1. 의의
2. 가격다원론의 근거
3. 가격을 다원적으로 파악해야 할 필요성
4. 부동산가격의 종류 (감정평가에 관한 규칙5조)
5. 가격다원론에 대한 국내외의 규정
6. 주의점
Ⅲ. 부동산 가격의 원칙
1. 개설
2. 의의 및 근거
3. 가격제원칙의 특성
4. 가격제원칙의 분류
5. 가격제원칙의 종류
6. 가격제원칙과 감정평가의 관련성
8장. 연관부동산학 이론
Ⅰ. 지대지가론과 도시구조 이론
1. 지대논쟁
2. 농경지 지대이론
3. 도시지가이론
4. 도시성장.구조이론
Ⅱ. 부동산경기변동과 감정평가
1. 개설
2. 부동산경기변동의 의의와 경기변동 분석의 필요성
3. 부동산경기변동의 특징
4. 부동산 경기의 측정지표
5. 부동산 경기의 순환국면
6. 감정평가시 주의사항
Ⅲ. 화폐, 자본시장과 부동산 시장
1. 부동산 시장
2. 자본시장과 부동산 시장
3. 화폐시장과 부동산 시장
4. 부동산 금융과 부동산 시장의 유동화
Ⅳ. 투자분석과 금융
1. 부동산 투자의 분석과 투자분석 필요성
2. 부동산 투자의 결정과정
3. 부동산 투자분석
Ⅴ. 부동산 컨설팅
1. 부동산 컨설팅의 개념
2. 컨설팅의 필요성 및 기능
3. 부동산컨설팅의 업무
4. 컨설팅과정
제2편 감정평가의 3방식과 시산가치의 조정
1장. 3방식 개관
Ⅰ. 부동산 가격의 3면성
1. 의의
2. 내용
3. 부동산 가격의 3면성과 감정평가 3방식의 상호 관련성
Ⅱ. 3방식의 의의 및 근거
1. 비교방식
2. 원가방식
3. 수익방식
4. 가격 3면성과 감정평가 방식의 관계
2장. 비교방식(시장접근법)
Ⅰ. 거래사례 비교법
1. 의의 및 성립근거
2. 적용방법
Ⅱ. 배분법
1. 의의 및 이론적 근거
2. 유용성
3. 적용방법
4. 잔여법과의 비교
5. 적용상 유의사항
3장. 원가방식
Ⅰ. 원가방식의 논리와 평가원리
1. 논리
2. 가치추계절차
3. 평가원리
4. 비용접근법의 장점과 한계
Ⅱ. 재조달원가의 산정
1. 비용자료의 종류와 출처
2. 비용의 추계와 수정
Ⅲ. 감가수정 방법
1. 의의
2. 감가요인
3. 감가수정의 방법
4. 감가수정시 유의사항
5. 3방식에서의 감가수정 반영
Ⅳ. 분해법(Breakdown method)
1. 의의
2. 가정
3. 발생감가의 산정 방법
4. 분해법의 유용성과 한계
4장. 수익방식(소득접근법)
Ⅰ. 개관
1. 소득접근법의 개념
2. 관련원칙
3. 소득접근법의 절차
4. 장단점
Ⅱ. 소득환원 방식의 역사
1. 초기문헌
2. 현대
Ⅲ. 소득접근법의 세가지 논쟁
1. 자본회수율 (자본회수분을 어떠한 수익률로 어디에 재투자할 것인가)
2. 물리적 분석법 VS 금융적 분석법
3. 소득환원법 VS 할인현금수지분석법
4. 종합적 고찰과 전망
Ⅳ. 순수익 (순영업소득)
1. 의의
2. 종류
3. 요건(조건)
4. 산정방법
5. 순수익 산정시 유의사항
Ⅴ. 환원이율
1. 의의
2. 환원이율의 성격 및 종류
3. 환원이율을 구하는 방법
Ⅵ. 우리나라 환원이율 산정의 개선방안
1. 시장자본환원이율의 반영과 자본환원이율의 유동성
2. 새로운 접근방식에 관한 이론의 연구도입
3. 자본환원이율의 선택과 결정방법의 상황적 선택인정
Ⅶ. 소득접근법의 분류
1. 자본환원 방식에 따른 분류 (Direct/Yield capitalization method)
2. 자본환원 대상소득에 따른 분류
3. 투하자본 회수방법에 따른 분류
Ⅷ. 자본 회수법
1. 직선법
2. 감채기금법 (Hoskold법, 상환기금법)
3. 연금법(Inwood법, 평준연금환원법)
4. 세가지 방식의 비교
Ⅸ. 잔여환원법
1. 의의
2. 토지잔여법과 건물잔여법
3. 부동산잔여법
4. 세가지 잔여법의 비교
5. 지분잔여법과 저당잔여법
Ⅹ. 소득률(income rate)과 수익률(yield rate)
1. 소득률(income rate)
2. 수익률(yield rate)
3. 양자의 동일 가능성
4. 기대수익률.요구수익률.실현수익률의 관계
?. 저당지분환원법
1. 이론적 가정
2. 저당지분환원법의 변수
3. 자본환원과정
4. 저당지분환원법의 장단점
?. 할인현금수지분석법(DCF법)
1. 의의
2. 우수성
3. 한계
4. 유의사항
Ⅷ. 수익방식의 비교
5장. 시산가치 조정
Ⅰ. 시산가격 조정의 의의 및 필요성
1. 시산가격 조정의 의의 및 기능
2. 시산가격 조정의 필요성
Ⅱ. 시산가격 조정에 대한 견해와 규정
1. 시산가격 조정에 대한 제 견해
2. 우리나라의 규정
3. 외국의 경우
4. 결론
Ⅲ. 조정 과정과 가치결론
1. 재검토 과정
2. 시산가격 조정의 기준
3. 시산가격 조정 방법
4. 최종가치의 산출
Ⅳ. 시산가격 조정시 유의사항
1. 일반적인 유의사항
2. 단계별 유의사항
Ⅴ. 우리나라에서 시산가격 조정의 적용이 어려운 이유
1. 시장의 급변에 의한 각 시산가격의 격차 발생
2. 부동산 시장의 불완전성에 따른 3면등가의 불성립
3. 각 평가방식의 한계점
4. 시산가격 조정 방법상의 문제
5. 관련 규정의 미비
Ⅵ. 결론
제3편 기타평가법
1장. 노선가식평가법
1. 개설
2. 성립근거(특징)
3. 연혁 및 적용대상
4. 노선가의 성질과 설정
5. 획지가격의 계산
6. 노선가식 평가법의 장단점
7. 개선방향
2장. 조소득승수법
1. 조소득승수법에 의한 가치추계 논리
2. 월조소득승수법
3. 조소득승수의 변동요인
4. 조소득승수법의 장단점
5. 조소득승수법을 부동산평가목적으로 사용할 때에 지켜야할 가정 및 적용대상
3장. 중회귀분석법(hedonic price approach)
1. 개설
2. 중회귀분석법
3. 중회귀분석법에 의한 평가절차
4. 감정평가 업계의 대응 방향
제4편 목적별, 유형별 평가
1장. 목적별 평가
Ⅰ. 임료평가
1. 개설
2. 임대권과 임차권의 평가
3. 평가기법
4. 계속임료의 평가
Ⅱ. 담보평가
1. 개설
2. 담보평가의 의의 및 중요성
3. 담보평가의 원칙 및 적격요건 등
4. 담보평가액의 결정
5. 담보평가와 일반평가의 차이점
6. 개선방안
Ⅲ. 경매평가
1. 의의 및 종류
2. 중요성
3. 평가시점의 결정
4. 평가가액의 성격
5. 경매절차
6. 물건의 구체적 평가방법
7. 경매평가시 유의사항
Ⅳ. 소송평가
1. 개설
2. 절차 및 방법
3. 소송평가의 예
4. 유의점
2장. 유형별 평가
Ⅰ. 토지
1. 나지. 건부지
2. 건부감가
3. 공유지분 토지
4. 예정지.이행지의 평가
5. 선하지
6. 광평수.소규모 토지
Ⅱ. 건물
1. 개설
2. 건물의 구조.설비 및 종류
3. 건물평가
Ⅲ. 토지건물 일괄평가
1. 개요
2. 일괄평가의 장단점
3. 평가방법
4. 일괄평가 후 토지와 건물가격의 배분문제
Ⅳ. 구분소유권
1. 의의 및 평가기준
2. 조사확인사항
3. 평가방법
4. 평가시 유의사항
Ⅴ. 구분지상권
1. 의의 및 특징
2. 가치의 구성 및 조사확인사항
3. 평가방법
4. 공중권과의 비교
Ⅵ. 리모델링 부동산
1. 개설
2. Remodeling의 발생원인, 특징, 파급효과
3. Remodeling 건물의 평가방법과 평가시 유의사항
4. Remodeling과 감정평가와의 관련성
5. 평가시 유의사항
Ⅶ. 유가증권의 평가
1. 의의 - 논의의 필요성
2. 주식의 평가 방법
3. 채권의 평가
4. 부실채권의 평가(NPL : Non Perfoming Loan)
Ⅷ. 무형자산
1. 개설
2. 무형자산 및 지적재산권의 정의와 분류
3. 무형자산의 평가
4. 무형자산의 평가가 현실적으로 어려운 이유
5. 무형자산의 중요성 및 향후 전망
Ⅸ. 기업가치
1. 개설
2. 기업가치 평가원리
3. 평가기법
4. 부동산평가와 기업가치평가의 비교
5. 업계의 대응방향
Ⅹ. 공중권
1. 공중권의 개념
2. 공중권의 이용방법
3. 공중권의 평가방법
4. 공중권 개념의 명확화에 대한 요청
?. 개발권양도제도
1. 의의
2. 내용
3. 도입효과
4. 개발권양도제도에 대한 논란
제5편 평가의 신쟁점
Ⅰ. 국제회계기준과 감정평가
1. 개설
2. 국제회계기준의 특징
3.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제정에 따른 기대효과
4. 국제회계기준에 의한 재무보고목적의 공정가치 감정평가
5. 국제회계기준의 향후 추진방향
6. 국제회계기준과 유형자산의 평가
7. 자산가치(공정가치) 감정평가의 효과
Ⅱ. GIS등 부동산 정보화와 감정평가
1. 개설
2. GIS의 개념
3. 부동산 정보화 추진현황
4. 부동산 정보화와 감정평가
5. 정보화 시대 평가기법의 개선방향
Ⅲ. 오염부동산
1. 개설
2. 환경오염피해의 특징
3. 오염부동산의 평가모형
4. 가치손실 평가방법
5. 오염부동산 평가에 대한 평가업계의 과제
Ⅳ. 일조권과 조망권
1. 개설
2. 일조권.조망권에 관한 법제 및 判例의 검토
3. 일조권.조망권의 평가방법
4. 평가시 유의사항
제6편 부록
감정평가서
부동산 가격공시 및 감정평가에 관한 법률
감정평가에 관한 규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