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목회일반
· ISBN : 9788964470091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24-06-21
목차
머리말
1장╻한국교회 예배의 대안 모색, 소통을 말하다 _ 김영화
1. 들어가는 말
2. 예배와 의식
3. 예배와 미디어
4. 예배와 소통
5. 나가는 말
2장╻설교 패러다임의 변화와 한국교회가 나아갈 방향 _ 홍경희
1. 들어가는 말
2. 설교 패러다임 변화에 대한 이해
3. 한국교회의 수용을 위해 고려할 맥락
4. 한국교회의 효과적인 수용 방안
5. 나가는 말
3장╻사도적-선교적 교회: 하나님 나라 성장을 위한 참된 교회의 길 _ 김신구
1. 들어가는 말
2. 한국 사회 그리고 한국교회와 신학의 현재
3. 참된 교회의 길, 사도적-선교적 교회
4. 사도적-선교적 교회를 향한 한국교회의 실제적 도전과 목회 방향
5. 나가는 말
4장╻마을목회: 초고령사회 농촌 교회의 대안 플랫폼 _ 오경환
1. 들어가는 말
2. 초고령사회 속 농촌 교회의 현실
3. 대안 플랫폼으로서 마을목회
4. 대안 플랫폼으로서 마을목회의 기대 효과
5. 마을 공동체로서 농촌 교회 활성화 목회 전략
6. 나가는 말
5장╻포스트코로나 시대 한국교회 선교의 새로운 방향 모색
: 현재와 미래를 이어주는 선교 사역에 응답하라! _ 홍승만
1. 들어가는 말
2. 포스트코로나 시대 한국교회 목회와 선교의 변화
3. 한국교회 선교의 현실
4. 현재와 미래를 이어주는 사역에 응답하라!
5. 나가는 말
지은이 알림 / 358
리뷰
책속에서
“생명력 있는 예배로 살아나는 한국교회”
포스트모던 사조 및 코로나 팬데믹과 더불어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눈앞에 두고 있는 현대 사회는 다각적 사고와 사회적 원자화로 개인의 가치관과 세계관, 기존의 전통적인 혈연 가족과 사회적 공동체성이 해체돼 새로운 관점과 해석이 요청되고 있으며, 혼란은 가중되고 있습니다. 더욱이 이런 상황에 한국교회는 탈종교화, 탈기독교화라는 시대적 상황으로 큰 어려움에 봉착해 있습니다. 모두가 새로운 부흥과 건강한 성장을 간절히 원하지만, 이런 바람은 너무나 요원해 보입니다.
그럼에도 많은 목회자와 신학자는 한국교회의 문제점을 비롯해 급변하는 세계와 사회 속에서 어떻게 건강하고 지속 가능한 목회와 교회 운동이 이뤄질 수 있는지 신학적 성찰과 연구, 현장 중심의 실제적 대안을 계속 제언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지금도 변함없이 이 땅을 품으시는 하나님의 신실한 사랑 때문이라고 확신합니다.
- <머리말> 중에서
오늘날의 하이테크 환경에서 우리가 직면하는 문제들은 사실 매우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지금은 오히려 아날로그 형식을 쓴 것과는 비교할 수 없는 상상 초월의 발달 상황인데도 오히려 비판 없이 수용하려는 현상을 가진 듯하다. 이는 현대 사회에서 하이테크적 요소가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미처 이를 컨트롤할 수 있는 겨를이 교회에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어떤 종류의 예전적 관행들이 이 시대의 예배에 가장 적합한지와 언제, 어디서, 어떻게, 누구를 위해, 누가, 왜 해야 하는지에 관한 질문들과 답을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 우리는 무엇보다도 디지털 미디어와 예배의 의미를 이해해야 한다.
<1장_ 한국교회 예배의 대안 모색, 소통을 말하다> 중에서
21세기 한국교회의 청중은 포스트모던 사회 속에서 주도적으로 자아 정체성을 확립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이다. 날카로운 비판의식을 가지고 있으며, 상부의 명령에 대해서도 맹종하기보다는 합리적으로 사고하고 행동하려는 특징을 갖는다. 이 같은 의식은 그들의 신앙생활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디지털 미디어의 발달로 온라인 시대로 전환하면서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인터넷 유튜브 방송을 통해서 누구나 원하는 설교자의 설교를 시청하면서 설교의 우열을 가리기도 하고, 출석하는 교회의 설교에 대해 아쉬움을 느끼거나 심지어 경멸하기도 한다. 이른바 ‘온라인 설교 쇼핑’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2장_설교 패러다임의 변화와 한국교회가 나아갈 방향> 중에서



















